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해외대 유학생, 국내대 학부연구생 컨택 고민 (통계, 데이터분야)

2020.06.17

4

4875

저는 캐나다 모 대학에서 3학년을 막 마친 유학생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4학년 전체가 비대면으로 확정되어 한국 대학교에서 랩실 인턴 (학부연구생)을 하고 싶은데 (통계쪽 관심) 이제 막 3학년이 끝난지라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정도, 회귀분석용 R사용 정도를 할 줄 알고 computer science 전공을 계획했던 탓에 python을 사용하는 과목도 꽤나 들어 python을 사용할 줄 알고 알고리즘도 압니다. 

희망하는 대학교 웹에서 연구실 별 소개와 관심분야, 연구분야를 세세히 읽어봤는데 당연하겠지마 제가 배운 지식 그 이상을 요구하는 부분 밖에 없더군요. (공간 통계, 비모수 검정, 머신러닝 등은 정말 1도 몰라요...) 

한국에서 대학교를 다니는 친구들은 3학년, 4학년때도 학부연구생으로 여름을 보내는걸 봐온지라 학부연구생이라는 직책이 얼마나 막중하고 어느 정도의 전공지식을 요구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저 정도의 전공 지식을 가지고 학부연구생 지원 및 컨택을 해도 되는지요. 

그리고 가능할 경우 cv상의 research of interest 부분에 연구실 별 관심분야 또는 연구분야가 왜 배우고 싶은지에 대해 적어도 되는지요.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0.06.17

제 생각에 통계는 linear regression로는 많이 부족하고, 산업공학쪽 연구실로 가는 건 코딩이 익숙해야 할 것 같은데요. 통계쪽은 또 연구실이라는게 많이 없구요. 학부연구를 경험하고 싶으시면 산업공학이나 컴퓨터공학인데 AI쪽 지식이나 수학 선수가 안되있으신 것 같아서... python이 익숙하시면 산업공학과 쪽 연구실들 컨택해보심이 좋으실 것 같아요.
Pearl S. Buck*

2020.06.17

저는 문과출신인데 지금은 머신러닝 해외저널도 씁니다 머신러닝입문서 하나잡고 완독해보세요. 논문에도 피인용되는 좋은 서적들 많습니다. Goodfellow의 deep learning 같은거요

2020.06.17

수학은 선형대수와, 다변량 미적분까지 들었습니다.
좋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2020.08.18

미국 학부생이고 이번 여름에 SPK에서 인턴으로 있었습니다. 담고싶은 글은 많은데 덧글, 답글로 말씀드리기 어려움이 있네요.
주관적이지만, 일단 학부연구생의 '중책'에 관해선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될것같습니다.
자대와 여기서도 인턴을 해본결과, 학부생은 학부생이니 석박과정생들이나 교수님들은 애시당최 저희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습니다. 전 전공을 조금 틀어서 들어갔는데, 전공 맞춰 들어간 다른 인턴 친구들도 들어오자마자 한달정도는 리뷰논문만 보더라구요. (물론 저에 비해 이해도가 훨씬 빠르긴 했습니다).

그래서 3학년을 끝낸 정도의 전공지식은 학부연구생으로 남기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학부연구생을 어떻게 대하는지에 대해선 랩바랩인데, 말씀하신걸 보니 한학기 정도 길게 있고 싶어하시는것같네요.
그럼 개인 연구를 할지 / 석박과정생을 도울지를 고려하시면 좋을것같습니다.
과마다 다르겠지만 전자의 경우엔 한 1년 이상은 있어야할것같구요... (개인 연구를 하겠다고 하면 싫어할 교수님도 계십니다)
후자의 경우가 부담없이 배우기는 편할것같아요.

어디까지나 랩의 입장에선 학부생은 가르쳐야할 존재로 생각하니, 너무 걱정마시고,

CV에 랩에대한 관심을 적기보단, 이메일로 CV를 보내면서 하고싶은 말은 이메일로 하는게 좋을것같아요.
더 궁금하신점은 오픈톡에 '오뎅맛 떡볶이'로 여쭤보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