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짜때는 좋은 논문찾기도 힘든데 학위논문/보고서에 실린 참고문헌은 일단 검증한번 된거니 그걸 또 읽음
보다보면 비슷한 주제에서 공통적으로 인용하는 논문들이 보이고
자주보이는 이름들이 등장해서 뭔가 익숙해지기 시작
그러다가 리뷰논문 한편 찾아 읽으면 (보통 검증된 연구들을 가지고, 최신 연구트렌드들을 설명해주는 논문)
뭔가 발전된 모습이 스스로 느껴지기 시작함
Sima Qian*
2020.12.09
ㄴ 그렇다면 수식을 이해하는데 학부생 수준으로 이해가 가능한가요?
IF : 2
2020.12.09
수식이 있는 논문이 이해가 안 가서 그러시는 건가요? 논문에 써 있는 수식을 다 풀어낼 정도는 아니어도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뭘 의미하는 건지는 이해하셔야 해요. 논문 읽는 독자가 학부생이든 대학원생이든 무관하게 그 논문에 대해 스터디 하시는 거면 그 수식을 처음부터 다 풀어내지는 못하더라도 그 수식이 뭘 의미하는 건지, 어떤 데이터를 어디에 넣고 값이 어떻게 산출되는지 등등은 다 이해하셔야 해요.
Sima Qian*
2020.12.09
ㄴ좋은 조언들 감사드립니다
2020.12.09
감사합니다
2023.07.21
저는 개인적으로 초록 결론 피규어 결과 실험방법 순으로 읽습니다. 초록과 결론에서 논문에서 멀 말하고 싶은지 파악하고 피규어 보면서 친해지고? 결과에서 저한테 필요한 부분 찾고 제 연구 주제랑 비슷하거나 참고가 가능하면 실험방법을 보는순으로 읽어요
2020.12.08
2020.12.08
2020.12.08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3.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