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67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71 - ㅈ같게 생각합니다
이런 사람 어떻게 생각하세요?
11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21 - 제 학부연구생 시절이 생각나네요. 실험 테스트 베드 제작, 실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한 학기동안 제 아까운 시간 써가면서 매달려서 그 프로젝트에 참가했는데, 나중에 알게된 사실.. 논문이 게재되었고 충격적이게도 제가 작성한 실험 데이터 커브, 일러스트레이션 모든 것들이 그대로 들어가 있었으나 제 이름은 없었더라는..
명백한 연구윤리 위반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국 사회 특성상 좋은 것이 좋은거죠..... 요즘은 어떠나 모르겠네요.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8 - 기초는 늘 기초이죠.
Ai는 보조 수단 일뿐.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0 - 다들 반대 누르신게 의아하네요 저는 현재 정출연 연구원인데 논문 주제 세우고 실험 데이터 가져오라고 하시는 분들이 아무도 모르게 논문 GPT 로 써서 몰래 서브밋 하시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어떻게 알았냐구요? 연구실에서 공용으로 쓰는 GPT 유료 계정에 논문 작성 관련된 대화를 보고 알았습니다 논문 개요 하나 없이 일반 연구원이 고안한 아이디어, 실험데이터만 주고 논문 쓰라고 한 적이 있습니다 때문에 실제로 논문을 보면, 패러프레이징 하나 안되어있는 날 것이기도 하구요
그리고 생각보다 “실험을 어떻게 했고 그 과정에서 어떤 시행 착오가 있었는지”를 더욱 잘 꿰고 있는건 실험을 진행한 사람입니다. 실험 하나 못하고 이해도 못하는 사람이 이걸 글로 충분히 녹여내기에 부족함이 많습니다
예전 같은 시대면 뭐라 안하겠지만 요즘은 글쓰기가 “딸깍”인 시대입니다 몇 달간 야근하며 실험하는 자들을 오퍼레이터라며 저자에도 안넣어주지만 정작 한 시간도 안되서 gpt가 쓴 글을 딸깍 제출하는 철면피인 사람들을 조심하세요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8 - 꼭 박사과정, 포닥 인성이 교수 인성을 대변하진 않음
다만 태도가 보이긴 함
박사 or 포닥이 ㅈ대로 한다? -> 높은 확률로 교수가 개차반일 가능성 있음
개차반은 그냥 관심 없는 것 까지 포함함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2 - 설문연구, 500명 2개월 어려운 일 아니예요.
보통 2주안에 결과보고서까지 해요.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9 - 2인큐는 어쩔 수 없지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12 - 그럼 이제 교수님이랑 친인척 관계가 되는 거임?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9 - 대학원은 인기 학과나 랩실말고는 항상 인원이 부족하므로 보통 교수님 입김이 어느 정도 작용하기 때문에 컨택 성공하면 웬만하면 입학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과기원 쪽이 그런 게 더 없어서 컨택 성공해도 원하는 연구실 못 가거나 떨어진다고 하더라고요. 그렇지만, 구두로 약속한 내용은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원하는 연구가 있어 해당하는 자대 연구실 가는 건 좋지만, 그게 아니라 단순히 더 좋은 학교 가고 싶어서 아무생각없이 말로 꼬신다고 넘어가면 분명 후회합니다. 대학만큼 대학원 진학도 신중하게 진행해야 해요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10 - 대학원생은 대학원생입니다. 물론 사적인 연락이나 쓸데없이 주말, 늦은 밤에 연락하는건 예의가 아니지만, 연구나 프로젝트 관련이면 어쩔수 없죠.
그리고 혼나는것도 마찬가지구요. 나이따져가면서 다르게 지도하면 오히려 연구실 분위기 망합니다.
그리고 핵심은 "다른 20-30대 대학원생이면 이해되지만 나는 40대에 가정이 있으니까 불편하다" 는 본인만 차별대우 받겠다는 심보입니다.
아줌마라도 입학하면 동일한 대학원생입니다. 남들 개인 사정 다 봐줄 시간 없어요.
그리고 말씀하신거 들어보면 교수가 유난히 별난것도 아닙니다.
대학원생도 학생이고,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것이 당연하고, 부당한 지시는 전혀 아닌 것 같아 보입니다. 통제가 아닌 지도라고 생각하세요.
글에 정보가 얼마 없어서 그렇지만, 업무시간에 "개인공부"는 하면 안되는거고.. 당연히 연구실 소속으로 학교에 있을 땐 연구실 관련 공부를 해야합니다...
과목도 대학생처럼 듣고 싶은 거 듣는게 아니고요... 대학원 수업은 더 specific해서 오히려 강의해주시는 교수님도 학생들 걸러서 받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12
해군사관학교 인공지능학과 교수 초빙
2025.08.21
해군사관학교는 정예 해군장교양성을 위한 국립대학으로, 24년 인공지능학과를 신설하여 운영중에 있습니다.
인공지능(딥러닝, 강화학습, 자연어처리) 분야 교수 두분을 초빙하오니, 관련전공 박사님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지원자격 요약 (세부 내용은 하이브레인넷 공고문 참조)
국가공무원법 제33조, 군무원인사법 제10조, 공무원 임용 시험령 등에 의한 응시자격 제한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로,
인공지능, 컴퓨터공학, 전산학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석사의 경우 관련분야 경력 3년 이상)
* 별도의 정년 심사 없이 임용과 동시에 60세 정년이 보장됩니다.
* 학교(학과) 홈페이지
https://www.navy.ac.kr:10001/edu/edu_hakgwa_ai.jsp
https://www.hibrain.net/recruitment/recruits/3540054?listType=RECOMM&pagekey=3540054&adId=167123
인공지능 헬스케어 대학원 김GPT 2 23 5567
포스텍 ai 대학원 합격했네여 김GPT 17 10 2871
성대 인공지능 대학원 면접 김GPT 4 6 11380
한양대 인공지능 김GPT 1 8 9265
인공지능 대학원 학점 김GPT 1 13 7841-
1 16 6970
고대 인공지능 석사 김GPT 0 2 6653
고대 인공지능학과 김GPT 0 6 7457
수업을 날로먹는 교수님 김GPT 25 19 7192-
94 84 60277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명예의전당 284 31 50671
교수님들 학생들은 노예가 아닙니다. 명예의전당 94 47 9103
임용 정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임용 정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8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75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98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5 - 카이스트 면접
6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5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17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9 -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6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27 - 쩝... 하찮은 질문이긴한데
7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15 - 대학원 자퇴 그 이후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40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6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8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24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9 -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7 - 공동 1저자 순서 중요한가요?
12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11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14 - 제가 대학원 간판에만 눈이 먼걸까요...
8 - 교수님이 대학원생들 연구실에 얼마나 자주 들어오심?
10 - 포닥과 포닥지도교수 관계?
7 - 제가 mz인건가요 선배가 꼰대인건가요
10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