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후기석사예정인데 너무 고민입니다..

2019.04.23

13

3693

학부생때 대학병원 폐질환 유전체 연구 쪽으로 인턴을 다니면서 자연스럽게 기관지 분야와
학부생때 들은 면역학에 너무 관심을 갖게 되어 폐 질환과 면역 두개를 같이 하는 대학원을 찾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학원을 고민하고 결정할 시기에 제가 배우고 싶은 연구를 충족하는 곳을 찾지 못해서 지금 면역세포를 가지고 연구하는 곳으로 컨텍하여
석사 입학 전까지 그 랩실에서 인턴으로 다니고 있습니다. 인건비 주시는데 너무 적고 제가 배우고싶은 분야의 랩실을 다시 찾아야 하는지 고민입니다.
만약 학생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교수님께서 그 학생에게 연구 주제 과제를 주실텐데
지금 저한테 주실게 딱히 없으시다고 하시고 2~3개월은 쭉 기본적인 실험만 가르치시고 싶어하십니다.
보통 학생으로 들어가게 되면 연구 과제 주제는 언제 받나요?
계속 참고 다녀야할지 다른곳을 알아봐야 할지 고민입니다.. 다른곳을 알아본다면 내년으로 입학하게 되는데 그것도 조금 걸리고,,정말 모르겠습니다. 조언듣고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19.04.23

대학원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인데 연구인건비를 어떻게 주나요? 그것도 학부생한테..
배우러가는데 왜 돈을 적게준다고 불평하는건지 모르겟네요
과제를 수행할만큼 연구력이 있으신건지
아님 글을 잘써서 교수대신 논문을 출판해주실 수 있는건지
남들도 받으니까 나도 받겠지라는 생각은 너무 어려요

기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입학전이면 학교소속도 아니여서 학생연구인건비를 받을 수도 없고요
일반연구원으로 인건비를 받으시려면 연구기관소속으로 임용이 되어있어여 하는데
해당사항이 잇으신지도 확인해봐야겟죠

2019.04.23

지금 받는 돈보단 입학 후 얼마 받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원하시는 연구를 당장은 아니더라도 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지, 그런 여건이 되는지 확인하는게 중요합니다. 아니라면 다른 곳을 알아보셔야 할 것 같아요.


물론 입학 하자마자 하고싶은 연구하면 참 좋겠지요. 하고싶은 연구가 있다는 것만으로 축하할 일입니다. 근데 그런게 가능한 연구실이 아니고 도저히 다른곳이 없다면, 관심사 계속 유지하시고 교수님이 지도하시는대로 기본 실험만 배우셔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이제 시작하는 거잖아요?

2019.04.23

ㄴ Ibn Khaldun
정말 돈 안받고 여길 다니면 메리트 있겠다 하면 안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긴 그렇게 특별한 메리트 있는것도 아니고 보통 대학원생으로 들어가는 학생에게 생활비지급 해주지 않나요? 생명과학계열입니다. 그리고 바로 졸업한 학사들에 비해 현장에서 바로 과제 수행할 실험 기법 능력 충분히 됩니다.

2019.04.23

ㄴKarl Marx
입학 후 얼마 주는지 교수님께서 자꾸 애매하게 말하셔서 정확히 모르는 상황입니다..
저는 폐 면역 분야를 배우고싶었지만 없어서.. 여기는 코 알레르기라 더 생각해봐야겠어요..
이제 시작하려는데 제가 맞는 길인지 2년이란 시간 동안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지 걱정이되서요,,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ㅜㅜ

2019.04.23

학부생은 굳이 없어도 되는데...
ㄹㅇ 1도 도움안되는데...
왜 무조건 돈 줘야한다고 생각하는건가..
Hans Holbein the Younger*

2019.04.23

이런 분들이 인턴끝나고 여기와서 교수 욕 많이들 하더라고요 ㅋㅋㅋㅋㅋ

2019.04.23

돈안받고 다닐수 있겠다는 메리트는 무슨 메리트인지 궁금하네요.
"보통"의 대학원생들에게 생활비 정도는 지급해준다는 건 금시초문이구요. 말 그대로 "인건비"이니, 그 만큼 연구과제나 학술적 진흥에 도움이 되셔야 합니다. 말씀하신 30만원은 교수님깨서 학부생 (학력상 고졸)이신 글쓴이 분께 지급할 수 있는 "보통"의 최저임금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마음이 좀 편하실거 같아요.
그리고 잘 아시겠지만, 연구에는 실험만 있는게 아닙니다.
실험기법보다는 어떤 실험을 구상하느냐를 결정하는 Perspective가 연구자에게 필요합니다. 그게 연구력이구요.
그건 글쓴이 분께서 석사 들어가셔서 빨리 깨닳을 수록 좋아요.

제가 보기에는 교수님께서 글쓴이 분에게 적당한 배려릉 하주고 계십니다.

2019.04.23

@Ibn Khaldun
음 제가 헷갈리게 말한게 있는건지.. 졸업은 올해 했고 학사입니다.
졸업 후 후기 대학원생으로 들어가기위해 컨텍한거고,
지금은 석사 진학 하기 전에 인권비 주신대서 다니는겁니다.
지금 소속되어있는 선배 말 들으면 원래 인권비 더 주는건데 제가 처음부터 다 네네 해서 그렇게 적게 주신거같다 하셔서 더 그런거같네요.

2019.04.24

음 그렇다면, 과제에 인턴 인건비 세목(이런게 있는 과제가 있을진 모르겠지만)에 할당된 예산이 적거나, 애초에 인턴에게 지급되는 인건비 상한선이 있을 수도 있어요.

다행인건 석사생들에게는 좀 더 많은 인건비가 책정된다는 것인것 같아요.
대학원에서도 업무량과 능력에 따라서 인건비는 주어지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석사진학 후에 인건비를 올려주실 수 도 있을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제안드리고 싶은 것은,
본인이 해당 분야에 관심도가 높고 , 연구에 열정적이시라면 실험 Proposal을 한번 써보는 것은 어떨까요?
학사여도 실험 프로토콜을 어느정도 아신다고 하니, 논문을 많이 읽다보면 실험 Proposal정도는 작성할 수 있을것 같아요.
교수님도 이 학생이 연구에 열정이 있고, 비록 석사진학 전이지만 아이디아를 제시할 능력이 된다면 과제를 맡기시겠죠.

2019.04.24

내가 교수라면 인턴 안받음. 연구 배우러 와서 시약 다 쓰고 박사들이 시간 내서 실험 가르쳐주고, 그렇다고 큰 도움이 되는것도 아니고... 게다가 월급까지 줘야함. 차라리 그 돈으로 외주 줘서 실험 맡김.

2019.04.25

교수는 교육자니까요..
물론 이걸 망각하시는 분들이 절반 이상인것 같지만

2019.04.25

교수는 교육자인데, 연구비 집행기관이나 학교나 그들을 평가할땐 논문 실적만 하죠. 그러니 외주가 점차 늘어가는 상황... 노동력은 대학원생으로만 해도 되는 시대가 와버림... 지방 대학들은 인턴으로 버티는 곳도 있을텐데 이런 격차가 점점 심해질겁니다. 설대 대학원도 미달나는 판에... 그럼 교수들이 학부생을 인턴으로 써가며 할지, 아님 원하는 실험만 회사에 그돈으로 외주를 줄지 ㅋ...

2019.05.28

저도 같은 고민을 해본 적이 있어서 댓글을 달게요.
결과적으로 봤을 때 원하는 목표를 달성해주게 하나요?
만약 아니라면 다니지 마시고 다른 곳 알아보세요.
전 대학원 과정이 정말 힘들었지만 제가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어서
온갖 수난을 겪으면서 다녔습니다.
그래서 저는 후회는 없습니다.
인건비 받는 것 떠나서 진지하게 고민해보실 부분입니다.
왜냐면 그만큼의 돈, 시간, 에너지를 투자하는 것이니까요.
만약 금전적인 부분이 걱정이시라면 직장을 알아보시면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