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탑스쿨 박사

2022.11.01

20

1639

학사, 석사를 국내에서 했는데 학벌이 안좋아도 연구실적이나 논문이 좋으면 가는경우가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낙천적인 로버트 후크*

2022.11.01

Top5 는 연고대 밑으로는 거의 없고, top 5 -15에는 서성한이 출신도 종종 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2.12.13

애초에 설카 출신 정도만 아주 미약하게 의미(들어본 학교)있고, 연고니 서성한이니 의미 없음. 본인 능력이 젤 중요 서성한이는 또 뭐임 ㅋㅋ
짓궂은 백석*

2022.11.01

Mit 하나만도 찾으면 온갖 출신들 잇긴 합니다. 스토리가 궁금해지는데 평범하진 않겠죠
집요한 임마누엘 칸트*

2022.11.01

유일한 방법이 연구실적이 아주 좋아야 하는 건 맞지만 현실적으로 학벌이 너무 낮으면 그 실적마져도 학생 실력이 아니라 지도교수 실력으로 보고 높게 평가 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끄러운 노엄 촘스키*

2022.11.02

네 이론적으로 (?) 논문 실적이 좋으면 당연히 관심 가집니다. 공부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연구잘할 사람 뽑는데 당연히 논문 실적 좋으면 유리하죠. 근데 탑스쿨에서 관심 가질만한 실적이란건 당연히 그 분야 탑티어 논문이어야겠죠. 그리고 미국에서 한국 대학 서열 세세히 알지도 못하고 관심도 없습니다. 제 지도 교수도 한국 스쿨은 SNU, KAIST만 알아요 . 보통 랭킹을 찾아보거나 하지 않고 해당 분야 탑티어 논문이 많이 나오는 학교를 자연스레 알게되는 경우죠 (그래서 우리교수는 KAIST가 가장 좋은 학교인줄 알고있음 ㅋㅋ).

대댓글 1개

옹졸한 비트겐슈타인

IF : 1

2022.12.11

진짜임. 아 나는 포스텍 나왔는데 설명해야한다는게 매우 억울함?ㅋㅋㅋㅋㅋㅋ 그래도 뭐 영어 쑥쑥늘지모 ㅋㅋㅋ

2022.11.02

오히려 반대입니다. 학벌이 좋아도 연구 실적 없으면 힘들어요. 왠만큼 마이너한 분야 아닌 이상. 그리고 그런 정량 스펙이 있는 사람들이 지원하기 때문에 학벌은 오히려 덜 중요합니다. 대신 학벌 좋은 친구들은 좋은 추천서를 학계에서 알려진 사람한테 받기 수월하기니까 유리하고요.

대댓글 9개

낙천적인 로버트 후크*

2022.11.02

학벌이 좋아도 연구실적 없으면 힘들지만, 학벌이 안좋으면 아예 기회 조차 없습니다. 중경외시, 부,경 등에서 mit 대학원 갔다는 사람은 들어본적도 없습니다.
시끄러운 노엄 촘스키*

2022.11.02

인과관계가 그게 아니겠죠. 중경회시부경에게 기회가 안가는게 아니라 중경외시부경에서 탑스쿨을 갈만큼 실적이 뛰어난 학생이 없었겠죠.
시끄러운 노엄 촘스키*

2022.11.02

그리고 개인적으로 말씀하신학교에서 탑스쿨 가신 후 sk에 교수로 임용되신 분 알고 있습니다.
낙천적인 로버트 후크*

2022.11.02

중경외시, 심지어 그것보다 훨씬 낮은 학부에서도 sci 1저자로 여러편 들고 있는 경우 많습니다.학벌이 낮다고 실적이 낮은건 아니죠. 그냥 거기서 아무리 잘해도 탑스쿨에서 안뽑아줍니다.
시끄러운 노엄 촘스키*

2022.11.02

중경외시보다 못한 학부에서 탑티어 sci 여러편을 학부생이 1저자로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말은 누가봐도 거짓말입니다.
낙천적인 로버트 후크*

2022.11.02

ㄴ 검색을 좀 해보세요. 하위권 학부일수록 대학원생이 없기 때문에 학부생이 sci 논문 쓰기 쉽습니다. 중경외시보다 훨씬 낮은 지방 사립대에서도 논문 가진 학부생들 꽤 있습니다.

2022.12.10

연구하신다는 분들이 찾아보면 근거자료 다 나오는걸 비공 테러만 하시네 ㅋㅋㅋ 박사생이 없고 석사생도 몇 명 안돼서 학사가 SCI 논문 1저자로 쓰는일 더러 있습니다. 그리고 제 출신학교가 어디라고는 말 못드리는데 스탠포드 다이렉트 박사 나와서 한동안 학교 메인에 걸어주기도 했네요. 그것도 중경외시 보다 한참 아래 대학입니다만

2022.12.13

SCI 1저자는 쉽죠 그런데 탑티어 SCI 1저자가 좋은 실적인거구요

2022.12.19

보다가 어이가 없어서.. 학벌이 별로라도 역량있으면 Stanford, MIT 유학 가신 분들 있습니다. 세종대, 항공대 뭐 이런 대학에서 탑스쿨 박사 유학 갔다고 하면 믿으시려나요 ㅋㅋ
시끄러운 노엄 촘스키*

2022.11.02

탑티어 sci가 아니라 그냥 sci를 말씀하신거면 그건 탑스쿨에서 관심가질만한 뛰어난 실적이 아니구요.

2022.11.02

ㅎㅎㅎ 여기에서 탑대학은 커녕 30-40위권 정도 유학준비해본 사람이 얼마나있을까요.
저도 spk에서 학위받고 탑대학이라는곳에 포닥으로 가지만, 저희 연구실에 있는 박사과정 한국인들중 두명은 서울대출신, 한명은 중대출신입니다.
아직 정확한 스토리를 듣진못했지만, 모든학생이 탑저널은 커녕 분야에서 어느정도 인정해주는 마지노선의 적당한 sci한편 들고왔던 경우입니다. 그마저도 서울대출신 친구는 아직까지 주저자로 쓴 논문이 한편도 없었고요.
저도 국제학회에서 여러사람들과 만나봤고, 포닥자리위해서 인터뷰들도 하면서 느낀게 어차피 해외에서는 학회나 논문심사, 그리고 윗분들이 말한것처럼 좋은곳에 논문많이 투고하는곳 위주로 압니다. 그 이후로는 본인 제자나 박사과정당시 연구동료들이 임용된 학교정도를 아는 정돕니다. 국내 랭킹을 세세히보는 분들은 그렇게 많지 않을것이라 봅니다.
한예로, 우리나라도 유럽대학들은 생소하다보니 알아봤자 EPFL, ETH, 옥스퍼드, UCL 이런정도고, 아마 좀더 연차생겨서 국제학회 많이 가면 자주보이는 특정학교들(저같은경우에는 브리스톨 대학이나 밀라노공대가 많음)이 익숙해지는 정도죠. 해외교수에서 보는 한국학교가 딱 그정도입니다. 제 경험상 대다수는 서울대 카이스트는 많이 들어봤고, 본인 제자들이나 동료들을 통해서 그외에 잘하는 국내대학들을 더 알거나 들어봤을정도..?
따라서 영어성적 준비잘해놓고 괜찮은 학점에 학부생때 논문들고오고, 추천서 잘 받아오고, 본인이 인터뷰준비 잘하면 생각보다 경쟁력이 있을수도 있다고 봅니다. 근데 이건 저희분야가 논문이 많이나오는 분야가 아니라서 그렇고, CS나 논문이 많이나오는 분야는 좀더 기준이 까다로울수도 있다고 봅니다.

대댓글 1개

낙천적인 로버트 후크*

2022.11.02

여기 새벽에 오면 top10 박사 재학생, 졸업생 널렸는데.. ㅋㅋㅋ

2022.12.09

제 세부 분야 top10 박사 졸업하고 심심해서 와봤는데 공대 기준으로는 교수 입장에서 좀 생각해보세요. 학벌이 뭐가 중요한가요? 학벌을 따지는 이유는 예전에 그 학교 학생 뽑아봤는데 좀 똘똘하면 다시 한번 써보는 거 정도입니다. 미국내 대학도 아닌데 그 학교가 정확히 어느 정도인지 잘 모르죠... 그래서 외국대학 출신들은 제일 중요한 건 논문의 유무라고 봅니다. 한국에서 석사하면서 탑급 논문을 낼 수 있으면 그게 제일 확실한 방법이죠. 근데 그게 가능한 연구환경을 줄 수 있는 연구실이 한국에 얼마 없을거에요. 서울대나 카이스트 정도가 저희 분야는 끝이에요. 학벌을 따지고 싶어서 따지는게 아니라 그냥 서울대랑 카이스트 정도에서 좋은 논문이 나오고 있으니까 그 연구실 출신 석사 데리고 가는 거고 데리고와서 써보고 좋으면 더 데리고 오는 거고 아니라면 다시는 그 학교 학생 안 뽑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