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컨셉인가? 니들이 뽑지 말든가. 정출연이 뭐라고 분야맞고 실적 좋음 뽑는거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41
- 그쪽 조직에 지방대 박사 들어왔다고 생각해봐 안짜증나는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40
- 님이 실적 더 쌓아서 교수 이런 쪽으로 빠지셨어야죠. 님이 고만고만하니까 같은 조직에서 일하는 거죠.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2
- 너 같은 애도 뽑은거 보면….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4
- 근데 내가 포공 출신이라 좀 긁혀서 이거 좀 알아봄. 물론 요즘 포공이 좀 얘기도 많고 위기다 위기다 하는 거 인정하고
서울대 카이스트가 많이 잘하고 있는 것도 인정함. 우리도 좀 위기 극복하고 세계 대학순위도 높히는게 필요해보임.
근데 내가 이거 기자랑 통화해서 1인당 논문 개재 건수 레퍼 알려달라 했는데, 이거 논조가 진짜 악질임.
대학알리미에서 공시자료 찾아보면 수치 확인할 수 있는데, 저 기자가 쓴 1인당 논문 개재건수는 "국내논문" 기준임. 이게 진짜 개 악질임.
어느 탑스쿨에서 국내논문 개제로 순위 매김? 이거 수치는 거의 랜덤 샘플링 해도 비슷할텐데. 그냥 기자가 아무거나 포스텍이 꼴찌하는거 가져온거라고 밖에는...
그래서 1인당 국제 논문 개재 / 1인당 sci급 논문 개재를 확인해봄. 해당 지표를 보면
포스텍: 1.09, 1.08
카이스트:1.08, 1.07
서울대: 1.02 / 0.95
이 순서임. 결과적으로 포스텍은 1인당으로는 아직 잘하고 있음. 앞으로 어떻게 되느냐가 문제지만, 그건 학교에 남은 분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린거고. 어쨌든 기자는 지금 자기 입맛에 맞게 수치를 가지고 장난치고 있음.
내가 이걸로 기자님한테 수정이 필요하다고 전화 넣었는데, 그래서 수정된게 아래임ㅋㅋㅋㅋㅋㅋ 아무튼 각자의 생각을 존중함.
"이처럼 우수한 학생들이 포스텍을 외면하면서 연구 품질도 떨어지고 있다. 포스텍의 지난해 국제 기준 논문 실적은 310.45편으로 KAIST(723.55편)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국내 기준 교원 1인당 논문 실적을 봐도 0.0689편으로 KAIST의 0.0886편에 비하면 한참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포스텍보다 뒤에 문을 연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도 각각 0.1077편과 0.0872편, 0.0977편임을 고려하면 국내 과학기술특성화대 중 최하위라는 의미다."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0
대학원 진학 및 지원 고민하시는 분들께,
2021.12.14
6
8814

1. 대학원 입학까지
많은 분들이 입시 지원을 고민하고 계신 것 같은데 저 같은 경우에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3년이 지난 시점에 우연히 기사 하나를 접하고 나서 그 연구가 너무 하고 싶어서 대학원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물론 그 당시 ‘앞으로 뭐로 먹고 살아야하나’, ‘나만의 무기는 무엇이 될까’를 고민하던 시기였습니다. 아직도 제 주변 모든 사람들이 제가 대학원을 간다고 하니 놀라던 모습이 기억에 생생하네요. 저도 제가 연구를 할 거라고는 꿈에도 생각을 못했었습니다.
하고 싶은 연구가 생기고 나서 각종 뉴스를 찾아보다가 어느 연구실에서 그 연구를 할지 궁금해져서 몇몇 학교의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대표 메일로 ‘이러이러한 연구에 관심이 있는데 관련 교수님이 계시면 추천을 해달라’ 이렇게 보냈었습니다. 그때의 저는 행정실 이메일이겠거니 했었는데, 답장을 보고나서야 그 메일주소가 학장님 메일주소인 것을 알았습니다. 어찌됐건 학장님께서 추천해주신 교수님들의 연구실을 쭉 둘러보고 논문들에 대해 조금씩이라도 찾아보다가 한 교수님께 연락을 드려, 제가 이러이러한 연구를 하고 싶은데 그 연구를 할 수 있는 상황인지, 학생을 뽑으실 계획이 있으신지를, 그리고 가능하다면 면담일정을 잡을 수 있는지 여쭈어 보았습니다. 제 연락을 받고는 한번 면담을 해보자고 하셔서 교수님을 만나 뵙게 되었는데 마침 해당 연구를 갓 시작한 벤처회사가 있다고 소개를 해주셔서 어찌저찌하여 대학원입학 전 여름까지 해당 회사에서 연구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위의 얘기를 꺼낸 이유는 돌이켜보니 제가 대학원을 입학하게 된 동기가 입시에서도 그렇고 대학원 생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생각이 들어서 입니다. 저는 대학교 평점도 좋지 못했고, 심지어 전공 평점은 처참한 수준에, 제가 진학한 학과와는 전공도 달라서 대학교 때 배울 전공지식조차도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심지어 면접관 중 한 분께서는 제 편의를 봐주신다고 제 학부 전공관련하여 질문을 하셨는데도 제대로 대답도 못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하고 싶은 연구 주제에 대해서는 면접에 참석하신 교수님들과 정말 1시간이고 이야기를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있었습니다.
바꿀 수 없는 지난 결과물들로 인해 불안해하시기보다는 ‘왜 대학원에 가야하는가’와 ‘무엇을 하고 싶은가’에 대한 고민에 시간을 조금 더 투자하시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
2. 애증의 연구를 접고 새로운 연구를 하기까지.
대학원에 입학은 했지만 제가 하고 싶어하는 연구는 여러가지 상황들로 인해 쉽사리 셋업조차 하기 어려웠었고 (심지어 제가 있는 실험실의 분야와도 상당히 달랐습니다), 위에 언급한 벤처회사에서 작은 펀딩을 받아 공동연구를 하던 와중에 해당 회사가 망해버리는 바람에 혼자서 6개월을 더 고군분투하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목표로 한 졸업이 6개월 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다가 랩미팅 때 눈동냥으로만 보고 배우던 저희 실험실에서 하는 연구주제와 제가 그동안 하던 연구 내용을 접목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여 남는 시간을 쪼개서 시도해본 실험결과가 생각보다 잘나와서 그제서야 교수님께 말씀드리고 연구주제를 바꾸게 되었습니다. 이후 새벽 퇴근을 밥먹듯하며 반송장처럼 6개월을 보내고 나니 처음으로 제 이름이 들어간 논문을 submission을 할 수 있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제가 입학 전부터 정말 하고싶었던 연구는 한걸음 나아가기도 버거웠는데 주제를 바꾸니 더 좋은 결과가 있었습니다.
저는 대학원 입학이라는 선택지가 제 계획에 없던 터라 인턴이나 전문연 제도에 대해 알지도 못해 상대적으로 늦은 나이에 연구를 시작했고, 학부 전공분야도 달라 동기들에 비해 전공지식이나 연구능력이 부족했습니다. 심지어 1년반을 하던 연구주제를 포기해버렸지만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앞의 1년 반, 특히나 누구의 도움을 받지도 못하며 치열하게 사투를 벌였던 6개월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서입니다. 부득이하게 상대적인 얘기를 하게 되었는데, 혹시라도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시거나 대학원생활을 하시다가 주변과 비교하며 위축되지 않으시기 바라는 마음에 적어보았습니다.
0. 메세지
제 경험과 관련하여 드리고 싶은 말씀은 많지만 이야기가 산으로 갈 것 같아 위의 두가지 경험만 공유를 하고자 합니다. 1과 2를 관통하는 메시지는 너무나도 진부하지만 ‘주도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대학원과정이 그 이전까지의 교육과정과 다른 것은, 과장을 조금 보태 ‘주도성’이 입학, 대학원 생활, 연구 등 모든 것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단 하나의 factor 이지, 학점 학벌 등등의 스펙은 ‘주도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부수적인 장치라는 것입니다.
입시 혹은 대학원생활로 힘드시겠지만 위에 서술했던 ‘왜 대학원에 가야하는가’와 ‘무엇을 하고 싶은가’등과 같은 본질적인 질문에 조금 시간을 할애하신다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적게 되었습니다. 그랬음에도 불구하고 입시에 떨어졌다면 훌훌 털어버리세요. 그 학교는 아마 여러분과 같은 좋은 학생을 가릴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학교일 수 있습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고민들어주실 분 계신가요...?2
9
1283
김GPT
대학원이 정말 고민입니다..ㅜㅜ6
13
4043
김GPT
대학원 석사 진학 관련 고민0
12
1579
김GPT
대학원 진학 고민입니다.0
13
3634
김GPT
조언 부탁드립니다..1
14
1409
김GPT
대학원 진학관련 문의드리고 싶습니다.0
8
5985
김GPT
대학원 진학 조언을 부탁드립니다0
1
5295
김GPT
대학원 학벌에 대해 들었던 말6
6
7172
-
0
2
5621
명예의전당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81
64
40217
명예의전당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177
7
32127
-
41
28
2024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 김박사넷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new!)
773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0
-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1
- 서울대나 카이스트 AI 대학원 갈 수 있을까요?
20
-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3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12.15
2021.12.16
20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