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조현병환자는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묻지마 살인사건 중 많은 사례가 조현병환자의 망상에서 시작되곤 합니다.
아즈매와 마음 건강
16
- 혹여나 마음 따뜻한 친구들이 공격적인 댓글에 대해 나를 대신해 변론해주느라 애쓸까봐 하는 말이지만 마음만 고맙게 받겠다. 세상에는 소수지만 자신의 언사에 받을 타인의 상처에 무감각하거나 즐기는 이도 있는것 같다. 우리가 반대 댓글로서 그들의 공감능력을 일깨워줄수는 없다. 안타깝지만 그의 인생 아니겠는가.
아즈매와 마음 건강
24
- 세상에 소름 끼치네.
이런 사람이랑 깉은 랩 쓸까 겁난다.
상태도 졸라 심각한거 같은데 그 예전 누구처럼 랩에 불지를지 누가 암?
전문직이라는 것도 망상 아님?
아니 예초부터 대학원은감?
아즈매와 마음 건강
23
- 오우 망상증환자가 쓴 글인줄 알았음 응원도 안 눌렀지.
다른 글은 이 글에 비해 점수도 안 올라 감. 다들 속은걸 아는거지.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16
- 일반적인 경우라면 말씀하신대로 학부생 글쓰기는 교수 첨삭 단계에서 95%가 바뀌는게 정상이고, 그래서 학부생이 SCI 1저자를 가저가는 일이 잘 없습니다. 몇년 간의 phd grind, 그 이후 몇 년간의 faculty grind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보통 학부생이 개발과 실험을 했더라도, 그 내용을 지시했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1저자 역할을 하곤 합니다. academic reporting에 조금 더 훈련되어 있기도 하고, 결국 저자는 내용을 이해하고 그 내용을 글로 쓰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글쓴이께서는 교수님과 둘이 연구를 하신 것 같네요. 교수님 입장에서는 1저자나 교신저자나 똑같은 main author이기에 개발과 실험에 수고한 학부생에게 1저자 role을 주시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기회를 찾는 것, 그 기회를 잘 잡는 것, 지도 교수로 하여금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게 만드는 것, 모두 본인 실력입니다. 지도 교수님께 감사한 마음과 겸손한 태도를 가지시되, 그 자세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더 많은 역할을 하시길 바랍니다.
학부연구생 sci 논문 이게 맞나요
19
대학원 인건비/연구비 관련해서 다른분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2021.05.05
18
39486

다들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공감하기에는 어렵다고 생각되지만, 인건비를 많이 받는것과 적게 받는것에 대해서 연구자로써 어떤점들의 장단점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당연하겠지만, 학생들은 교수를 통해 연구지도 뿐 아니라 연구자태도도 배우게 됩니다. 교수가 학생에게 인건비 주는걸 선심쓰듯이 생각하거나 내색한 분이면, 학생은 후배나 나아가서 본인이 교수나 박사자리에 있을때 아래사람에게 비슷하게 대할 확률이 높습니다.
저는 spk중 한군데에서 박사4년차중이며, 신생랩부터 시작했던 초창기 맴버입니다. 교수님의 과제수주 능력이 워낙 출중하셔서 분명 저도 많은고생을 했지만, 연구비나 인건비 걱정이 있던적은 없습니다.
저는 운좋게도 지도교수님을 잘만나서, 연구지도뿐 아니라 태도에 대해서 정말 많이 배웠습니다. 교수님께서 학생은 연구에만 집중하기를 바라셔서, 행정선생님을 두셔서 행정일은 학생이 최대한 안하게 하시고, 같은 맥락에서 인건비도 최대한 잘챙겨주시려고 합니다. 학생이 돈걱정 없이 연구에 집중하도록, 연구비 수주도 활발하게 하시고요. 주말에는 학생들이 여친이나 남친만나서 refresh 하기를 권고하시고, 웬만해서는 주말에 출근하지 않는것을 권고하십니다. 이렇게 자율성이 높은곳 인데도 불구하고, 현 학교내에서 제일 퍼포먼스 좋은 연구실 중 하나입니다. 연구실 분위기, 교수님 성품때문에 학과 내에서도 매번 3등안에 드는 인기랩이라고 자부합니다.
이렇게만 보면, 인건비를 많이 받으면서 연구만 하는 연구실이 가장 좋아보입니다. 하지만 경험상 정말 아이러니 하게도 인건비를 많이 받는게 무조건 학생에게 좋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저는 초창기부터 시작해서, PM들도 워낙많이 맡아서 연구과제 예산을 소중히 생각하고, 학생들 인건비를 잘챙겨주시기 위해서 애쓰시는 교수님을 잘 알고있습니다. 근데 이제 5-6년차되면서 연구실 안정기에 들어온 후배들은 본인 인건비 받는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기도 합니다. 제안서도 안써본 후배들이 1-2억 과제 따오는걸 우숩게 알고, 4-5억 과제는 되야된다고 말하는것을 보고 놀라기도 했죠. 또 과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작년 본인임금이나 같은연차학생과 비교해서 조금이라도 금액이 적은 것을 술자리에서 뭐라하기도 합니다. 본인이 다른프로젝트에 추가로 들어갈 경우, 돈을 더달라고 당당하게 요구하는 학생도 있습니다. 저는 후배들한테 커피나 밥을 많이 사주는편인데, 이제는 뭘 사줘도 고맙다는 인사 듣기가 더 어려운것 같고요..
하지만 후배들과 제가 겪은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저때랑 비교하면서 후배들의 태도를 지적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저라도 지금시기에 연구실 들어왔으면 후배들과 똑같이 행동했을거라고 생각하기도 하고요.
가장 이상적인것은 모든 학생이 인건비 부족함없이 받고, 그만큼 연구나 프로젝트에 기여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재벌들도 보면 재벌1세는 큰문제없지만, 보통 재벌3세부터 여러 금전적 문제가 생기는것도 어느정도는 이해가 됩니다.
저는 후배들이 인건비를 많이 받기를 정말 바라지만, 한편으로 그만큼 책임감을 갖거나, 연구과제의 소중함을 알기를 바라는데, 언젠가 스스로 깨우치겠죠? 후배들이 이글을 볼지 모르지만, 혹 비슷한 생각을 하고계신분들이 있으시면, 부모님의 세금으로 돌아가는 과제 예산의 소중함을 알고, 책임감을 가지면 좋을것 같습니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
143
25
44408
-
93
20
20865
명예의전당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112
30
36867
-
33
36
65753
명예의전당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113
20
35110
명예의전당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189
21
33834
고전인기
서카포 자대생 인식112
23
58466
고전인기
연구자로 살길 잘했다.257
58
49594
-
244
43
77340
-
176
30
45820
-
164
24
61258
고전인기
인력난에 허덕이는 교수님들께192
57
6508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에서 드리는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533
kairi kaist ai 인턴 최종 결과
15
- 대학교순데 방학에 택배알바 할수 있을까요?
21
- 카이스트 반수 서울대
21
- S대 AI대학원 컨택됐는데 카이스트에도 지원하려고 합니다.
1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5.05
대댓글 2개
2021.05.06
2021.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