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학에서 전공을 틀고 싶고 그쪽으로 흥미가 있어 신호처리 머신러닝 쪽 연구실으로 진학을 원하는데 이런경우 컨택하는 과정에서도 제한요인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ssh자대 대학원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경우 석사졸/박사졸 두 경우 각각에서 spk로 가는것에 비해 디메릿이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작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얕은 수준의 질문인것 같아 죄송하지만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John Ambrose Fleming*
2020.01.30
HSS는 또 뭐냐
Humphry Davy*
2020.01.30
설포카 연고 한성서 ??
Maurice Maeterlinck*
2020.01.30
한양대 ㅎㅇ
2020.01.30
일반적으로 이곳에서 쓰이는 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합니다. Ssh로 수정했슴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질문에도 관심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IF : 1
2020.01.30
HSS 건 SSH 건 PKS 건 SPK 건 쓰는 순서가 뭐가 중요할까요?
김박사넷 초반에는 게시판 분위기가 괜찮았는데 입소문 타서, 대학원생들뿐 아니라 학부생이 많이 유입되다 보니 댓글들 상태가 이렇습니다. 글쓴이 님께서 이해하시구요.
학점 3.75 면 SPK 기준 보더라인 일 것 같습니다. 아직 한학기 or 1년이 남으셨으니 최대한 점수 끌어올리시구요. 혹시 재수강 신공을 쓰실수 있다면 활용하세요.
자대와 비교해서 SPK 메릿이 어떻냐 하는 질문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제가 K 에서 전기/전자/전산 계열로 박사학위를 받았는데요. 제가 있던 연구실에 H 학부 출신 학생도 있었습니다.
그 학생도 처음에 자대와 SPK 를 고민했다고 했는데요. 그래서 자대 교수님을 찾아가서 상담하니까, 교수님이 듣자 마자 한 줄로 대학원은 자대로 오지 마세요 라고 하셨답니다. ㅋㅋㅋ
졸업후 산업계 / 학계 진출시 H 자대 박사와 SPK 박사는 차이가 좀 있으니 어지간하면 SPK 로 가세요.
John Dewey*
2020.01.30
석사 후 취업 예정이라면 원하는 분야에 취직이 잘 되는 자대 연구실도 나쁘지 않습니다. (alumni 참고)
또한 유학 계획이 있다면 지금부터 자대 인턴쉽을 통해 학기 중에도 연구를 하고 논문을 준비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박사를 할 계획이면 일반적으로 SPK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H. G. Wells*
2020.01.30
유학갈거면 지금부터 학부 연구생해서 연구하고 졸업할 때 혹은 자대 석사 1학기때 논문 1저자. 일단 한편 쓰면 머리속에서 계속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니까 졸업때까지 추가로 1편 가능. 그렇게 1저자 2개 쓰고 유학 가능.
2020.01.31
한양대 전자과에요? 위한보면 보통 3.7~8이 마지노에요
. 어차피 spk밑 ykhss에서 spk진학하는데 학점컷 거의 비슷하니까 4학년 학점 올리고 도전하세요!
hss 쓰면 k대한테 견제먹으니까 ㅋㅋ 자제하시구.
2020.01.30
2020.01.30
2020.01.30
2020.01.30
2020.01.30
2020.01.30
2020.01.30
2020.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