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pk 아니면 하바드대 (박사)

Maimonides*

2020.11.20

16

4974

지금 석사 하고 있는 학생임 (spk 아닌 대학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0.11.20

이 글에서 뭘 말하고 싶은건지 모르겠음.
내용은 SPK가 아닌곳에서 석사를 하고 있다는 건 데 제목은 왜 'SPK 아니면 하버드대(박사)'야? 뭔 맥락인지 이해가 안 됨
Leonard Bernstein*

2020.11.20

능지수준 ㅋㅋㅋㅋㅋ
Maimonides*

2020.11.20

ㄴ 지금 SPK 아닌 대학원에 석사 하고 있는데 진학 (박사) 할 때 SPK나 아니면 하바드대 신청 해보는지 고민하고 있어요~

SPK에 신청하면 붙을 가능성이 높을 것 같지만 하바드대는 잘 모르겠어요.. 뭐 하바드대는 하긴 아주 유명한 대학교인데 사실 하바드대는 공과대로 유명하진 않잖아요 (MIT가 주변에 있어서요).. 암튼 제 생각엔 내가 MIT정도 아니니까 좀 더 현실적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만약에 둘다에 붙으면 어디 가면 좋을까 물어보고 싶었습니당~
Leonard Bernstein*

2020.11.20

spk 석사도 못 할 수준이면 학부는 더 아래라는건데
MIT는 못 갈 것 같고 하버드를 가겠다..

2020.11.20

이 뭐... 그래서 현재 한국에서 석사한다는 거임 아니면 미국에서 석사한다는 거임?

마치 하버드를 지원만 하면 붙는다고 생각하는듯한 뉘앙스인데 하버드 공대가 랭킹이 떨어지는건 맞지만 그만큼 뽑는 규모도 작아서 입학이 쉬운건 아님.

미국 대학원 입학 프로세스는 알고 있는건지..

2020.11.20

논문, 토플, gre 는 얼마정도 되시나요?

2020.11.20

그냥 가고 싶은데 가라.
초딩임? 대학원생의 질문 수준이 아니잖아 이건..

2020.11.20

하버드 가실 연구실적과 역량은 되시는 게 맞는지 객관적으로 고민해 보는게 먼저라고 봐요. 박사라고 해도 Spk랑 비슷한 수준은 아닐 거 같은데요... 그리고 유학준비 많이 힘들어 보이던데요. 그 시기를 버틸 자신이 있으신가요?
Maimonides*

2020.11.20

@Hugo Theorell 일단 Harvard SEAS (공대)는 GRE 필수가 아니고 논문도 필수 아니더라고요.. 단 제가 들어가고 싶은 랩실은 그 분야에 대한 경험이나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셨어요. 연구에 대한 태도도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Maimonides*

2020.11.20

@Sergei Prokofiev 제 대학교는 spk 아니지만 그 바로 밑에 있는 대학교고 교수님도 상당히 자기의 분야에 유명하시기 때문에 허락을 받는다면 spk 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교수님도 사실 미국에 가는게 아주 좋다고 하셔서 하바드 신청하는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하긴 미국에 생활하는게 좀 힘든다고 생각하겠죠? 근데 만약에 다시 우리나라도 들어갈 때 더 좋은 일자리를 잡을 수 있다면 힘들어도 보람이 느껴지지 않을까 싶어요~
Maimonides*

2020.11.20

@Hugo Theorell 지금은 논문 2개, 그리고 학부는 해외에서 (영어 쓰는 나라) 했습니다~ TOEFL은 아직 쳐 본 적이 없지만 하바드 공대에 필수가 아니라 걱정하기 않습니다.. 일상생활에도 부담없이 영어 쓸 수 있으니 그 점은 큰 문제가 아니라 생각합니다~
Maimonides*

2020.11.20

@Edgar Allen Poe 지금 한국에서 석사 하는거에요~ 뽑는 규모 작은 거 맞지만 일다 해보려고요... 불을 수 있을지 모르잖아요.. 그리고 보통 미국에서는 박사 하려면 석사가 필수는 아니라 이점이 될 수 있겠죠?
George Büchi*

2020.11.20

부럽네요 ..
Isaac Newton*

2020.11.20

저도 요즘 아이유랑 결혼할지 트와이스 나나랑 결혼할지 고민중이에요~ 글쓴이님도 꼭 좋은데 가세요!
James Chadwick*

2020.11.20

외국에 오래사셔서 한국어가 안 익숙하신거 같은데 대학원은 신청하는게 아니라 지원하는겁니다. 그리고 Harvard seas만 gre와 논문이 필수가 아닌게 아니구요. Gre는 팬데믹 때문에 대부분의 학교에서 안 내도 되는것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Harvard SEAS는 spk랑 비교할만한 수준이 아닙니다. Harvard 수학, 물리학, 화학이 세계에서 Top 3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공대 분야도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다만 없는 과가 많아서 공대로 안 유명한거처럼 보이는거죠. Spk 아닌곳에서 지원 하신다면 사실상 가망없습니다.

2020.11.21

James / 이분 의견이 대략 맞습니다.

뭔가 작성자 분은 미국 대학원 입학 프로세스가 어떤지 잘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

그냥 논문있고 외국학부면 내가 '신청'한대로 갈 수 있는 게 아니에요.
유학 지망생들이 "MIT는 랭킹 너무 높아서 안될것 같고 하버드는 랭킹 낮으니까 갈 수 있을 것 같다" 라는 이유로 하버드에 원서를 쓰는 것도 아니구요.

내가 하고 싶은 연구가 무엇이고 가고 싶은 랩실은 어디 인지부터 시작해서 나와 학교의 fit을 맞출 수 있는 학교 여러 곳에 지원한 뒤 그중에 몇 곳 붙으면 가장 가고 싶은 곳 가는 개념이에요.

당장 석사하는 과정에서 쌓을 수 있는 백그라운드를 지원과정에서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가 없다면 아무 보너스가 안됩니다.

저도 국내 석사 후 논문 있는 상태에서 미국 랭킹 상위권 학교 합격 후 유학 중이지만 그냥 "논문 있고 석사학위 있으니까 하버드에 원서 내면 붙을 수도 있겠지" 라는 1차원적인 생각으로 지원하지 않았어요.

Fit을 맞출 수 없는 하버드, MIT나 동부권 아이비리그 같은 학교는 아예 지원 자체를 안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