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여름에 GRE만 파려고 했었는데 운 좋게 연구 인턴쉽의 기회를 잡아 연구에 시간을 쏟게 되었습니다.
연구실 분들도 너무 좋았고 운도 따라주어서 조그만 저널에 1저자로 낼 계획으로 논문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저한테는 제 첫 논문을 작성하는 것이니만큼 의미가 크지만, 학부생이 해봤자 얼마나 거창한 연구를 하겠습니까. 이전에 교수님 몇몇 분들 한테 여쭸을 땐 학부생 때 논문 출간 하는 것을 그렇게 강조하시진 않더군요.
한편으론 GRE는 어느정도 이상만 되면 큰 의미가 없다고 들었습니다.
좋은 대학원에 들어가는 입시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작은 저널에 실린 논문(accept된다고 가정하고...)과 좋은 GRE 점수 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한가요?
현재 시간 맞춰서 풀 때 모의로 나오는 GRE점수는 verbal 160, Quant 168+ (writing은 4 쯤..?) 입니다. SAT 공부할 때 2년에 걸쳐 1010점에서 1500+점으로 올려본 경험이 있어서 GRE도 열심히 대비하면 지금보다 더 잘 나올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GRE공부 대신 연구를 선택한 저의 판단이 최적의 판단 이었을지, 또 학기가 다시 시작하게 되면 어디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게 좋을 지 궁금하여 질문을 올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2.07.17
이건 닥논문이에요
거기다 모의로 나오는 GRE점수나 예전 SAT보셨던 것들 감안하면 GRE는 이제 시험만 보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2.07.17
연구, 수업, 알바를 병행하기에 GRE에 집중할 여력이 안 될 것 같아 선택의 기로에 있었는데 답변 달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징징대는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2.07.17
논문>>>gre
대댓글 3개
2022.07.17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대학원 자체가 연구하고 논문 쓰는 곳이니 GRE보다 논문이 더 직접적으로 저의 능력을 보여주기 때문일까요?
교수님에게 학점vs 연구 여쭤보면 항상 무조건 GPA가 우선이라고 하셨어서 저는 정량적으로 나타나는 지표가 더 중요한가 싶었습니다.
IF : 2
2022.07.17
입장 바꿔 학교입장에서 생각해보세요. 학비에 인건비까지 다내주게되는 학교입장에서는 학생 하나 합격시키는건 학교가 일년에 6-7만불 학생에게 투자하는 겁니다. 그러면 궁극적으로 학교는 지원한 학생이 연구를 잘해서 연구실적을 잘 낼거 같은지 아닌지 판단해야됩니다.
연구를 본인이 직접해서 논문을 1저자로 한번 내본 학생이 앞으로 연구 실적을 낼꺼다라도 확신 하겠어요? 아님 GRE 단어 더 잘외워서 버발 / 솔직히 고딩 수학 수준의 수학리즈닝 만점 나왔지만 연구 한번도 안해본 사람이 "아 이 학생은 연구 실적을 잘 낼거야!"라고 확신하겠어요?
좀 달리 얘기해서 수술 한번 해서 사람 살려본 사람한테 수술하시겠어요. 아님 의학 용어 많이 알고 책으로 공부 많이해서 시험 다 만점 받았지만 메스 한번 안들어본 사람한테 수술하시겠어요?
2022.07.20
확 와닿네요. 감사합니다!
2022.07.17
닥 논문, 비교도 안됨. GRE는 안보는 학교도 많음
대댓글 3개
2022.07.17
GRE를 안보는 학교들도 많지만 GRE에서 고득점을 가져가면 나쁘지 않을 것 같아 그랬는데 논문이 그래도 더 임팩트가 큰가 보네요. 감사합니다!
IF : 2
2022.07.17
굳이 가산점이라고 하자면 다른게 똑같을때 와일드 카드로 쓰일수는 있겠죠.
예를들어 둘다 괜찮은 연구를 한번쯤은 해봤고 확실히 연구를 한다면 잘할거 같다. 게다가 본 학교에서 faculty 교수들이 두 학생다 원한다는 의사 표현을 했다. 그런데 한명은 GRE가 개판이고 하나는 높다. 그럼 가산점을 작용할수는 있겠죠.
그런데 GRE는 만점 그런데 연구 결과 0. GRE는 평균이상 근데 연구결과 좋음. 그러면 저라면 후자 뽑음.
2022.07.17
저 같은 경우는 GRE가 엄청 낮아도 연구실적 좋은 사람 뽑습니다. GRE 잘했다고 대학원에서 아무도 인정 안해줘요, 오로지 연구실적만 중요하죠
2022.07.1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GRE 높음 = 커뮤니케이션에 문제 없겠네. 논문 읽는 데에 무리 없겠네
연구실적 = 연구적 역량이 있겠네.
중요도: 연구실적 >>>>> GRE
대댓글 1개
2022.07.20
감사합니다!
2022.07.17
안 보는 학교 뿐만 아니라 아예 제출조차 못하게 하는 학교가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2022.07.17
학부생이 해봤자 얼마나 거창한 연구를 하냐니… 학부생 때 탑티어 두세편 내는 사람도 있어요
대댓글 1개
2022.07.20
맞아요. 이부분은 제가 너무 일반화 시킨 거 같네요. 저도 분발해야 겠습니다
2022.07.19
심지어 gre 점수 지금이면 충분하신 정도인거 같은데요! 논문이 예상대로 나오신다면 좋은 결과 따르실거 같습니다.
2022.07.17
대댓글 1개
2022.07.17
2022.07.17
대댓글 3개
2022.07.17
2022.07.17
2022.07.20
2022.07.17
대댓글 3개
2022.07.17
2022.07.17
2022.07.17
2022.07.17
대댓글 1개
2022.07.20
2022.07.17
2022.07.17
대댓글 1개
2022.07.20
2022.07.19
2022.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