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영어로 논문 쓸 때 이탤릭체 쓰는거는 그냥

2022.04.05

9

6266

자기가 주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이탤릭이나 볼드 적용하는건가요?
아니면 이탤릭체를 써야하는 기준이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4.05

강조할 때는 이태릭이 더 많이 쓰이고 볼드는 정말로 한 눈에 보이게 하고 싶을 때 주로 쓰는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2.04.05

https://www.quora.com/Whats-the-functional-difference-between-bold-and-italic-fonts
호탕한 피타고라스*

2022.04.05

보통 라틴어에 이탤릭을 쓰죠

2022.04.05

저널마다 가이드라인이 다른데 제가 본 많은 저널에서는 강조를 이탤릭으로 하라고 하더라고요. 라부아지에 말씀대로.

2022.04.05

저는 논문에서 라틴어 어원의 단어, 학계에서 관용적으로 이탈릭으로 쓰는 표현을 제외하곤 본 적 없네요. 대표적으로 et al., e.g., i.e. 등이 있습니다.
졸린 아이작 뉴턴*

2022.04.05

유전자 쓸때 규칙 있어요

IF : 5

2022.04.06

이탤릭체 아무데나 쓰는건 아닙니다. 학명이나 저런 라틴계 약어같은데 쓰죠. 볼드체도 막 안쓰는건 마찬가지

2022.04.06

1. 강조할 때, 2. 외래어 (라틴어는 물론이고 불어, 프랑스어 등 알파벳을 쓰는 다른 언어도 이탤릭어 씁니다. 그리고 한국어, 일본어, 그리스어 등 알파벳을 쓰지 않는 언어를 영어 발음으로 옮길 때도 이탤릭체 씁니다), 3. 책 제목
씩씩한 쿠르트 괴델*

2022.04.06

vice versa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