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터넷 세상이 다 그렇죠 뭐,,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6 - 인터넷만 보면 다들 서울대 교수임 ㅋ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1 - 아니 뭐… 평생교육원 같은게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인거죠. 누구나 이름대면 알만한 명문대에서 실제 연구진 양성을 목표로 인류첨단의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일수야 없죠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1 - 인터넷은 허언과 뻥 소수의성공자만 글씀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2 - 실제로 진학한 사람들은 보기만하지. 글 별로 안씁니다 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9 - 신임 교수가 바쁜 당연하고 외부 미팅도 많은 게 당연함
미팅 100번 해야 1개 얻음 신임은
근데 자기 실험실 관리도 못하면 망하기 딱좋지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1 - 요즘 연구비 딸려면 AI 무조건 붙려야되서 그럼ㅋㅋ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3 - 그만큼 컨택메일에 대한 답장을 주는 교수가 적다는게 아닐까요?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14 - 옛날같으면 공학석사 졸업하면 앵간하면 다 취직됬는데
요즘은 신입 잘안뽑는데 그게 무슨 사람탓인가요 경기탓이지
하여튼 일단 반박하는 꼬라지
석졸 후 다 떨어지면 머하시나요
13 - 맨날 어디 미팅다니시고 밥먹으러 다니시고
미팅 <- 이게 일입니다
밥먹으러 <- 이게 일입니다.
뭐 교수가 박사띠리 교수따리 학부생따리처럼 입.문.서 같은거 보고 공부할줄 아셨습니까?
업계 최정상 사람들이랑 미팅 하면서 밥 먹으면서 트렌드 파악하는것도 일입니다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9 - 1. 신임교수는 첫 3년 정도까지는 수업 로드 때문에 연구할 시간이 없음
2. 신임교수는 연구실 세팅부터 정말정말 행정 잡일이 많음
3. 그래서 재임용은 보통 포닥 때 쓰던 논문들이 억셉되거나 박사/포닥 지도교수님 도움을 받아서 실적 냄
4. 대학원생의 흔한 착각 중 하나가 본인이 공부해서 알려주면 교수가 잘 모를 때 자기는 똑똑하고 교수는 멍청하다고 생각함. 같은 분야라도 학문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데, 논문 몇 개 읽고 공부했다고 랩미팅 때 교수가 잘 모르는거 같아 무시하는건 진짜 철없는 짓.. 그 교수가 님 연차였을 때는 10배는 더 날아다녔음. 입지와 위치와 상황이 달라진거지 글쓴이한테 무시당할 사람들이 아님
5. 미팅하고 밥 먹으러 다닌다고 표현 하는것도 학계를 아예 모르면서 하는 이야기. 교수들은 최소 글쓴이 포함 대학원생들 했던거 다 했고 그중에서도 에이스였던 사람들이고, 지금은 그들만의 일/연구 하는 방식이 있는거임. 미팅을 술 마시고 노가리 까러 가는줄 아시나
6. AI 넣어서 융합하게 트렌드 따라가고 새로운 도전이고 그런건데 뭘 그렇게 무시하는지 모르겠음. 누구나 처음은 서툰거고, 그리고 원래 연구실의 새로운 연구는 대학원생이 주도하는거임. 님이 그렇게 실력키워서 나중에 교수되면 님 제자가 똑같이 하고, 그러면서 학계가 순환하는거.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99% 교수문제임. 교수가 논문 쓰라고 독촉하고 검토피드백해서 퀄리티 높이려고 노력해야함. 학생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면 애초에 학생을 덜 받든가 고년차에게 맡겨서 공동1저자 주면서라도 정리해나가야함. 지금처럼 방치하면 절대 안됨. 많은 학생들 인건비 다 챙겨주면서 장기간 데리고있는거보면 연구비는 풍족한 것 같은데 교수입장에서는 연구비만 풍족할 수 있으면 논문 없어도 큰 문제가 없거든. 그러니까 방치해놓는거임.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5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7
YK 자대 출신 대학원생인데
2021.07.07

yk대학원은 자대생 아니면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spk spk 거리고 spk미만잡이라 외쳐도 자대생도 짤리는, 줄서서 들어가는 yk 인기랩은 충분히 spk에 비빔 (당연히 spk라도 이런 비슷한 상위랩에는 못비비지만)
근데 그런 인기랩 아닌 ㅍㅌㅊ이거나 ㅎㅌㅊ 연구실은 뭐하나 좋은게 없음.
ist처럼 돈 걱정이라도 덜하냐? 아니. 등록금 ㅈㄴ비쌈
연구에 대한 지원이 빵빵하냐? 아니. 상대적으로 ist가 더 좋음.
주변 분위기나 동료들 수준이 높아서 배워가는게 많냐? 아니. 자대생 많이 없고 학벌세탁하려는 타대생이 더 많음.
꼭 yk 타이틀이 필요한게 아니라면 타대생들은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지원 넉넉하고 분위기 좋은 ist 가는거 추천함.
정말 굳이 비교를 해야한다면 인기랩은 yk>ist 인거 같은데 평균적인 실적은 ist>>yk 라 보면됨
인기랩 갈거 아니면 닥 ist다
다만 난 자대생이면 굳이 spk 가느니 자대 인기랩 가는 메리트가 상당히 많다고 생각함
물론 최상위권 애들은 굳이 자대 갈 이유 없는데 적당한 상위권~중상위권은 걍 자대가 좋다고 생각함.
인기랩 갔다는 전제하에는 진짜 편하고 좋음.
일단 다 아는 교수님들임.
코스웍도 어차피 학부때 대강 똑같이 배웠던 교수님과 수업들이고 서로서로 잘 알다보니 부담 거의 없고 연구에만 매진 가능.
은근히 캠퍼스가 익숙하고 주변환경이 익숙한게 도움이 많이됨.
필요한 거 생겨도 바로바로 해결이 쉽고 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거에 대한 스트레스도 없음.
인기랩은 인건비 풀로 떙겨받음. 경제적으로 힘들지도 않음.
주변 동기 선후배들이 다 자대생들이고 다 능력있는 사람들이라 시너지도 많이 나고 배우는 것도 많음.
타 연구실과 소통할때도 다 아는사람들이라 편함.
인기랩은 alumni보면 취업도 다 잘함. yk라고 spk에 비해 꿀리는거 별로 없음. 학벌이 좀 많이 절대적인 일부 진로 제외하고는ㅇㅇ
하지만 마지막으로 강조하자면... 이건 인기랩 갔을 때 얘기고...
yk ㅍㅌㅊ, ㅎㅌㅊ 랩은 진짜......걸러라......
차라리 ist나 ssh 인기랩 뚫어보려고 시도해라......
yk는 전형적으로 위에 상위랩 몇개가 멱살잡고 과랑 학교 전체 끌고가는 구조임......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87 10 6781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명예의전당 283 34 60807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183 31 2133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7 - 진짜 기쁘다
80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7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2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20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5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43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0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3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5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0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2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4 - 과학기술원, 포스텍 대학원 진학을 위한 스펙은 어느정도 인가요? (지거국 학부생)
9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8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4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7 - 진짜 기쁘다
80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7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2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20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5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69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43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0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3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5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0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2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4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8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4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0
2021.07.07
대댓글 1개
2021.07.07
대댓글 2개
2021.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