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학교 전문대학원(보건)지원 관련 고견 여쭙습니다.

2021.01.05

10

5411

현재 의과대학 본과생이고 예과 학점은 좋지 않은 편입니다. MD출신이 서울대 보건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 어떤 것을 준비하면 좋을까요? 영어, 인턴, 연구실적 등의 선택지가 떠오릅니다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1.01.05

왜가요

2021.01.05

진로 범위를 넓혀두고 싶어서 진학 희망합니다. 혹시 여기 Md학위 소지자분중 진학 희망하시는분들 또는 해당 대학원 재학생분들은 없으실까요?

2021.01.05

ㄴ보건대 md 거의 없을텐데 약사는 좀 보임

2021.01.05

MD면 그냥 접수만 하면 합격입니다.

2021.01.05

진학만 한다고 끝이 아니란 거 윗분들도 다 아실 텐데 왜 저런 댓글을...

2021.01.05

추천할만한 연구실이 없...

2021.01.06

답변 모두 정말 감사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이루고 싶은 바가 있어 진학 및 지도교수선정 이후에도 열심히 하고 싶습니다! 서울대 대학원은 컨택이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이 케이스에서도 유효할지요? 본과생이 사전에 인턴을 신청해보고 싶다면 어떤 교수님께 하는 것이 좋을까요? 김호 교수님께 하면 될까요?

2021.01.06

보건에 관심이 있으시면 우선 예방의학 레지던트를 하시는 게 낫지 않을까요? 연차가 좀 쌓이고 학위가 필요하시면 보건대 박사를 파트타임으로 같이 할 수도 있을 것 같고요.
John Dos Passos*

2021.01.06

우선 본과때 코호트 연구, 예방의학 연구에 참여해보시구요(임상과도 괜찮음), 통계, 프로그래밍 공부 해놓으세요. 예방의학과 레지던트 vs. 보건대학원 MPH 둘다 장단점이 있긴하구요, 경제적 여유가 되면 해외 MPH유학가는게 훨씬 좋긴하지요.

2021.01.06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