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터넷 세상이 다 그렇죠 뭐,,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6 - 인터넷만 보면 다들 서울대 교수임 ㅋ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1 - 아니 뭐… 평생교육원 같은게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인거죠. 누구나 이름대면 알만한 명문대에서 실제 연구진 양성을 목표로 인류첨단의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일수야 없죠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1 - 인터넷은 허언과 뻥 소수의성공자만 글씀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2 - 실제로 진학한 사람들은 보기만하지. 글 별로 안씁니다 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9 - 신임 교수가 바쁜 당연하고 외부 미팅도 많은 게 당연함
미팅 100번 해야 1개 얻음 신임은
근데 자기 실험실 관리도 못하면 망하기 딱좋지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1 - 요즘 연구비 딸려면 AI 무조건 붙려야되서 그럼ㅋㅋ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3 - 옛날같으면 공학석사 졸업하면 앵간하면 다 취직됬는데
요즘은 신입 잘안뽑는데 그게 무슨 사람탓인가요 경기탓이지
하여튼 일단 반박하는 꼬라지
석졸 후 다 떨어지면 머하시나요
13 - 거 지금 제일 핫한 분야에 가려고 하면 당연히 어렵지 않겠습니까?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2 - 맨날 어디 미팅다니시고 밥먹으러 다니시고
미팅 <- 이게 일입니다
밥먹으러 <- 이게 일입니다.
뭐 교수가 박사띠리 교수따리 학부생따리처럼 입.문.서 같은거 보고 공부할줄 아셨습니까?
업계 최정상 사람들이랑 미팅 하면서 밥 먹으면서 트렌드 파악하는것도 일입니다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9 - 1. 신임교수는 첫 3년 정도까지는 수업 로드 때문에 연구할 시간이 없음
2. 신임교수는 연구실 세팅부터 정말정말 행정 잡일이 많음
3. 그래서 재임용은 보통 포닥 때 쓰던 논문들이 억셉되거나 박사/포닥 지도교수님 도움을 받아서 실적 냄
4. 대학원생의 흔한 착각 중 하나가 본인이 공부해서 알려주면 교수가 잘 모를 때 자기는 똑똑하고 교수는 멍청하다고 생각함. 같은 분야라도 학문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데, 논문 몇 개 읽고 공부했다고 랩미팅 때 교수가 잘 모르는거 같아 무시하는건 진짜 철없는 짓.. 그 교수가 님 연차였을 때는 10배는 더 날아다녔음. 입지와 위치와 상황이 달라진거지 글쓴이한테 무시당할 사람들이 아님
5. 미팅하고 밥 먹으러 다닌다고 표현 하는것도 학계를 아예 모르면서 하는 이야기. 교수들은 최소 글쓴이 포함 대학원생들 했던거 다 했고 그중에서도 에이스였던 사람들이고, 지금은 그들만의 일/연구 하는 방식이 있는거임. 미팅을 술 마시고 노가리 까러 가는줄 아시나
6. AI 넣어서 융합하게 트렌드 따라가고 새로운 도전이고 그런건데 뭘 그렇게 무시하는지 모르겠음. 누구나 처음은 서툰거고, 그리고 원래 연구실의 새로운 연구는 대학원생이 주도하는거임. 님이 그렇게 실력키워서 나중에 교수되면 님 제자가 똑같이 하고, 그러면서 학계가 순환하는거.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99% 교수문제임. 교수가 논문 쓰라고 독촉하고 검토피드백해서 퀄리티 높이려고 노력해야함. 학생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면 애초에 학생을 덜 받든가 고년차에게 맡겨서 공동1저자 주면서라도 정리해나가야함. 지금처럼 방치하면 절대 안됨. 많은 학생들 인건비 다 챙겨주면서 장기간 데리고있는거보면 연구비는 풍족한 것 같은데 교수입장에서는 연구비만 풍족할 수 있으면 논문 없어도 큰 문제가 없거든. 그러니까 방치해놓는거임.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5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7
2021년 후기 입학 예정 연구실 transfer (긴글)
2021.02.23

예전 글 본문 ——————————————-
작년 말쯤에 교수님 한 분이랑 컨택을 하고 연락이 잘 되어서 지금까지 교수님 밑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며칠전에 저를 부르시더니, 본인이 2021년도 전기에 학생을 다른 교수님들 보다 많이 받아서, 후기 때는 티오가 없거나 아주 적을 수도 있다는 식으로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을 하실 때, 본인이 결정한다 라는 식보다 학교가 티오 몇명이라고 지정해준다~ 라는 뉘앙스로 말씀 하셨습니다).
만약 이번에 들어가지 못하면 저는 기다렸다가 2022년도 전기로 입학 하는 것이 나을까요 (교수님이 전기때는 티오가 많을거라 걱정하시지 말라 하셨습니다) 아니면 지금이라도 다른 교수님을 찾아서 컨택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 물론 이 교수님의 연구 분야가 맘에 들고 공부하고 싶지만, 시간을 낭비하는 것 같아 조금 망설이게 됩니다.
예전 글 본문 ——————————————-
이 글 이후로 많은 분들이 인턴이니 편하게 해봐라, 라고 해주시고, 저도 아무에게도 컨택을 안하고 이 교수님만 믿기엔 나중에 후회할 것 같아 다른 학과 교수님께 컨택을 하고 오늘 면담까지 마쳤습니다.
오늘 면담하신 교수님은 저에게 “조금 연락을 늦게 주긴 했는데, 일단 먼저 연구실로 출근해서 일을 해보고, 우리 연구실에 적응을 잘 하고 열정이 있으면 후기 때 티오가 없어도 뽑는다”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경우에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될까요? 이 연구실로 옮기는 게 좋을까요? 연구 분야는 둘 다 비전도 있고 제가 공부하고 싶은 분야 입니다. 이 교수님께 가벼운 마음으로 컨택을 드린 건 아닌데, 한 순간에 모든 걸 정하려니 부담이 되고 괜히 주저하게 되네요. 만약 여러분들이였으면 어떤 선택을 하실 것 같나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퇴임앞둔교수 김GPT 1 3 5123-
0 9 1494 -
0 7 1831
입학전 자퇴... 김GPT 3 3 521-
2 8 1454 -
2 5 1198
대학원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GPT 0 6 1624
자퇴하고 타대학 대학원 가려면 김GPT 0 4 532
같은 대학 다른 학과 연구실 변경 김GPT 0 5 838-
127 48 31430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51 34 103866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43 39 43795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6 - 진짜 기쁘다
7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4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7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2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19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41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0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3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5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28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2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4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5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4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69 - 미국 컴공 석사 관련 질문
10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