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유학이 좋냐

2021.08.02

37

2039

이건 솔직히 답이 없는 문제고

한국이 이미 잘하고 있는 분야거나

잘하진 않아도 한국에서 관심없는 분야했으면 글쎄임.

항공분야 우주분야라면 한국이 미국에 비하면 많이 쳐지니까 유학이 좋아보일순 있어도 미국 시민권 없으면 어차피 현지 취직이 힘듬.

그리고 이제 한국이 연구의 깊이는 좀 떨어질지 몰라도 논문 수나 IF는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MIT 박사인데 논문 2편이면 진짜 애매하다.

난 정확히 항공을 한건 아니고 항공용 센서 쪽을 했는데도 결국 미국 현지취업은 대부분 인텔임.

유학은 난 이렇게 정리. 미국 가서 살고싶으면 추천. 다만 미국 캘리 등지에서 결혼해서 살면서 애키우는건 강남보다 녹록하다 말하기 힘들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7개

2021.08.02

유학이나 현지 취업은 그냥 개인 성향임.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 유턴해서 자리잡기 힘든건 사실임
유학생이 너무 많은것도 있지만 본문처럼 우리가 뒤떨어지지 않은 분야는 고생해서 미국 갈필요 없다고 봄
국내에서도 잘하는 분야는 국내서 하는게 자리잡기 더 쉬움
쇠약한 비트겐슈타인*

2021.08.02

유학가서 정신차리고 열심히 하면 훨씬 낫지. 우리나라가 취업 시장이 작은게 문제일뿐. 유학 자체가 문제는 아니라고 봄
얌전한 피타고라스*

2021.08.02

한국이 이미 잘하고 있는 분야가 있나요? 국어국문이나 태권도학 정도?

대댓글 11개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간단한 예를들면 반도체, 배터리분야는 세계 1,2위를 다투는 분야고 방산기술도 상당한 기술에 올랐죠 k9
이나 흑표2. 천궁, 신궁, 현무 4,5시리즈, 원전기술, 전자기술등 일일이 열거하기 힘듬

2021.08.02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도 유니스트가 효율 1위 찍지않았나요?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피타고라스님 엄청난 사대주의에 빠지신듯ㅋㅋㅋㅋㅋ 페롭 스카이트 효율 순위표 보세요. 유니스트 한화연 성대 꽤나 보입니다. 특히나 한화연이 네이처 표지 2번 연속 정식하기도 했죠. 효율 1위는 유니고
얌전한 피타고라스*

2021.08.02

그건 기술이고. 학문분야로 따져도 반도체 배터리 분야에서 선도적이고 독창적인 연구를 하고 있나요? 기존에 나온 것을 개량하거나 효율을 높이는 연구 말고 패러다임을 뒤집는 연구요.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 대기업 기술수준은 상당합니다
대기업들 R/D산업에 적극적인 투자로 세계일류를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 세계도 놀라고 있음
전투기도 우리기술로 개발했고 미국이 기술이전 거부한 레이사 레이더외 3개 첨단기술도 자체개발한 나라임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고있어요. 님이 모르는거같은데ㅋㅋㅋㅋㅋ
얌전한 피타고라스*

2021.08.02

그럼 예시를 드세요 ㅋㅋ 페로브스카이트 전지를 창시한게 아니라 효율 1위를 찍은게 그렇게 대단한건가요? 그리고 저는 전공자가 아니라서 몰라서 물어보는겁니다. 한국이 못한다고 한적 없구요.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뭔소리임??? 효율 1위 달성한게 그렇게 대단한거냐고 묻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님 세계1위에요...... 네이처 표지를 2번연속 같은 기관에서 장식하기가 쉬운줄 아세요???
전 아직 한국 같은 기관에서 네이처 2번연속 표지 장식한거 본적 없습니다.

태양전지는 중국이 많이 따라잡아서 애를 먹었는데 태양전지분야에서 페로브스카이트로 패러다임을 바꿨고 그 분야에서 한국이 엄청난 효율을 냈다는겁니다. 중국이 아직 못따라오고 있고요... 이거 퍼스트 팔로워로 보이나요?? 바뀐 패러다임속에서 1위라는 말입미다

그리고 전공자가 아니라 모르는거면 가만히 있으세요. 무슨 국어국문학 태권도를 제외하면 한국이 이미 잘하는 분야가 없다는 식으로 말하나요.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리고 페롭 효율은 한국에서 유니스트 성대 한화연이 유명한데, 유니스트가 1위고 MIT 한화연 합작이 3위인가 2위인가 그렇습니다. 또 유니스트가 하나만 있는것도 아니고 다른랩도 순위권이에요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진짜로 예시 들어버리니까 도망가버리네ㅋㅋㅋㅋㅋ 자기가 먼저 국어국문학?? 태권도학?? 이러면서 비아냥 거린거 아닌가요?
얌전한 피타고라스*

2021.08.02

도망간게아니라 님이 댓글 쓰기전부터 이 밑에 댓글에 인정하는 댓글 달았습니다ㅋㅋㅋ 아까도 말했지만 한국이 못한다고 비꼰적 없고 궁금해서 물어본겁니다ㅎㅎ 댓글 3개나 연달아 쓰실정도로 화가 몹시 나셨나봅니다 ^^

2021.08.02

에너지 소자에서 효율을 높이는거면 패러다임을 전환하는거죠.

대댓글 1개

얌전한 피타고라스*

2021.08.02

그렇군요. 그쪽에선 한국이 잘하고 있네요. 위에 현무 천궁 이런 성과를 예시로 한국이 학문을 선도 한다는 주장은 조금 어이없었는데
진지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1.08.02

MIT 탑 랩 출신 박사면 그냥 생존했다는 사실 자체에 가산점이 어마어마할텐데.. 논문 2편이면 살짝만 양이 받쳐주면 바로 임용권 아닌가요

대댓글 9개

2021.08.02

요즘 논문 두편인데 누가 뽑아요. BK나가는데 학과평균 아 깎아먹어요.

2021.08.02

효율 세계 1위는 치면서, 세계 1위 학교 박사는 무시하는 수준...드립도 좀 생각을 하면서 해야...
청승맞은 카를 가우스

IF : 1

2021.08.03

논문 2편인데 살짝만 양이 받쳐주는건 말이 안되잖아요ㅋㅋㅋㅋ 임용시장은 (거의) 무조건 실적 우선입니다. MIT 박사 대단하죠. 근데 논문 2편이면 지원자격도 안됩니다. 그리고 임용지원자들 중 실제 경쟁력있는 사람들은 탑스쿨 포닥 없는경우가 거의 없어서 mit박사가 특별히 이점도 없습니다. MIT 졸업 하면서 굉장히 실적이 좋은 경우면 세계관최강자인데 그냥저냥한 논문 2편이면 적어도 국내 임용시장에선 경쟁력 0입니다.

2021.08.03

어느 분야인지 모르겠으나 논문2편이 국내 지원자격도 안될정도면 MIT학위 자체가 안나옵니다. 박사 과정 자체에 대해서 너무 무지하시네요... 그런 경우가 있는지 한번 예시라도 찾아보세요. 100만원도 없는 세계 1위 부호를 찾아라 이런 말도안되는 수준의 경우. 능지가 처참하네요 여기.
청승맞은 카를 가우스

IF : 1

2021.08.03

임용시장에 나와 보신 적은 있는지 궁금하네요. MIT에 대해서 얼마나 아시는지는 더 궁금하고요ㅋㅋㅋ 제가 무슨얘길해도 안들으실테니 넘어가겠습니다. 능지드립은 무슨ㅋㅋ

2021.08.03

임용 잘 되서 잘 살고있습니다... :)
청승맞은 카를 가우스

IF : 1

2021.08.03

아 예 어떤학굔지는 모르겠지만 좋은연구하고 잘 사셔요

2021.08.03

네 누구신지 모르겠는데, MIT 많이 무시하시고 대성하시길.

2021.08.08

MIT는 커녕 대학원을 진학하긴 했는지 의문이 드는 논쟁들이네..ㅋㅋ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뭔소리임??? 효율 1위 달성한게 그렇게 대단한거냐고 묻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님 세계1위에요...... 네이처 표지를 2번연속 같은 기관에서 장식하기가 쉬운줄 아세요???
전 아직 한국 같은 기관에서 네이처 2번연속 표지 장식한거 본적 없습니다.

태양전지는 중국이 많이 따라잡아서 애를 먹었는데 태양전지분야에서 페로브스카이트로 패러다임을 바꿨고 그 분야에서 한국이 엄청난 효율을 냈다는겁니다. 중국이 아직 못따라오고 있고요... 이거 퍼스트 팔로워로 보이나요?? 바뀐 패러다임속에서 1위라는 말입미다

그리고 전공자가 아니라 모르는거면 가만히 있으세요. 무슨 국어국문학 태권도를 제외하면 한국이 이미 잘하는 분야가 없다는 식으로 말하나요.

2021.08.02

아직 현직에서는 미국박사 혹은 포닥없으면 임용시 애매하게 보는게 있습니다. 다만, 한국에서 실적잘내는 랩나오고 그 실적들고 대가랩 포닥2-3년 정도하면 임용시 해외박사에 비해 크게 디매리트는 없는듯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해외박사 경험이 상당히 값질수도 있다고 생각함. 해외에서 자리잡기 위해서는 유학이 무조건 유리하고요.
진지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1.08.03

https://hibrain.net/braincafe/articles/427570?pagekey=427570 논문없는데 뽑힌 탑스쿨 박사 여기있네요.

대댓글 2개

진지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1.08.03

다시 읽으니 완전 최종 합격은 아니지만, 현직자 의견이 분분할 정도로 높게 쳐줍니다.
청승맞은 카를 가우스

IF : 1

2021.08.03

사기업연구소에 대한 내용이네요... Spk학석박 졸만해도 골라가는 사기업 연구소에서도 바로 채용 안할정도로 고민한다는건데... 교수임용으로 물어봤으면 평가는 완전 달랐을 겁니다. 애초에 지원자격도 안되겠지만...
졸린 칼 세이건*

2021.08.03

MIT 박사 논문 2편 무시하는 사람도 있구나 .....
조금 놀랍네

대댓글 2개

2021.08.03

여기 거의 잼민이들 놀이터된듯...

2021.08.03

MIT도 후려치는 김박사넷....끊어야지

2021.08.03

MIT 박사 논문 두편에 대해서는..
MIT와 SPK 둘다 붙었다는 가정하에, 진학하는 사람 입장에서야 내가 SPK 논문 두편 물박이 될지 MIT 논문 두편 물박이 될지 아니면 잘나가는 뭐가 될지야 모르죠. 결국 조금이라도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곳으로 진학할 뿐 아닙니까.

그런 관점에서 따지면 100 중 90 이상은 MIT 가죠. 국내 최상위권 대학 교직 중 상위권 미박과 국박출신 중 어느 쪽이 더 인원 당 파이가 큰지 객관적인 통계가 말해주잖아요.

그리고 애초에 MIT 논문 두개 박사를 예로 들거면 SPK 논문 두개 박사를 비교 대상으로 맞춰야죠

교수임용은 포닥으로서 새로운 환경에서 얼마나 좋은 실적을 내는 지가 박사시절 논문실적보다 영향력이 크다고 말하는 경우도 많아요. 그런 관점으로 따져도 같은 실적이면 MIT 박사가 좋은 곳으로 가기 훨씬 좋아요.

여기에 SPK 대학원이랑 미국 탑스쿨 대학원 둘 다 경험한 분들 얼마나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근데 경험한 사람 입장에서 말씀드릴게요.

본인이 능력이 출중한 편이고 야망도 크면 웬만하면 나가세요.
느끼는 바는 각자 다를 수 있습니다만 솔직히 저는 나와서 정말 많이 배웠어요.
방탕한 도스토예프스키*

2021.08.05

MIT 에서 물박사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는거 자체가 코미디고 졸업시점에 논문 2편이 그 사람의 생산성, 잠재력을 확정할 수 있다고 확신할 수 있나요? MIT 박사과정동안 쌓은 네트워크부터가 상당한 이점이 되는데 단순히 숫자로 사람 평가하려 드는게 재밌네요 ㅋ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