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생각이 있다면 솔직히 늦은 건 맞습니다. 보통 그 정도면 결혼하고 박사를 갈 나이이거나 박사 도중에 결혼을 할 나이니까요. 다만 그 외 취업이나 경쟁력 면에서 늦은 걸 물어보신다면 불리한 부분이 있을 지언정 실적으로 커버 가능합니다. 해외 정착을 노리시는거라면 서양권은 우리나라보다 나이에 대해선 좀 더 관대한 편이라 더 안 중요하구요.
대댓글 1개
2021.06.30
개인의 사생활이라서 얘기하긴 좀 조심스럽지만 결혼이 정 맘에 걸리신다면 빠르게 결혼 문제를 해결하고 박사를 넘어가시거나, 아니면 차라리 국내에서 박사를 하시면서 결혼 문제를 천천히 해결하시고 박졸 후에 해외로 포닥을 가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도 있겠네요. 꼭 해외의 박사 학위 자체가 필요한지 어떤지 자세한 사정은 모릅니다만...
긍정적인 버트런드 러셀*
2021.06.30
그냥 평범한 편인데 왜 위에선 많다고 하지.. 서울대 나와서 공군 갔다가 해외박사 7년하면 33살이에요. 이것보다 빨리하려면 과고 조기졸업에 서울대 조기졸업 1년씩 당기면 31살이겠네요
대댓글 6개
2021.06.30
P 동기 중에 과고 조졸 빠른년생 통합5년 박사 27살 2명 있습니다. 둘 다 해외 포닥 가있구여
최대로 당겨서 대학조졸까지 하면 26살도 가능은 하군여ㅕ
2021.06.30
국내로 들어오는 거 고려한다면 34 많은 편이죠
물론 어느 직종을 택하느냐에 따라서 편차가 심해지긴 하겠지만유
심심한 피보나치*
2021.06.30
해외박사면 당연히 국내전문연보다 2년은 손해보는데 당연하죠. 박사학위 받는기간은 뭐 동일하게 4년이라고 쳐도, 영어성적 준비하고 컨택하면서 까먹는 기간도 있고요.
국내박사라 해도 박사학위받는게 군필일경우 34이면 늦은 나이 아닙니다. 당연히 과고-전문연이 많은 곳에서(저또한 그런곳이고) 저희학과 특성상 석사+박사를 7년잡는데도 박사받는 시기가 29~30이 가장많긴 해요. 근데 확실한건 해외박사일경우 절대늦은건 아니고, 국내 군필박사라해도 평균보다는 조금늦은정도지 많이늦은것도 아님.
그리고 국내 리턴시 34살이 많다는건 뭔소리임..
2021.06.30
34살에 박사받고 포닥하면 국내 리턴이 30후반인데.. 많은거긴하죠. 보통 40 넘어가면 취업시장에서 쉽지않아지기때문에
명석한 아이작 뉴턴*
2021.06.30
글쓴이 34살 시작한다는 거 아님 ?
긍정적인 버트런드 러셀*
2021.06.30
P 동기 중에 과고 조졸 빠른년생 통합5년 박사 27살 2명 있습니다
--> 구라치지마세요. 뭐하나는 분명 빼먹으셨어요. 제가 P에서 전문연 하는중인데, 석박 7학기째부터 전문연 시작해서 3년 카운팅하면 통합5년차에 전문연 아무리 빨라도 1년 남잖아요.
2021.06.30
시작나이가 34면 많은 편인 거같아요. 그치만, 이번에 가는데 주변에도 그런 분들 많으십니다.
명석한 아이작 뉴턴*
2021.06.30
34살 박사시작 안 늦다는 거 너무 현실감각 떨어지는 거....
이미 결혼했다면 다른 이야기. 미혼일 때 제일 크리티컬 ...
2021.06.30
박사 시작인지 취득인지 알 수가 없지만 either way 나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박사는 결국 실적..
2021.06.30
서울대 4년+육군 1년반+석사 2년(후기 입학)+박사 6년 잡으면 현역이 많으니까 20살 입학일시 33.5살에 졸업인데요...
2021.06.30
2021.06.30
2021.06.30
대댓글 1개
2021.06.30
2021.06.30
대댓글 1개
2021.06.30
2021.06.30
대댓글 6개
2021.06.30
2021.06.30
2021.06.30
2021.06.30
2021.06.30
2021.06.30
2021.06.30
2021.06.30
2021.06.30
2021.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