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웃기지않아욤 다들 그런마음으로 학위하는거애욤😄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0 - 뭘 붙어요 붙긴. 철학이 무슨 결투의 장이라도 되나보죠 ? 의미도 없는 말싸움에서 이기면 자신이 무슨 대단한 인물이라도 되는 줄 아나봄. 제발들 진짜 철학을 하세요. 어짜피 금방 무너질 자존감 세우는 도구로 철학을 이용하지 말구요.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9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7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29 -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2 - Gpt로 논문 읽는사람 보면 마치 한 자릿수 덧셈도 암산이 안돼서 계산기 쓰는 사람 보는 심정임.
물론 gpt좋고 효율적이지. 근데 gpt 없이도 혼자 해결가능한 수준에 오르고 나서 gpt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6 -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3 - 교수님들은 지잡대 교수님들도 다 훌륭하신 분들입니다.. 결국 학생들 수준이 교수님과 연구실의 평가를 정하게되는거죠.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1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2 - 포연고 까지 빼야되면 사실상 대한민국 이공계 망했다 아님?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0 - 문과라는게 애시당초 기술이라는게 없음. 당장 제일 인기있는 로스쿨에서도 법을 공부해서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변호하고 판단하는 일이지. 과학기술 정책학? 굳이 박사학위가 있어야 정책을 세우나?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3 - 인문학 계열은 학문의 깊이가 다름..
나야 전공수업 몇 개 듣고 실험이나 좀 하면서 논문 쓰고 얼레벌레 졸업하기는 했지만
인문학이나 아니면 진짜 자연과학으로 박사하는 사람들은 진짜 리스펙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1 - 이건 뭔소리지..ㅋㅋ
학문적 난이도, 깊이, 공부량 모두 인문학은 이공계 상대도 안됨
공과>>자연>>>>>>>인문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2 
미국 대학원 랩실 알아보는 방법 / 해외대학원 커뮤니티가 있는지?
2020.08.18

안녕하세요, 미국 공대 탑10 학교에서 이제 3학년으로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이번 여름에 SPK랩에 컨택해서 타대생임에도, 학부연구인턴으로 있어봤는데요,
자대에서 2년간 연구실에 있던 경험도 있고,
2학년이 끝난 여름방학에도 SPK에서 인턴도 해보다보니
3학년이 끝난 여름방학땐 아예 제가 대학원으로 가고싶은 미국 랩에 미리 컨택을 해서 지금처럼 컨택을 해서 가능하면 인턴을 해볼까 합니다 (안되면 자대 리서치 프로그램을 할듯합니다)
개강전에 시간도 남고 해서 겸사겸사 미국 내 제가 관심있는 분야를 다루는 랩실을 찾아보고있는데,
가뜩이나 랩실찾는것도 힘든데 워낙 대학이 많다보니 더 어렵게만 느껴지네요.
현지서 수학중이신 다른 선배님들은 어떻게 알아보셨었나요??
현재까지는
1. 구글에 대학 이름 + 관심 연구분야 lab을 검색후, 상위검색에 뜨는걸 찾거나
2. 대학별 홈페이지에 들어가 directory나 faculty를 보며 찾거나,
3. 논문에서 자주보던 이름을 위주로 검색해보았습니다.
지금까지 한 8개의 학교들을 이런식으로 찾아봤는데, 솔직히 제 성적에 비해 너무 욕심을 부리는게 아닐까 싶어서 눈을 조금 낮춰서도 찾아보려합니다.
문제는 이렇게 찾다보니 연구실 수도 너무 많아져서 스스로 비교하기가 어려워지는데요, 선배님들의 고견을 묻습니다.
또, 국내에 김박사넷과 같은 해외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커뮤니티가 따로 있을까요?
Bric, 고우해커스, 하이브레인넷등을 봐도 국내위주가 많아서 그냥 레딧을 봐야하나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0 6 29910 
Top3 포닥/ 20~30위권 미박 김GPT 6 44 9395
서울대 파트타임 석사 김GPT 0 1 2188-  
 3 18 4078 -  
 0 5 2856 
교수님이랑 오늘 컨택 면담 했는데 김GPT 0 5 1336
파트타임 학생은 김GPT 0 3 1881-  
 2 9 1927 -  
 0 5 1579 -  
 103 68 18259 -  
 298 46 75772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명예의전당 568 45 93906
미국 유학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미국 유학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9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9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54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4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0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3 - 안녕하세요. 철학자 B 입니다. 
 10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22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10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39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4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2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