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요?

Sima Qian*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0.12.08

9

6646

1부터 100까지 수식을 이해하면서 읽나요?

감이  안잡힙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Allen Newell*

2020.12.08

인트로덕션 5번읽고 그림대충보고 결과5번정독
Sima Qian*

2020.12.08

ㄴ 그럼 본연구의 필요성과 그것의 결과만 알고 과정은 두루뭉실해도 된다는 건가요?
Allen Newell*

2020.12.08

본인한테 진짜필요하고 무조건알아야하면 수식다 이해하면서 읽죠 근데 시간너무오래걸리니

2020.12.09

제가 막 입학하고 진짜 분야 1도 모를때 썼던 방법

우리 연구실의 졸업생들 석사논문부터 읽음

운좋으면 한글로된 설명도 있고

아무튼 백그라운드설명을 잘해줘서 기초지식 쌓기 좋았음


그다음 하고있는 과제 제안서랑 보고서들 읽음

여기도 마찬가지로 한글로 써있을 뿐더러

비전공자도 이해하고 이 보고서를 다른 용도로 활용할수 있도록 쉽게 써져있음


위 두가지에서 공통적으로 참고문헌 삼는 논문들이 있을거임

초짜때는 좋은 논문찾기도 힘든데 학위논문/보고서에 실린 참고문헌은 일단 검증한번 된거니 그걸 또 읽음

보다보면 비슷한 주제에서 공통적으로 인용하는 논문들이 보이고

자주보이는 이름들이 등장해서 뭔가 익숙해지기 시작


그러다가 리뷰논문 한편 찾아 읽으면 (보통 검증된 연구들을 가지고, 최신 연구트렌드들을 설명해주는 논문)

뭔가 발전된 모습이 스스로 느껴지기 시작함
Sima Qian*

2020.12.09

ㄴ 그렇다면 수식을 이해하는데 학부생 수준으로 이해가 가능한가요?

IF : 2

2020.12.09

수식이 있는 논문이 이해가 안 가서 그러시는 건가요? 논문에 써 있는 수식을 다 풀어낼 정도는 아니어도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뭘 의미하는 건지는 이해하셔야 해요. 논문 읽는 독자가 학부생이든 대학원생이든 무관하게 그 논문에 대해 스터디 하시는 거면 그 수식을 처음부터 다 풀어내지는 못하더라도 그 수식이 뭘 의미하는 건지, 어떤 데이터를 어디에 넣고 값이 어떻게 산출되는지 등등은 다 이해하셔야 해요.
Sima Qian*

2020.12.09

ㄴ좋은 조언들 감사드립니다

2020.12.09

감사합니다

2023.07.21

저는 개인적으로 초록 결론 피규어 결과 실험방법 순으로 읽습니다.
초록과 결론에서 논문에서 멀 말하고 싶은지 파악하고 피규어 보면서 친해지고? 결과에서 저한테 필요한 부분 찾고 제 연구 주제랑 비슷하거나 참고가 가능하면 실험방법을 보는순으로 읽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