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진로 고민... 시스템 아키텍처

2021.01.07

9

10423

안녕하세요 진로를 고민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이제 4학년이라 슬슬 진로를 정해야 할 것 같고, 현재로서는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고 있는데... 진로에 대한 고민이 쉽지 않아 글을 남깁니다.

컴퓨터구조론, 임베디드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과목을 가장 흥미롭게 들었고, AP, NPU와 같이 SoC를 설계하는 시스템 아키텍처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이에 관해 궁금해 찾아보니 시스템 아키텍처에 관해 연구하시는 랩실은 많지 않을 뿐더러 전망이 어둡다는 예상도 있더라구요..

HW 엔지니어가 SW 엔지니어들에 치여 일자리나 수요도 줄어들고 있고, 앞으로 발전할 일만 남은 것처럼 보이는 SW에 비해 HW의 미래가 너무 걱정스럽습니다. 실제로 구글, 애플 등 여러 글로벌 기업들이 HW 엔지니어의 수를 줄이고 SW 엔지니어의 수를 늘리고 있는 것만 보아도 너무 걱정입니다..

혹시 시스템 아키텍처의 전망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질문이 구체적이지 못하다면 죄송합니다. 하지만 저보다 많이 알고 계시는 분이 있으실 것 같아 여기에 질문을 납깁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1.01.07

제가 봤을 때는 전망이 좋은 분야라 생각합니다. 국내 대기업도 시스템 반도체에 투자를 많이하고 있어 취업에는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시스템 반도체는 해외에서는 전부터 시장 형성이 되었지만 삼성, 하이닉스 등 대기업에서도 큰 금액을 투자하는 분야입니다.
요즘 AI 기술을 하기 위해 뉴로모픽 소자를 하나의 칩, 또는 NPU 등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미래에 전망이 좋을 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2021.01.07

시스템 아키텍쳐쪽이 sw,hw 두개 모두의 지식을 요구합니다, 힘들진 하지만 전망이 어둡지는 않아요
Augustin-Louis Cauchy*

2021.01.07

상위 1퍼센트 연봉따지면 하드웨어 디자이너가 AI 프로그래머 못지 않을텐데
Augustin-Louis Cauchy*

2021.01.07

다만 말씀하신대로 풀이 작아서 조금 힘들수 있어요. 1만명중에서 100등하는거랑 100명중에서 1등하는건 난이도 차이가 있어요
Edward Gibbon*

2021.01.07

ㄴ 풀이 작다는 건 처음 들어본 말인데, cs에 비해 작다는 건가요??
Augustin-Louis Cauchy*

2021.01.07

ㄴ넹.. 죄송합니다 타 분야랑 비교하면 풀 엄청 크죠

대댓글 1개

2023.07.17

아키텍처는 cs,ee겹치는 영역이죠
Edward Gibbon*

2021.01.07

ㄴ 죄송할 것 까지야 있나요. 저도 잘 몰라서 여쭤본건데요...
ai가 다시 부흥하게 된데에 큰 공헌을 한 것 중 하나가 하드웨어의 뒷받침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서, 어느 방향으로든 ai가 계속 발전하려면 저는 npu 쪽, processor 설계 분야가 필수적일 거라고 생각해 긍정적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soc 설계 다루는 랩이 많다고 생각했어요. 글쓴 님이 어느정도의 세부적인 부분까지 생각하면서 보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또 시스템 쪽은 전전쪽만 찾아보신 지는 모르겠지만 컴공쪽으로 속해져있는 랩실도 꽤 있더라고요. 연대는 시스템 반도체 공학과 라고 따로 그쪽 소속랩도 많고요.

2021.01.08

ㄴ 답변들 감사합니다. 사실 HW로 진로를 잡아도 될까 걱정스러운 맘에 올리게 된 글인데 어느정도 고민이 사라졌습니다. 답변해주신 것들 참고해 좋은 방향으로 진로를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