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물리학 관련 미국 대학원 진학에 관련하여 질문하고 싶습니다!

2020.07.01

8

7942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소재 서성한 대학교 중 하나를 다니다가

외국의 Public Ivy 대학 중 하나(미국 물리학 대학 중 15위권 이내) 로 학사 편입을 한 물리학과 학생입니다. 


처음에 학사 편입을 한 계기로는, 아버지께서 안식년에 미국에 몇년정도 강의를 하시게 되셨고, 어머니는 명예 퇴직을 한 상태이셨기 때문에 가능하면 미국 대학 진학 해보라시는 말씀에 이렇게 편입을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한국 대학으로 치면 3학년 과정을 모두 마쳤구여, 이제 4학년 과정을 시작하는데 물리학에 관심이 굉장히 많아졌습니다. 여러 교수님 및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지만, 이곳에서도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고 들어서 오게 되었습니다.


제 GPA는 3.75/4.0 정도 되구요, 연구 실적은 딱히 없고 현재 1년동안 저희 대학교의 한 교수님 연구실 아래에서 학부 연구생으로 일을 할 계획에 있습니다. 연구실은 Condensed Matter 중  2D Material을 다루는 연구실 입니다. 


GRE 시험 준비와 더불어서 가능하다면 MIT나 CalTech 대학원을 진학하고 싶은데, Extracurricular activities가 부족하고, 또 어떠한 것들을 준비해야하는지 잘 몰라서 이렇게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1. 이제 학부 4학년으로 올라가는 학생으로써, 명문 미국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GRE와 학점 제외 어떠한 것들을 또 준비를 해야할까요?


2. 미국은 대부분 석박사 통합과정이고, Stipend나 장학금 및 수업료가 대부분 지원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장학금 수혜가 가능할까요?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0.07.01

1. 실적, 추천서
2. 붙으면 알려줍니다. 박사는 보통 TA/RA + @ 으로 살만큼 줍니다.

예외로 합격시켜줬는데 funding은 없다는 통지를 할때도 있습니다. 이건 사실상 불합격인데, 본인 돈 내고 다니고자 하면 그러시면 됩니다.

혹은 full funding은 힘들다는 말도 있고, full funding을 줄거지만 첫 1~2년은 본인이 부담해야된다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이건 붙으면 결정이 되는거라 합격 통지할 때 말해줍니다.

2020.07.01

1에 sop는 당연한거라 안쓰긴했는데 혹시 몰라 덧붙입니다. 그리고 토플도 보셔야죠. 제가 장학금에서 말씀드린 TA를 하시려면 토플 스피킹 파트에서 일정 점수 넘기라는 학교도 있습니다. 이건 찾아보으셔야함.

2020.07.01

안녕하세요. 저 역시 글쓴이님처럼 미국에서 학부를 졸업하고 미국에 어플라이를 해 본 경험에 근거하여 작성하겠습니다. 물론 저의 조언을 절대 맹신하지 말고 직접 발품을 팔아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지원 잘 하시길 바랍니다.

1. 학점 및 수업
학점은 높을 수록 좋습니다. 3.75면 magna cum laude도 빠듯할듯 싶네요.
어플라이할때 들었던 코스를 리스팅하라고 할 수도 있으니, 4학년 1학기때 GPA를 올리면서 대학원 수업 또는 대학원/advanced undergraduate cross-listing되어있는 수업을 들을 것을 추천합니다.
보통의 경우 phd 지원의 데드라인이 4학년 1학기 성적이 나오기전이나, 올해의 경우 코로나때문에 많은 학교들이 가을학기를 일찍 시작합니다. 이것은 글쓴이님의 학부 아카데믹 캘린더를 참고해서 준비하면 될 것 같습니다.

2. GRE
코로나 때문에 많은 대학이 GRE/TOEFL waive를 한다고 하였으나, 탑대학들은 여전히 GRE를 요구합니다. 가능하면 여름동안 공부해서 가을학기가 시작하기전에 GRE 점수를 만들어 놓는 것을 추천합니다.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미니멈으로 버벌 155~160/라이팅 4.0 정도 만들어 놓으시면 다른 것에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3. 석사 or 석박사 통합 / 펀딩
미국 대부분 학교의 석사는 terminal degree 입니다. 석사과정을 마치고 박사를 하고 싶으면 새로이 지원을 해야합니다.
미국의 phd 프로그램의 경우 석사학위를 필수로 요구하지 않습니다. 또한 박사과정중에 석사학위를 따는 경우도 따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펀딩의 경우 phd 지원자들에게 집중되어 있습니다. fellowship/stipend/TA/RA등등 다양한 종류로 지원됩니다.
물론 펀딩을 일체 받지 못하는 합격자도 있습니다.

2020.07.01

4. 토플
미국에서 학부를 나올 경우 토플은 waive됩니다. 하지만 글쓴이님은 학부 4년을 다 미국에서 나온것이 아니기에 각각의 학교 어드미션 오피스에 문의하셔서 정확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5. 4학년 1학기
현실적으로 지금 글쓴이님이 준비하실 수 있는 것은 시험성적외에는 연구실 경험밖에 없습니다.
학부 연구생으로 일하게 된 소중한 기회가 잘 reflect되도록 SOP를 작성하시고, 교수님과도 좋은 인연을 만들어서 강력한 추천서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잘 아시듯이 최고의 추천서는 글쓴이님을 잘 아시는 분이 작성한 것입니다.

6. 기타
현실적으로 MIT와 Caltech은 고사하고 글쓴이님이 탑 학과에 펀딩을 받고 합격하기란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코로나 + 재작년 cohort들의 어드미션 defer로 올해 박사지원은 평소보다도 더 치열할 것 으로 예상되는 데, 글쓴이님의 스펙은 미국학부졸업을 제외하고는 전혀 없습니다.
direct phd는 커녕 석사도 탑대학에 합격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만약 학교에 3+2 프로그램이 있다면, 학부연구생으로 들어갈 랩실 교수님에게 잘 보여서 거기서 RA또는 리서치 인턴을 하셔서 자대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phd에 어플라이 하시는 것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물론 위에 기재한것들은 모두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중요한 여름방학을 잘 보내셔서 성공적인 어드미션 결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2020.07.01

@Marie Goeppert-Mayer 답변 감사합니다!

2020.07.01

@Alexander Fleming

안그래도 시간이 촉박하고, 이번에는 상황이 상황인만큼 경쟁이 매우 치열할 것 같아서

자대에서 RA 프로그램 및 석사 과정 진행 후 기회가 된다면 PhD를 원하는 학교 레벨에 지원을 해볼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20.07.01

@Marie Goeppert-Mayer

혹시 실적이라 함은 어떤 것을 말씀하시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실 수 있나요?

@Alexander Fleming

또 생각나는게 있으시다면, 쓴소리 많이 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Joshua Harold Burn*

2020.07.01

MIT에 L. Ju나 PJH 교수님 있어서 진학하고 싶어하는건 이해가 되는데, 칼텍엔 2D 하시는분이 없지 않나요? Columbia나 Harvard가 오히려 맞을거 같은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