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박이라 레딧이나 스택익스체인지에 묻는게 낫겠지만 혹시나 교수님이나 학교 다른 분들이 보실까봐 PhDKim에서 미박하시는 분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학부 때는 A와 B를 복수전공했는데 A 과로 와서 B를 접목시키는 형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론 쪽이라 둘 다 랩이 있는 과는 아니고요. 제 지도교수님은 공식적으로는 B과 교수지만 A과에도 적을 두고 있어서 분야도 잘맞고, 연구 능력도 좋으시고, 무엇보다 인품도 좋으셔서 지난 3년간 인복이 있다고 생각하며 공부하고 있었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얼마든지 교수님을 따라가고 싶은데 (둘다 랭킹은 비슷하나 가시는 곳이 위치는 훨씬 더 좋습니다), 문제는 가시는 학교에는 B과만 있다는 겁니다. 학부생 때 B과를 복전하고 지금도 A과와 B과가 교차하는 연구를 하고 있지만, 공식적으로는 B과의 박사생이 아니라 교수님을 따라가는게 가능할지 조차 모르겠네요. 당연히 확실한건 교수님께 여쭤봐야 겠지만 저처럼 과를 이동하면서 교수님을 따라가는 케이스를 주변에서 보신적 있나 궁금합니다. 구글 검색을 해봐도 같은 과의 다른 학교로 이동한 이야기만 주르륵 나오지 저와 같은 케이스는 검색되는게 없네요.
참고로 이 교수님을 제외하고는 저희 과에 제 연구방향과 맞는 분은 없습니다. 사실 이런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세부분야가 일치하는 교수님이 두분이 계신 곳으로 왔는데, 한 분은 코로나 중에 은퇴하시고, 이 교수님마저 옮기실 수 있다고 하니 정말 막막합니다. 특히 디써테이션을 마치는 단계면 외부 체어로 넣고 마무리를 짓겠는데 저희 과가 평균적으로 졸업이 늦은 관계로 아직 3년은 더 해야 졸업이네요. 디써테이션은 지금 구상 단계에 있고, 프로포절 통과를 한 후 가을학기부터 정식적으로 작업에 들어갑니다. 그래서 타격이 매우 클거 같아요. 그냥 석사만 받고 그만둬야하나, 그런 생각까지 듭니다. 이 소식을 듣기 전까지만 해도 상상조차 안한 루트인데요...
나름 열심히 살았는데 정말 힘이 빠지고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어쨌든 과를 바꿔가면서 교수님 따라가는 케이스가 실제로 있는지, 아시는 분이 계시면 댓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업데이트: 교수님과 대화해봤는데 과를 바꿔서 데려가는 것도 가능하니 제가 원한다면 그렇게 해주신다고 하네요. 일단 마음이 한결 놓입니다. 다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2.03.21
교수님따라 학교 옮기면서 BME에서 MSE로 바꿔 트렌스퍼한경우 본적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3.22
있긴 하군요.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3.21
한국의 경우, 대다수의 좋은대학은 교수따라서 학생이 학교를 옮기는게 불가능하고, 학생의 경우 아래와 같이 세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1. 학생이 교수가 부임하는 학교의 입시를 뚫고, 다시입학함. 이 경우 석사과정 저년차는 다시 석사과정으로 입학, 혹은 박사과정중인 학생은 석사졸업으로 변경후 박사과정으로 입학함. 이렇게 따라온 학생의 경우 학과측에서도 조금 배려해줘서 입학이 조금편할수도있음. (특히 박사입학의 경우)
2. 학생은 기존학교 소속으로 남아있으며, 교수를 따라서 새로운 연구실에서 파견학생과 같은 방식으로 생활함.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이때 기존학교에서 새로운 지도교수를 선택해야될텐데 교수끼리 잘 말이된 경우 가능함. (대충 이름만 지도교수로 해주고, 실제로 학생지도는 옮긴학교에서 하며 나중에 공동교신이나 공동저자로 넣어주겠다는등)
3. 학생이 토사구팽 당해서, 알아서 해당학교에서 새로운 지도교수를 구해야됨.
의외로 3번인 경우도 많고, 옮기면서 본인이 원래아끼던 특정학생만 데리고가는 등의 일도 비일비재해서 학교 옮길때마다 뒤에서 학생, 교수들한테 상당히 안좋은 뒷소리 듣는경우도 많습니다.
미국의 경우 다를수도있고, 옮긴 학교의 입시방침등에 따라서 다를테니 한번 검색해보세요.
대댓글 2개
2022.03.22
미국은 HYPSMC과 같은 탑학교도 교수를 따라 학생이 옮기는 경우가 흔하고, 저도 실제로 봐왔습니다. 다만 같은 과 내에서 학교를 옮기는 경우는 봤는데 과를 바꾸면서 학교를 옮기는 케이스는 개인적으로 본적이 없어서 궁금했네요. 검색되는 것도 없고요. 확실한건 교수와 학교에 물어봐야 겠지만, 일단 케이스가 있는지부터 확인하고 싶었습니다. 그래도 정성스럽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03.22
주변에서 연대공대에 있다가 서울대 자연계로 학교옮기시고 따라간 애들도 봣습니다. 특히나 공과대 내에서 학과바뀌는건 의외로 흔한일 같네요.
2022.03.21
대댓글 1개
2022.03.22
2022.03.21
대댓글 2개
2022.03.22
202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