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자대에서 경험 더 쌓고 타대 진학 vs 짧더라도 타대에서 더 일찍 인턴

2023.02.09

2

612

안녕하세요 졸업을 1년반 앞두고 고민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우선 저는 현재 고대를 다니고 있고, 대학원은 서울대 생명과학 분야 연구실로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학점과 어학성적은 높은 편이기는 하나 연구 경험은 1-2개월짜리 방학 연구인턴 2번이 전부입니다.
2024년 가을에 대학원에 입학하는 것이 목표이기는 하나 신청하고자 하는 연구실이 인기가 많은 편인 것 같아서 언제 컨택을 하고 인턴을 시작할지가 고민입니다.

우선 현재 생각하고 있는 선택지로는:
1. 방학 중 학부연구를 했던 자대 연구실에서 1년동안 학부연구로 경험을 쌓고 나서 타대 목표 연구실에 컨택, 24년 1월에 그곳에서 학부인턴을 한다. 이렇게 하면 연구 경험을 확실하게 쌓아 놓을 수 있고 자대에서 6학점도 인정받을 수 있으나, 자대 연구실이 목표 연구실과는 연구분야가 조금 다르다는 것과 인기 연구실 대학원 컨택을 반년 전에 해도 되는지가 마음에 걸립니다.
2. 목표 연구실에 더 일찍 컨택하여 올해 여름과 내년 겨울에 2번의 학부 인턴을 한다. 이렇게 한다면 희망 진로 분야의 연구를 더 일찍 시작할 수 있고 대학원생 티오도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나, 결국 대학원 입학 전에 제대로 된 연구 경험을 쌓지는 못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고민됩니다.

2학기 대학원 입학을 목표로 할때, 타대생으로서 가장 적절한 컨택 시기는 언제일까요? 자대에서 1년동안 학부연구를 하려면 빠르게 교수님께 연락을 드려야할 것 같은데, 목표는 확실한 상황에서 괜히 더 중요한 컨택 시기를 놓치게 될까봐 걱정되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어떤 조언이라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성급한 플라톤*

2023.02.09

우선 컨텍을 시도해서 2번이 가능하다면 그쪽을 보셈

1년 반동안의 인턴경험은 큰 도움이 될 수도 있으나, 분야가 다르다면 의미없을수도 있고
컨텍을 통해 두번의 방학 인턴(4~6개월?)이 가능하다면 입학후 그쪽 연구실에 갈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것과 동시에
연구실 굴러가는 상황을 알 수 있음

이는 교수가 남에게는 따듯하지만 내 애들에게는 개x끼였다? 를 확인할 수 있고
연구실원들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음 (안맞아서 때려치는경우 자주봄)

즉, 가고싶은 연구실이 어떻게 굴러가지는지를 미리 경험해볼 수 있다면 가장 좋은 방향임

컨텍안되면? 자대에서 학부연구생 굴러야지뭐

대댓글 1개

2023.02.09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렇다면 우선 목표 대학에 여름에 학부연구 가능할지 먼저 컨택해보는게 좋겠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