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문과박사 진학..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2020.12.17

10

5698

방송국 pd로 일하던 중..

지식욕이 너무 많아 ssh 특수대학원에서 원하는 전공의 석사과정을 업무와 병행하고 있었습니다

덕분에 취미생활 다 포기하고 심지어 잠까지 줄였지만 대신 지식욕이 해소되니 별로 아쉽지 않더군요

그렇게 이번학기까지 달려 다음학기 졸업논문만 남은 상황입니다. 이제 끝나면 더욱 깊이있게 현업에 종사하려 했는데,

교수님께서 연구실 들어와서 같이 연구할 생각 없냐며 박사과정 오퍼를 주시네요..

전 워낙 지식욕 많고 시작하면 집중, 돌진하는 편이라 즐겁게 임할 자신은 있는데 현실적인 문제와 부딪혀 고민입니다. 선택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죽기살기로 겨우들어온) pd 때려치고 ssh문과박사 하면서 유튜브한다.

2. 석사인 상태로 pd생활 열심히한다.

선배님들의 의견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 방송국은 충분히 들어보셨을만한 곳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Eduardo Galeano*

2020.12.17

여기 99% 이상이 이공계라서..
다른 커뮤니티에 올려보심이

2020.12.17

교수님 참 생각없으시네요... 그래도 자기 인생은 자기가 꼬는 거라지요

2020.12.17

그쪽 계열 박사 커리어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네요. 평론가?
Michael Faraday*

2020.12.17

미친짓임 설상 서울대 박사를 따도 아무 의미도 없고

2020.12.17

답변 감사합니다! 다양한 시선에 생각이 신선해지는것 같네요

박사 후 커리어는 이통3사나 CJ 같은 미디어 기업의 콘텐츠 전략 관련부서 탭 가능할듯 합니다. 물론 연계과정같은건 아니기 때문에 뚫으려 노력해야합니다.

오퍼주신 교수님 취지는 월급쟁이하다가 때 되면 밀려나오는 공무원 하지말고 좀 더 개인에게 힘이 있는 자격을 얻어 보는게 어떻겠냐 라는 이야기였습니다.

사회과학분야라 콘텐츠 관련 소비자행동 연구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객관적으로 어때보이는지 궁금합니다

2020.12.17

박사 학위가 도통 무슨 힘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당장 거기 박사 입학이 글쓴님이 다니시는 회사 입사보다 더 어렵나요? 이름있는 방송국 pd야 말로 개인에게 있는 힘입니다.

차라리 박사도 파트되는 대학원 가셔서 학위따세요. 어차피 박사가 주는 힘은 똑같아요. 아예 교수가 꿈이어서 해외 유수대학 박사 오퍼를 받았다면 차라리 고민의 가치가 있겠네요.

2020.12.17

본인이 가고싶은 길이면 여기 있는 사람들 말 안들어도 됩니다. 위에 다른 사람들이 말한 내용은 고용안정성과 pay관점에서 비추천하는 것이고요, 자아실현 등 다른 관점에 대한 고려는 본인이 직접 내리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저희 아버지도 디자인분야 박사 나오셔서 경기도권 4년제 대학 교수 잘 하고 계십니다. 유명대학 박사 아니시고요

IF : 2

2020.12.17

문학박사들은 파트타임도 많이 하시지 않나요? 일-학습 병행제 같은 걸로 도전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IF : 5

2020.12.18

어차피 박사따도 대부분 일반 월급쟁이인건 마찬가지인데 대체 무슨 개별의 힘이 생긴다는건지 모르겠네요.
교수들은 그 분야 박사들 중 제일 잘 풀린 케이스라 보통 최악을(때로는 차악까지도)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밝은 쪽만 보고 인생조언을 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 점 고려하시면서 최대한 걸러서 들으세요.

2025.01.18

책임질 가족이 있다면 pd하셔야겠지요.
아니면 때려쳐버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