Alumni 같은 정보가 적고 외부 인지도가 떨어지더라도 편하게 할 수 있어 보이는 곳 먼저 컨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5.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배터리 대기업이면 삼성SDI, SK온, LG솔루션, 넓게 보면 삼전, SK, 현대차 그룹, Lg전자...기타 대기업,,,,,,
위에 언급한 대학원 어디라도 인기 분야랩이라 어느랩을 가더라도 다 갈수 있는 기업들인데,,,,컨택부터 넣어보세요,,,,
대댓글 1개
2022.05.04
조언 감사합니다.
2022.05.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생이 단독 1저자 sci를 냈으면 세기의 천재 아닌가요?
대댓글 3개
2022.05.02
저도 비슷한 저널에 1저자로 학부생떄 냈지만, 제 경우는 지도교수님이 아이디어를 제공해주셨고, 이론적인것보다 실험을 하면 결과가 나오는것이여서 가능한것같네요.. 열심히 논문도써갔지만 오랑우탄이 쓴것정도의 수준이다보니 지도교수가 거의다 워딩까지 고쳐주면서 제출했네요. 아마 당시 지도교수도 신생랩이라서 논문한편이 절실해서 많이 도와주셨던것같고, 같은연구실에서 박사까지 밟으면서 인기랩이 된 지금은 학부연구생한테 기대치는 아예없고, 학부연구생 들어오면... 그냥 박사과정이 대충 프로젝트의 조그만 부분 시키거나 아니면 그냥 알아서 놀고가라는 식이긴하죠.
2022.05.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런 사람 엄청 많아요..
2022.05.03
그냥 운 빨이죠. 교수나 윗 사람이 밥상 다 차려놓은 경우.
2022.05.02
어찌됐든 학부생때 주저자 경험은 정말 소중하고 좋게보는 교수들이 많을겁니다. 어찌됐든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 논문 프로시딩하는 과정등을 모두 겪은거니까요. 컨택잘하시면 충분히 좋아하시는 교수도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대댓글 1개
2022.05.04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2022.05.03
Sci 그것도 factor 10 이상은 대학원생도 쉽게 낼 수 있는 페이퍼가 아닙니다. (물론 아직은 accept 된게 아니긴 하지만요)
학점도 좋으니 가고 싶은 랩 위주로 (SPK 포함) 적극적으로 컨택해보세요. (다만 페이퍼는 어셉된게 아니면 현 시점에서는 크게 인정받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Submit 이야 뭐 마음만먹으면 할 수 있으니까요)
2022.05.02
대댓글 1개
2022.05.04
2022.05.02
대댓글 3개
2022.05.02
2022.05.03
2022.05.03
2022.05.02
대댓글 1개
2022.05.04
2022.05.03
대댓글 1개
2022.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