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들어올 것을 기대하고 뽑나요? 제가 공부하고 싶은 주제와 다른 주제를 연구하는 실험실인데 연구 방법은 동일한 것 같아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주제가 다르기 때문에 이 연구실로는 진학하지는 않을 것 같아서요. 그냥 공부하기 위해 지원을 해도 되나 싶기도 하구요. 물론 뽑힌다는 보장도 없지만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06.02
연구실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인건비를 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큰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인건비를 주지 않을 때는 학생 본인의 경험난 쌓으려는 경우에도 받아줄 수 있겠지만 인건비를 주어야 하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학생이 연구실, 또는 과제에 어떤 식으로든 기여를 할 수 있는지 판단하겠지요.
물론 여기에 해당 연구실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공급 상황도 관련이 있겠지요.
공급이 충분한데 굳이 본인 경험치 쌓으려고 인턴하고 싶어하는 학생을 받을 정도로 연구비가 넉넉한 연구실은 요새 드물 겁니다.
대댓글 3개
2025.06.05
어떤거를 위주로 보나요? 대외활동, 학점, 인성 등등 어떤 순서대로 중요할까요?
2025.06.06
학점은 무조건 보는거고 후에 부가적인 학연생 활동들을 보죠 인성은 뭐 면담할 때 대충 보입니다
2025.06.06
인건비를 주고 장차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는 경우는 학부+학점을 통해서 학습 및 연구 역량을 평가합니다. 어느 정도 학부에서 어느 정도 커리를 진행했는지 봅니다. 레퍼런스가 없는 학교의 경우 사용한 교과서를 물어보기도 합니다.
대체로 SSH에서 상위 10%, 중경시 5% 정도면 큰 문제 없는데 이를 만족하지 못해도 모티베이션이 충만하거나 영어 실력이 탁월하거나 하면 한번쯤 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2025.06.02
대댓글 3개
2025.06.05
2025.06.06
2025.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