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 - CS 박사하고 해외에서 퀀트하는 놈. 몇 년 전에 부모님께 서울에 빌딩 사드렸다고 들었음.
2위 - 학부졸업하고 바로 컨설팅펌 간 애들. 요즘 유명한 회사 임원까지 올라간 애들 많음.
3위 - 국내 박사따고 국내 테크회사갔다가 잘 풀려서 C-level 임원하는 애
4위 - 해박따고 SPK 교수하다가 대기업 사외이사하는 애들
5위 - 해박따고 일찍 FANG 간 애들
동기 말고 주위에서 본 사례는
연구실 애가 CS박사따고 구글에 퀀트로 취업했다가 30대 중반에 평생 벌 돈 다 벌었다며 은퇴하는거 봤고
회사다닐때 국내에서 토종 스타트업을 100억대에 인수시킨 사례를 두어번 봤음
결론은 확실하게 돈벌고 싶으면 금융권쪽으로 진출하는걸 알아보는게 맞는듯함
딴 길로도 운이 좋거나 실력이 좋으면 의사수준으로 벌 수는 있지만 확률이 상당히 낮음
사실 제일 돈 못 버는 케이스가 평생 공부만 하다가 외벌이로 교수하는 경우인듯함 (특히 외국 교수)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1.10.02
사외이사가 돈을 그렇게 많이 주나봐요?
대댓글 7개
IF : 1
2021.10.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삼성기준 평균연봉 1억 가까이 됨
2021.10.02
FANG이 더 크지 않나용..?
IF : 1
2021.10.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본봉+기타소득도 더해야하고 한국의 낮은 생활비, SPK 교수의 압도적인 사회적 위치 등도 감안해야
2021.10.02
답변 감사합니다~
2021.10.02
// 조용한 버트런드 러셀
SPK의 사회적 위치는 맞지만 한국의 낮은 생활비는 의미가 없습니다.. 어차피 한화 5억 이상 (혹은 미화 50만불) 버는 사람들도 지출이 연간 2억이상인 경우가 드믈기에 소비가 중요한 부분이 아니고 세금이 중요한 부분인데 대략 WA주 같은 경우 15만불이 넘어가면 한국보다 세금이 싸고 CA도 30만불이 넘어가면 미국이 세금이 싸며, 특히 의료보험료가 한국이 압도적으로 비쌉니다. 한국에서 이렇게 벌면 의료보험이 수천만원나오고 미국은 그냥 직장 의료보험 정액인데, 거의 내지 않습니다.
IF : 1
2021.10.0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세금은 모르겠고 개인적으로 포닥하면서 가족이 미국와서 살았는데 정말 생활비가 더럽게 비쌌음
한국수준으로 살려면 월 6천불 이상은 들어갔던듯
2021.10.03
// 조용한 버트런드 러셀
저는 저 위의 연봉 적은 게 저한테 해당이 되어요 ^^. 한국 미국 양쪽에서 대략 이정도 레인지에서 받아 봤는데 어차피 지출이 소득의 큰 비중이 아니라.. 생활비가 중요한게 아니라 세금이 의료보험 중요해요. 미국에서 받다가 연봉 맞추어서 (+알파)로 한국 들어온 케이스여서..
2021.10.02
삼성 사외 이사는 숫자가 많지 않을텐데, 삼성전자 사외 이사 3인 평균 연봉 1.8억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32532951
삼성 전자 사내 이사 (상무, 전무, 부사장, 사장등) 평균 연봉 7억 4천 300만원 약 1000명 (대부분은 상무, 전무)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3/304668/
따라서 평균 연봉은 사외이사와 사내 이사 차이가 커요. 그리고 등기 임원은 정말 연봉이 높지만 극소수라..
제주변에서 돈 버는 1위는 창업 (>1000억 주변에서 몇명 했음..)
(2010년 혹은 이전) Facebook이나 Amazon들어간 경우도 역시 주식 갚어치 상승으로 많이 벌었음.. (보유 기간에 따라서 일반 엔지니어도 +100억도 종종 있음. 연봉때문이 아니라 주식 가치 상승 때문)
연봉만으로 하면 Facebook level 6 대략 6 ~ 7억 수준..(하지만 주가 상승으로 그보다 많이 받음..).
https://www.levels.fyi/charts.html
대댓글 1개
2021.10.03
부연 설명하면 위의 사내 이사 7.43억은 등기 임원은 뺀 미등기 임원 대략 1000명 약간 안되는 임원 평균. 극소수의 사내 등기임원은 수십억 ~ +100억 단위
페북등은 위에 보면 6~7억 정도지만 (보통 2010년 정도 박사 입사한 사람이 지금 평균 정도는 이정도 레벨 되어 있음..) 실제로 주식으로 주는 RSU의 vesting기간때문에 실제론 더 받음..
그렇지만 주변에서 보면 가장 많이 번 사람은 성공적 창업을 한 사람들
2021.10.02
대댓글 7개
2021.10.02
2021.10.02
2021.10.02
2021.10.02
2021.10.02
2021.10.03
2021.10.03
2021.10.02
대댓글 1개
2021.10.03
2021.10.02
대댓글 1개
2021.10.03
2021.10.03
대댓글 1개
2021.10.03
2021.10.03
2022.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