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랩미팅에 조급하지 마십시오 디펜슨가요? 디펜스가 아니라면 본인의 생각, 논리가 이미 다른 사람이 생각했다는 것 입니다
글쓴이가 그 글을 보고 생각한 것도 아니며 혼자서,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 특정 가정을 산출 하였다 그러나 이미 논문화 되어 있다 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요
제가 생각한 연구가 이미 나와있네요 하하…
19 - 그런데 학생들도 자대대학원 잘 안가려고 함. skp못지않은 연구실적은 말도안되는 소리고, 연구비 많이타가는건 지역거점 프리미엄 때문이지 그이상 그이하도 아님. 그리고 지역과제가 특성상 별 의미도 없고 논문도 안나오는 어쩔수 없이 해야 하는 과제들로 의례적으로 수행함. 교수들이야 돈나오니깐 당연히 하지만, 학생취업, 선도 연구와는 거리가 멀고 결국 메인스트림과 멀어지는거고 학생들은 인건지는 많이 받는데 쓸대없는 과제만하다 졸업하게됨. 교수들도 허구한날 지역 연계 사업제안서 불려다니고, 정작 최신연구트렌드 따라가기도 힘듦. 다만 과제는 많으니 학생은 뽑으려고 하는데 자대생이 오면 땡큐고, 아니면 인근지역 대학 한국학생들인데 이들은 박사진학 거의 안함. 결국 교수가 직접하거나 외국유학생들이 논문쓰는거에 의존해야함.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13 - 지방에 박혀서 시야가 좁으니 이런 이야기도 당당하개 할 수 있는게 제일 장점인듯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38 - 과기원끼리 연구 환경은 비슷할테고, 네임벨류가 KAIST가 더 낫긴 하겠지만 실적 좋은 UNIST로 가는게 더 낫다고 봅니다. 네임벨류만 보다가 박사과정 못(안)마치고 자퇴하는 학생들이 한둘이 아닙니다..
석사 졸업 후 박사 진학, KAIST vs UNIST 어디가 나을까요?
13 - 경북대 입결로 내려쳐지는 것에 비해 괜찮은 학교라고는 생각하는데... SKP 운운하는 이런 억빠는 지능형 안티인가 싶음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15 - 평생 뒤통수나 치면서 사시길 바람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0 - 상심이 크시겠지만 그냥 개인의 실수인 것 같습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31 - 서울에 있으면 시야가 넓다고 생각하는게 더 웃김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22 - 저 정도면 누가 뒷문열고 들어왔을거라 생각이 자연스레...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5 - 행정대학원을 목표로 하신다니 다른 학교 가셔서 이 경험을 바탕으로 '행정실수와 사후대응'에 대한 연구를 하시고 논문을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21 - 애처럼 구는걸 알면 상대방을 배려해주세요. 대학원생이나 됬는데 스스로 해결하고 고민하세요. 그게 연구입니다.
진짜 진짜 도저히 고민하고 안되는 부분을 정리하고 깔끔하게 메일이나 미팅 때 질문하고 그런것도 능력입니다. 하나 막힌다고 물어보는게 아니고, 하나 막히면 다른 부분 진행했다가 또 막히고.. 그런걸 잘 정리해놓으셨다가 기회 될 때 물어보는겁니다. 교수의 시간하고 학부생의 시간하고 과학 발전 측면에서는 가치가 하늘과 땅차이 입니다.. 남의 시간 귀한줄 아세요.
논문쓰다가, 논문읽다가 이해안된다고 모르겠다고 쫄래쫄래 교수님방 가거나 메세지 보내는건 초딩도 아니고..
아무리 교수님이지만, 물론 열심히 하고 배우려는 자세를 가진 제자가 좋으시겠지만, 뭐든 과하면 안좋습니다.
글쓴이도 스스로 깨우치고 공부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기르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이제 중고등학생, 심지어 학부생도 아니잖아요?
백번 양보해서 석사학생이면 뭐.. 어차피 학계에 평생 있을 사람도 아닐 확률도 크고 금방 졸업하니 괜찮은데,
박사과정이라면 잘못됬습니다. 교수님이 착하셔서 그냥 받아주시는거 같은데 글쓴이한테도, 교수님한테도 전혀 득 되지 않는 행동입니다.
박사 학위를 얻으시고 싶다면 우선 마인드부터 뜯어 고치셔야겠습니다. 물론 배움의 열정은 계속 유지해주시고요.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21 - 나도 교수지만 이 댓글이랑 좋아요는 이해가 안되는데
내 시간 중요한 것 만큼 학생 시간도 소중하다는 걸 이해해야 서로가 발전됩니다.
교수의 시간의 가치가 그렇게 중요한가요ㅋㅋ 학생이 와서 좀 알려 달라는데 그 비상한 머리로 잠깐 터치해주고 방향만 더 잡아주면 되는데 그걸 못하는 교수가 이렇게 땡깡 부리나 봅니다.
학생이 모든 순간 이렇게 한다고 생각하진 않고 논문 기간이나 급한 시기에 그러는 것 같은데 학생분도 교수님한테 미리 말씀드리고 찾아뵙는 것도 좋아보이네요
화이팅입니다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11 - 너무 따뜻한 글입니다 교수님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11
부산대학교 Neuro & Bio Electronics lab 대학원생 모집
2023.03.18

저희 NBES 연구실은 공학기기와 신경계를 접속 (interface)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1) 질병/사고로 손상된 신경기능 (감각, 운동, 인지)을 회복하기 위한 체내 이식형 전자소자와
2)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양한 체내이식형 디바이스 (인공시각, 뇌접속장치, 척수자극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작, 심전도, 체온 등의 건강 감지)에 대한 국가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신경공학이란 체내의 다양한 신경 (인지, 감각, 운동) 과 직접 접속해서 신경신호를 기록/분석하거나, 신경을 정교하게 자극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입니다. 체내이식형 디바이스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치매, 통증, 운동 장애 등 비교적 중증질환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대적으로 경증의 질환과 건강관리(헬스케어)를 대상으로 합니다. 체내이식형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장 디바이스가 명확하게 구분되기 보다는 아래에 나열된 핵심 기반 기술을 공유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1) Electrode: 신경신호 센싱 및 자극을 위한 유연 소재 기반 미세전극,
2) Circuit: 신경신호 자극 및 기록 위한 회로,
3) Wireless: 무선 전력/데이터 송수신 모듈 설계,
4) Integration & Packaging: 요소기술 집적 및 방수 패키징 통한 유연성 소형화 디바이스 개발
5) AI: 인공지능 기반 대용량 신경 신호 분석 및 Marker-less 동물행동 영상분석,
6) Animal: 동물실험 통한 효과 및 안정성 검증,
7) Simulation: 유한요소 시뮬레이션 통한 전극 및 무선모듈 구조 설계
자세한 내용은 랩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시거나 정준수 교수에게 메일로 연락해 주세요~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명예의전당 147 21 19347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47 32 49399-
161 29 47441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10 - hci 무시하는건 한국밖에 없을듯 ㅋㅋ
30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55 - 생각해보니 결혼은 언제하죠
13 - 대학원생은 언제 돈을 받는 것인가
9 - 제가 생각한 연구가 이미 나와있네요 하하…
6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85 - 박사 진학 하려는 내가 나르시스트 상사에게 낚이다! (야근하다가 빡쳐서 쓰는 글)
20 - 포스텍 ai 대학원 합격했네여
14 - 학생들 이뻐 죽겠네.
20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52 - 원래 교수님이 뒷담을 많이 하시나요..
5 - 대학원대통령과학장학금 합격!!!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15 -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35 -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23 -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9 - ai 탑티어 논문 제출시
7 - 신생랩 논문 실적에 in preparation 또는 Under review라고 적어놓은 건
10 - 포스텍 배터리공학과 합격
13 - 대학원대통령과학장학금 발표
7 - ai탑티어는
10 - 켄텍 대학원 인식이 SH과 비교했을 때
15 -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서류 발표 나왔나요?
7 - 대통령 과학 장학금 서류 발표 났네요
14 - 카이스트 AI 원하지 않는 분야 vs 자대(고대) 원하는 분야
9

2025학년도 후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신·편입생 모집 안내
자세히 보기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