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pi계열 저널은 아니고요,
의학분야, SCIE/SSCI 등재 저널입니다(Q2).
더블블라인드 리뷰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인데, 제가 이 저널에 주저자로 두 편 퍼블리케이션이 있어요.
유학가려고 준비중인데, 제 퍼블리케이션이 오픈 액세스 저널이라서 인식이 안 좋을 수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1.12.12
MDPI라고 다 안좋은 것도 아니고, 오픈엑세스라고 안좋게 보지도 않습니다. 어떤걸 연구했고 얼마나 기여했느냐가 중요하죠
대댓글 5개
2021.12.12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2021.12.12
모두 맞는말씀이신데 객관적으로 mdpi면 다 안좋은저널이긴 하죠.. 그중에 인용많이되고 좋은논문도 있겠지만 정말 극히 소수
2021.12.12
네 맞습니다. 제 분야로 따졌을때 Sensors는 그래도 읽어볼만한 논문이 일부 있어서 말씀드렸습니다.
2021.12.12
보통 MDPI에서 센서스나 폴리머 말하는데, 저도 박사과정중에 과제실적용으로 급하게 mdpi sensors 썼었지만 프로세스만 빠를뿐 장점이 될만한요소는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어차피 실적용제출이였고 단기프로젝트 결과보고정도였지만 솔직히 지금생각해도 하다못해 비슷한급이라고 말하는 IEEE sensors에 썼을걸 이라는 생각도 있네요. 여튼 센서스는 예전 제출경험때문인지몰라도 박사학위받고난 지금은 게스트에디터 요청등이오지만 좋은저널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참고로 많은학교에서 MDPI 저널에 쓰는걸 지양하라고 대놓고 명시하기도 합니다.
2021.12.12
공감합니다.
도도한 존 필즈*
2021.12.12
네컴도 오픈액세스인데 탑저널인데요. 오픈액세스여부는 저널 수준과 관련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1.12.12
그렇군요. 다행이네요^^;;;
우아한 게오르크 헤겔*
2021.12.12
Open access 가 문제가 아니라 mdpi가 취하는 행태에 문제가 있죠. 리뷰 보내는것도 전문가가 아닌사람한태 보내거나 리뷰과정이 허술하거나 자가인용을 통하여 if올리는 등...
2021.12.12
ai(deeplearning)분야 비롯해서 cs전반적으로 open access 아닌게 오히려 이상합니다.
ai top tier: iclr, icml, aaai, nips
vision top tier: cvpr,iccv,eccv 모두 open access 입니다.
논문의 본래목적은 다른 사람이 연구한걸 널리 다른사람에게 전달하고 그거를 바탕으로 쌓아가는건데
open access의 철학은 앞으로 저널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해서 저는 오히려 open access가 더 좋은 인식이 듭니다.
대댓글 1개
2021.12.12
맞긴한데, 많은 open access 저널이 돈 받고 빨리 출판해주는 장사하는 느낌이 강하죠. 아직까지는..
2021.12.12
대댓글 5개
2021.12.12
2021.12.12
2021.12.12
2021.12.12
2021.12.12
2021.12.12
대댓글 1개
2021.12.12
2021.12.12
2021.12.12
대댓글 1개
2021.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