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직접증거가 있으면 신고 하세요. 없어도 진짜 조작으로 승승장구했다면 늦든빠르든 뽀록나서 나락갈 날이 반드시 옵니다.
부정행위는 그 자체로도 문제이지만 행위자의 사고행동양식을 뒤틀어버리는 것이 진짜 문제입니다. 인지부조화가 정말 무서운거예요.
연구자로서의 이상과 부정한 나에 대한 인지가 부조화를 일으키면, 사람은 행위를 고치기보다는 이 정도부정은 원래 괜찮은거다 라고 합리화 해버리면서 경계가 무너져요.
한 번 선을 넘어버리면 이후의 모든 행동과 판단이 과거의 자신을 미화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심화됩니다.
33 - 머 어때서... 박사 존나 힘들게 땃는데 ㅜ
12 - 부/경 정도의 교수는 중경외시급 이상이라고 봅니다. 자대생 수급도 매우 좋고, 등록금 저렴해서 인건비 걱정도 덜하고. 무엇보다도 공무원 신분이라 안정적이고 승진실적이 비교적 수월해요. 원하면 추후에 인서울로 옮기면 그만이니
12 - 부산대 현직입니다.
저는 부산대와 인서울상위(중경외시 라인) 합격했었는데 부산대로왔습니다. 삶은 매우매우 만족합니다. 과제따기 수월하고 지역사회에서 대우도 매우좋고 부산의 삶도 좋습니다ㅎㅎ
주위 부산대 교수님들도 skpyksh정도나 unsit 아니면 대부분 부산대 더 선호하실것같습니다. 최근에 이직하신분들도 skpyk만 가시고요.
13 - 지거국 선호도도 높지만,
반대로 서울 및 수도권 선호도도 매우 매우 매우 높습니다...
왜냐하면 '연구'라는 좁은 영역보다 결국 삶과 연계된 직장이기 때문입니다.
미혼 및 아이가 없으신 젊은 분들은 지거국의 삶에 매우 만족하시지만.
주변 분들을 보면 결국 아이가 태어나고 교육이 시작되면서 서울 및 수도권으로 많이들 이직을 고려하시는 거 같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서울 및 수도권 쏠림이 더 극대화 될 것으로 여겨지며,
실제로도 현재 임용 시장에 있는 젋은 분들 중 서울 및 수도권 이외에는 아예 고려를 안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있습니다.
그리고 지거국에 계신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최근 임용 지원자의 수준이 낮아진다고 하십니다 (분야별로 다른듯 합니다)
따라서 현재 부경전충보다 국숭세단이 우선시 될수있지만, 빠른 시일내에 뒤집힐 듯 합니다. (이미 학부 입결은 국숭세단이 몇 단계 위입니다)
10 - 흠 부산대 경북대 공대나 자연대 교수중에 연구인프라 다버리고 국숭세단에 갈분들이 계실까요...? 차라리 주말부부를 하고말지. 국숭세단 라인에서 적어도 저희분야에서는 논문을 내는것 조차 보기가힘든데
9 - 이런 초딩 같은 글이 교수 글이라고? ㅋㅋㅋ
8 - 너무 근시적으로 보시는것같은데, 모든 학교 신임교수들은 상향평준화 돼있습니다.
spk학석박-탑스쿨 포닥중이고 주변에 국내임용 준비하는사람들은 지방대는 과기원들제외하고 마지노선으로 부산/경북/충남대?? 정도까지는씁니다.
하지만 임용시장에서조차 인서울 선호도는 점점 높아지고있습니다. 건동홍을 비교하셨는데, 교수임용시장에서 건홍과 부산대 둘다 붙었을때 부산대를 간다는 보장은 전혀없습니다. 오히려 전자 선호도가 제 주변에서만 보면 더 높아보입니다. 동국대는 워낙 교수진들에게 불교중심적인 마인드셋때문에 비선호하는 사람들도 있기에 뺐습니다. 제 네트워킹이 한인교회중심이라서 더더욱 그럴수도
그리고 참고로 건동홍 간 친구들도 자매지들은 다들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 생각보다 국민대 혹은 좀더낮은 학교에 간 친구들도 자매지있는경우는 많아요. 그만큼 임용시장은 생각보다 상향평준화됐습니다.
시야가 너무 부산대중심으로만 맞추신것같길래 말씀드립니다. 부산대가 나쁜학교라는건 절대아니고, 저도 국내리턴 생각했으면 부산대까지는 당연히썼을겁니다.
13 - 요즘은 개나소나 교수하는구나
9 - 저 10개 중에 자기 학교 빠져서 화나셨나보다.
8
박사 졸업을 앞두고..
2021.12.25
학생으로서 길었지만 값진 여정을 마치고 이제 마침표를 찍으려 합니다.
어렸을때부터 막연하게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했고
석사때 맛본 연구의 성취감에 취해 여기까지 달려왔네요.
스트레스 받고 어려울때(특히 두번 이상의 리비전..)가 번번히 있었지만, 아직도 논문이 어셉됐다는 메일을 받으면 여전히 가슴이 뜨겁습니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박사1년차 때 글로벌박사 펠로우십이 왜그렇게 따고 싶었는지..
임팩트팩터 10점 이상짜리 논문이 왜그렇게 쓰고싶었는지..
지금이야 석박사때를 회상하니 저때 욕심이 지금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나봅니다. 물론 지도교수님과 랩원들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 했겠죠ㅎㅎ 감사합니다.
이제 과제보고서 기간이지만..ㅋㅋ 마무리 잘 하고 해외에서도 좋은 연구 하려고 합니다.
최근 카이스트에 임용되신 29세 교수님만한 실적은 아니지만...ㅋㅋㅋ 저의 다음 목표는 IF 13점이상입니다. 모두 화이팅 합시다.
-
49 58 43972
박사는 누가 하나. 김GPT 30 16 8643
석사 졸업을 앞두고서.., 김GPT 8 5 4451
박사를 하고 싶은 사람은 김GPT 27 7 8107
석사 졸업후 박사진학 김GPT 1 1 2277
하긴..박사학위 따면... 김GPT 3 5 7122
한 석사의 박사진학에 대한 고민 김GPT 0 2 1814
박사졸업과 같은랩 포닥 김GPT 1 19 2612
자대 타대 박사고민 김GPT 0 4 5523-
154 32 41021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1 80 31963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05 33 2887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1.12.25
대댓글 1개
2021.12.25
대댓글 5개
2021.12.25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