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0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5 - 대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요.
조교수 랩에 대해 너무 긍정적인 이야기만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음 셋업하는 랩에서 고생만 하고 졸업하거나 포닥 때는 좋은 논문 많이 낸 사람이 교수 임용 되고 본인 교신으로는 좋은 논문 못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신생랩 선호하지 않는 거고요.
결론은 일단 최근 퍼블리케이션을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그 랩 멤버가 일저자,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봐야하고,
랩 멤버 수 대비 논문 양과 질이 괜찮은지,
좋은 논문들이 한 두 명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쓰는지 보면 됩니다.
결국 대부분 멤버가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랩에 가면 본인도 그렇게 되고요. 그 중에서 많이 가르쳐주고 챙겨주는지 자유방임인지는 면담 때 파악하고 본인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안물안궁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0 - 학부를 봅니다.
석사졸업후 취업시 학부 학벌도 중요하나요?
10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6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한국 평가 위원들 제안서 제대로 안 보는 사람들 많습니다. 실적 기준으로 평가하자는 말이 제일 많이 나옵니다. 평가 얼마나 다녀보셨나요 ? 제안서를 아주 엉망으로 쓰면 그건 당연히 안되지만, 어느 정도 평균 이상이면 실적 싸움입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김박사넷의 오각형의 오류
2019.12.13

김박사넷의 오각형을 보면 연구실분위기, 인품, 실질인건비, 논문지도력, 강의전달력의 5가지가 있다.
그렇다면,
1. 이 5가지 항목 중에서 가장 객관적인 부분의 항목이 무엇일까?
2. 이 5가지 항목중에서 가장 주관적인 항목이 무엇일까?
2번의 경우는 아마도 인품으로 나올 것이다.
1번의 경우는 실질인건비이다. 그다음이 논문 지도력이다. 특히 실질인건비는 평가를 받지 않아도 그 연구실의 방장한테 실질인건비를 물어보면 나오는 것이다.
논문지도력은 그 연구실 홈페이지에서 나온 논문수와 해당논문이 해당 분야에서 권위있게 받아들여지는지를 알수가 있다. 모르면 같은 해당 분야에서 Impact Factor 지수만 비교해 봐도 된다.
그렇다면 자기 연구실의 실질인건비가 과연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지 물어보고 싶다.
어느 연구실은 인건비가 꽤 낮은데도 오각형에는 그래도 중간은 한다. B정도는 한다.
어느 연구실은 인건비가 꽤 높은데도 오각형에서 C-D이다.
최소한 실질인건비는 바로 잡아야 하는 것 아닌가? 이것이 과연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어떤 연구실은 실질인건비가 현실보다 높게 나오고 어떤 연구실은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고 어떤 연구실은 실제보다 몇배로 낮게 평가되어 있다면 이것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1. 어떤 연구실은 현실보다 실질 인건비가 낮게 평가되었을까?
교수님이 실험실외부 사람들(다른실험실, 행정직원, 학부생 등), 특히 학부생에게 이미지가 그렇게 좋지 않다. 그래서 실질 인건비를 모르는 상황에서 평가를 받은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 경우 인품도 낮게 평가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어떤 연구실은 실질인건비가 실제보다 높게 평가되었을까?
이것은 교수님이 인품이 좋다고 판단하는 경우 실험실 내부 사정을 모르는 사람들이 이 항목에 대해서 몰라서 모든 항목을 모두 잘 평가하는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라 판단된다.
그렇다면 실질인건비를 정확하게 알려면 어떻게 할까?
1. 그 연구실의 학생에게 직접 물어보는 것이다. 가장 정확하다.
2. 실제로 1번을 했는데 오각형과 차이가 난다면, 실질인건비/인품의 비로 생각해도 어느 정도 맞을 것이다.
그렇다면 논문 지도력은 어떻게 알수 있을까?
1. 연구실 홈페이지의 논문의 질과 양을 직접 같은 분야끼리 비교해본다. 가장 정확하다.
(추가적으로 김박사넷의 학과 검색을 보면 교수들의 연구력(논문편수, 논문인용빈도)에 따라서 순위가 나오니 이것을 참고해도 된다.)
2. 실제로 1번을 했는데 오각형과 차이가 난다면, 논문지도력/인품의 비로 생각해도 어느 정도 맞을 것이다.
김박사넷 오각형, B 김GPT 39 8 10108
어쩌다 김박사넷 오게 됐는데, 김GPT 48 33 8712
요즘 김박사넷 이슈에 대한 생각 김GPT 20 6 5190
김박사넷 오각형 김GPT 2 6 3068
김박사넷 오각형 뭐이상이면ㄱㅊ?? 김GPT 0 6 6945
김박사넷 오각형뜨는거 김GPT 0 2 5846
김박사넷 평가 김GPT 0 2 5108
김박사넷의 데이타 해석 방법 김GPT 17 8 4539-
0 11 1663
아즈매와 마음 건강 명예의전당 80 18 10411-
164 20 69579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74 22 1002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19.12.13
2019.12.13
2019.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