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 위치한 신시내티 주립 대학 (University of Cincinnati)에서 Assistant Professor로 재직하고 있는 한대우 라고합니다. 저희 대학은 미국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연구 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에게만 부여되는 R1 등급의 연구 중심 공립대학이며 유학생들에게 재정 및 많은 지원을 하는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유학을 준비하시는 학생분들이 몰라서 지원을 안하시는 것을 인지하게되어 이렇게 홍보 게시물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UC의 공학 및 응용과학 대학 (College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 CEAS)은 매년 1억 달러 이상의 연구비를 수행하고 있으며, 세계 각지에서 모인 대학원생들이 최첨단 융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많이 궁금해하시는 재정지원에 관해서 다음과 같습니다. UC는 유학생들에게 매우 경쟁력 있는 재정 지원 제도를 제공합니다. 모든 CEAS 소속 신입 대학원생들에게는 입학 첫 해 3학기 (여름학기 포함) 동안 Teaching Assistantship(TA)이 보장되며, 이를 통해 등록금 전액 면제와 함께 월별 생활비가 지원됩니다. 둘째해 부터는 학생의 연구 관심 분야와 일치하는 교수님의 연구실에 소속되어 Research Assistantship(RA) 형태로 지속적인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신시내티 대학교는 특히 융합 연구와 사회적 영향력이 큰 연구를 적극 장려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819 Innovation Hub에서는 GE, P&G, Kroger와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과 학생 및 교수가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Digital Futures Complex에서는 인공지능, 사이버보안, 디지털 헬스, 스마트 시티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UC는 실용적 혁신과 지역사회 기여를 강조하는 자체 비전 “Next Lives Here”를 중심으로 연구를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저희 대학은 UC 병원(UC Hospital) 및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신시내티 어린이 병원(Cincinnati Children’s Hospital)과 같은 대학 부속 의료기관을 보유하고 있어, 의공학 융합 연구에 매우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학원생들은 임상의들과의 협업은 물론, 실제 환자 샘플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현장과 공학의 접점에서 융합 연구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됩니다.
최근에는 Intel이 오하이오주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 설립을 발표함에 따라, UC의 반도체 관련 연구가 한층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학은 반도체 소재, 소자, 집적회로(IC) 설계, 전력전자, 패키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산학 협력 및 연구 역량을 확장하고 있으며, 전자공학, 재료과학, 화학공학 등 관련 전공의 대학원생들에게도 새로운 연구 및 진로 기회가 지속적으로 열리고 있습니다.
유학생 전담 부서인 ISSO(International Student Services Office)에서는 비자 발급, 오리엔테이션, 문화 적응, 영어(ESL) 프로그램 등을 통해 유학생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도와주고 있으며 UC가 위치한 신시내티(Cincinnati) 도시 자체도 유학생이나 연구원들에게 매력적인 곳입니다. 타 도시대비 생활비가 비교적 저렴하며, 가족 친화적인 중형 도시로 삶의 질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자녀를 동반한 학생들에게는 큰 장점이 되는데, Sycamore, Blue Ash, Mason, Indian Hills 학군 등 미국 내 상위권의 공립학교 학군이 분포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도 한인 마트, 한식당, 교회 등 한국인 커뮤니티 기반도 잘 형성되어 있으며, 공원, 동물원, 테마파크, 도서관, 어린이 박물관, 과학관 등 다양한 가족 중심 시설이 있어 공부와 가정생활을 함께 병행하기에 매우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제가 소속되어있는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학과장: Prof. Marc Cahay)에 대해 좀더 말씀드리자면 한국인 교수님들도 다수 재직 중이며 Microelectronics & Sensors 그룹을 중심으로 바이오전자공학, 나노기술, 반도체, 하드웨어 및 임베디드 시스템 보안 및 신뢰성, 에너지 시스템, 신경과학 기반 소자 등 다양한 최첨단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여러 연구실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연구실은 해당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각 연구실의 연구 분야를 요약해 보았습니다.
• MEMS and Autonomous Integrated Microsystems (AIM) Laboratory (Prof. Tao Li) – (1)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and autonomous sensor platforms, (2) Smart systems for robotics, healthcare,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3) Ultra-low power system integration based on CMOS technologies • Microsystems and BioMEMS Laboratory (Prof. Chong Ahn) - (1) Development of BioMEMS and Lab-on-a-Chip platforms, (2) Point-of-care diagnostics using body fluids, wearable biosensors, and microfluidic systems, (3) A globally recognized leader in commercializable biosensor technologies • Microelectronics and Integrated-Circuits with Neurocentric Devices (MIND) Laboratory (Prof. Rashmi Jha) - (1) Research on neuromorphic devices and non-volatile memory, (2) AI hardware, secure circuits, and next-generation sensor integration, (3) Learning-capable electronic platforms based on advanced nanomaterials • Nanoelectronics Laboratory (Prof. Andrew Steckl) - (1) Biomedical devices using nanofibers for cancer therapy, contraception, diabetes therapy, (2) microfluidic sensors for bacteria detection, (3) Lateral flow assay-based point-of-care diagnostics, (4) Extensive publication record in top journals and numerous patents. • Spintronics and Vacuum Nanoelectronics Laboratory (Prof. Marc Cahay) - (1) Design of spintronic and vacuum nanoelectronic devices and quantum systems, (2) Research on electromagnetic waves, nanophysics, and high-speed/high-voltage applications, (3) Combines theoretical modeling with experimental validation. • Materials and Innovation in New Technologies (MINT) Laboratory (Prof. Yeongin Kim) – (1) Design and fabrication of next-generation electronic materials and flexible devices for healthcare and wearable applications, (2) Development of bio-integrated systems including skin-conformal sensors, stretchable circuits, and soft robotics, (3) 3D-printed electronics. • Bioelectronics Laboratory (Prof. Daewoo Han) - (1) Development of synergistic multimodal cancer therapy platforms using nanofibers, (2) High-sensitivity biosensors and diagnostic systems based on functional nanomaterials, (3) Integration of nanobiotechnology, electronic devices, and AI for next-generation smart materials for medical diagnosis and therapy. • Hardware and Embedded Systems Security and Trust (Prof. Marty Emmert) – (1) Hardware-level security and trust, with a focus on embedded systems, (2) Secure system architectures, side-channel attack resistance techniques, and trusted IC design methodologies, (3) Integration of cryptographic hardware, authentication protocols, and tamper-detection strategies. • VLSI circuits (Prof. Ranga Vemuri) - (1) Advanced research in VLSI design and automation, (2) Development of high-level synthesis (HLS) tools, low-power design techniques, and system-on-chip (SoC) architectures, (3) Focus on reconfigurable computing, FPGA prototyping, and machine learning accelerators. • Thermoelectric Energy Conversion Laboratory (Prof. Je-Hyeong Bahk) - (1) Research on thermoelectric devices and energy conversion materials, (2) High-efficiency cooling and power generation systems, including micro-power sources for IoT, (3) Low-power energy systems using nanomaterials • Integrative Biosensing Laboratory (Prof. Leyla Esfandiari) – (1) Development of biosensors and electrochemical detection platforms, (2) Miniaturized diagnostic systems for early detection of cancer, infectious, and neurological diseases, (3) Design of biosensors using nanostructures, aptamers, and DNA nanotechnology. • Novel Device Laboratory (Prof. Jason Heikenfeld) - (1) Development of innovative devices such as electronic skin, wearable sensors, skin electrodes, and fluidic sensors, (2)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and personalized healthcare diagnostics, (3) A creative and industry-facing lab with multiple startup launches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