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카이 석졸해도 하닉간단 보장없는데.. 요즘 하닉보다 좋은 한국직장이있긴한가? 물론 미래는 모르지만 나라면 석사만 할거면 계약갈듯
카이스트 vs 서성한 하닉계약학과
23 - 자자 혹시나 싸우시지들 마시교
한국도 이런 연구중심 대학이 여럿 생겨나고 성과를 내는거에
다들 박수 쳐주고 응원해주고 같이 잘해봅시당
미국처럼 아이비 리그 아녀도 명문대로 뽑히는 대학들이
많이 생겨나면 좋겟네요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9 - 컴활이 졸업요건이면
지잡인가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19 - 그정도 했으면 미팅도 들여보내줄법한데 답답한 실험실이네요 ㅋㅋ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29 - 교수된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미팅을 참여 못하게 하는게 아니고 일부러 안하게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혹 학부생 입장에서 너무 빡빡해보이면 좋은 학생 도망갈까봐 + 대학원과정 학생들이 후배 들어와있는데 털리는 모습 보이면 자존심 상해 할까봐.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26 - 현직 교수입니다. 어떤 구체적인 상황과 사례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우 학생이 학문.연구.공부를 대하는 태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설령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더라도 제 시야에서 진실된 태도로 임한다면 논문 하나 더 찾아주고 책 챕터하나 더 보여주고 하고 있습니다. 발전 가능성이 보이니까요. 능력이 좋아 투자 시간 대비 효율적으로 결과물을 가져오는 학생의 경우, 결과물에 대해서는 칭찬을 하지만 마음이 가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더 잘할수 있는 게 보이지만 학생 스스로 판단하여 본인만의 한계를 만든다면, 그냥 뭐....그 정도 애구나 생각하는거죠. 학생의 육성 관점에서, 실적/실력보단 태도를 더 가중치 둡니다.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13 - 한국은 학부 간판이 무슨 임용 보증수표마냥 생각하는 듯. 학부가 서울대라면 임용에 여러모로 장점이 있겠지만, 서울대라고 해서 다 교수가 되나요? 서울대끼리 경쟁하는 건 생각도 못하시나? 의대 입학하면 다 쉽게 돈버나요? 의대생끼리 경쟁해서 비인기과 받으면 적성 맞지않아서 평생 고생하고 마음고생합니다. 웃긴게 학부가 낮으면 대단하다고 생각하기보단 어떻게 저 자리를 갔을지 의심부터하는 후진국 마인드. 경제 선진국이라 셀프 위한하면 뭐합니까? 교수를 지원하거나 현직들도 이런 고등학생 입시같은 생각을 평생 떨치지 못하는데요. 중고등교육도 문제이지만 대부분 대학교를 진학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교수들이 제일 문제임. 교육철학은 무슨, 학생들이 과거의 본인모습, 미래의 에이스가 아닌 그저 본인 노예정도로 생각하지. 이런거 보면 간판 다 필요없음. 교수판에서 어떻게 사탄들에게 세뇌 당하지 않고 당당하게 소수로 살아남는지가 핵심임. 학부간판이 그렇게 중요하면, 서울대에서 다 학부 졸업하고 자대에서 편하게 다 박사를 받지 왜 유학을 하겠어요? 그리고 교수가 그렇게 좋은 직업인데 왜 낮은급 대학을 갔는데 재수삼수 아니 10수를 안하나요? 그냥 본인이 말하는 것부터 다 모순덩어리임. 스스로 생각 좀 하고 삽시다
일찌감치 교수직 마음 비우고 다른 길도 생각하면
18 - Springer -> 좋은 거, MDPI -> 나쁜 거, IEEE Access -> MDPI보다는 나은 거.. 이렇게 이해하시면 됨.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13 - 와진짜 찐따같아요 ㅋㅋ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4 - 본인 랩 기준 확실히 잡아서 기준 미달이면 졸업 절대 시켜주지 말고 논문은 코멘트 위주로(직접 고쳐주는거 x) 하면서 직접 고치게끔 하셈.
그리고 과제 일 제대로 안하면 랩세미나 등에서 공개적으로 좀 뭐라하고, 잘 해오는 애들한테는 칭찬 및 논문 잘 봐주고 차별을 하셈.
일 못하는 건 괜찮으나 안 하거나 잔머리 굴려서 꾀 쓰는 애들은 좀 현실의 냉혹함을 맛보게 해줄 필요가 있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1 - 꼭 그렇게 경쟁 난리를 처야지 알아먹나. 걍 잘해주고 지네 실적 만들어줄때 알아서 할거 하면 지네가 이득일텐데. 걍 진짜 애들 인생 망하더라도 알빠노 하고 열심히하는 애들만 신경써야되나. 고민이 많구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17 - 스스로 부족함을 느낀다는것은 성장할 여지가 있는 좋은 자세입니다.
학위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성장하는 과정이에요. 부단히 노력해야겠지만, 부족하면 매꿔나가면 되어요.
지금의 속상함이 더 성장하는 터닝 포인트가 될수도 있어요!
더 나아진 본인을 상상하면서 더 노력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0 - 그건 중소기업 사장이랑 똑같은거임
사장이 가장 뼈빠지게 일하는게 정상임 ㅋㅋ
꼬우면....아시죠?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10
[논문 컨설팅 추천] 더빌드업 아카데미 – 취업과 연구, 두 마리 토끼를 잡다!
2025.04.10
🔍 #논문컨설팅 #더빌드업아카데미 #SCI논문 #SCOPUS논문 #대학생연구지원 #대학원생컨설팅 #연구설계 #학술지투고 #서울논문컨설팅
안녕하세요🙂
논문 작성이나 연구 설계 때문에 고민이 많으신 분들, 혹시 계신가요?
오늘은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의 연구 역량 강화와 학술 경쟁력 향상을 전문적으로 도와주는 교육기관, 더빌드업 아카데미를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 더빌드업 아카데미란?
더빌드업 아카데미는 대한민국 청년들의 취업 준비는 물론, 연구 역량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종합 교육기관이에요. 특히 논문 컨설팅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많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답니다.
📚 논문 컨설팅 서비스 구성
논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말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도와주는데요!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아요:
✔️ 논문 작성 및 구성 개선
→ 주제 선정부터 전개, 최종 편집까지 맞춤형 코칭 제공
✔️ 데이터 분석 및 연구 설계
→ 통계 분석, 설계 구성 등 학술적 깊이를 더해주는 전문적 지원
✔️ 학술지 투고 및 저널 선정
→ SCI, SCOPUS 등 국제 저널 투고를 위한 전략적 접근
✔️ 심사 대응 및 수정 보완
→ 리뷰어 피드백 반영과 논문 수정까지 완벽하게 컨설팅!
🌟 전문성과 차별화 포인트
더빌드업 아카데미가 다른 곳과 다른 이유, 무엇일까요?
🔹 박사급 교수진과 실무 경험자
→ 실제 논문 심사, 게재 경험 풍부한 전문가들이 직접 코칭!
🔹 1:1 맞춤형 컨설팅
→ 개인의 연구 주제, 스타일, 목표에 최적화된 밀착 지도
🔹 국제 학술지 기준 완벽 반영
→ SCI, SCOPUS 등 고급 저널에 맞춘 전략과 피드백 제공
이런 요소들이 결합되어, 더빌드업 아카데미는 논문 컨설팅 분야에서 신뢰도 높은 기관으로 자리잡고 있어요.
🏫 운영 지점 & 접근성
더빌드업 아카데미는 서울의 주요 지역에서 운영 중입니다:
📍 을지로점
📍 강남점
📍 마곡점
오프라인 지점 외에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간편하게 상담 및 프로그램 신청이 가능하답니다.
✅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졸업 논문, 학위 논문으로 고민이 많은 대학생/대학원생
SCI, SCOPUS 등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고 싶은 연구자
연구 설계나 데이터 분석에 어려움을 느끼는 분
체계적인 코칭을 받고 싶은 분들!
💬 마무리하며
더빌드업 아카데미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기관을 넘어서, 청년들의 꿈과 목표를 실현하는 동반자로 함께하고 있어요.
논문 컨설팅이 필요하시다면, 더빌드업 아카데미를 꼭 한 번 알아보세요!
성공적인 연구와 취업 준비에 확실한 도움이 되어줄 거예요👍
👉 자세한 정보는 카톡상담: https://open.kakao.com/o/s7Ky99Zd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55 32 52400
우리 교수님 솔직히 너무 좋음 명예의전당 306 47 94823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명예의전당 251 39 9737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8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3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41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0 - 인건비 아끼면, 뒷감당 가능함?
45 - 가장 큰 문제는 재미있는 과제들이 없단 거임
22 - 카이스트 바뇌과 붙었네요
8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1 -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4 - 학부 입학난이도 vs 석박통합 난이도
6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10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15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37 - h-1b 비자 10만불
9 -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34 -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45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5 -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9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4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2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3 - 컨택 시 랩장과의 면담
7 - 연구 내용에 관한 소유권 문의
7 - 카이스트 기술경영 vs 고려대 컴퓨터학과
7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