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5 - 위에 사람들 말 너무 믿지는 마셈. 자기가 못갔다고해서 남들도 못가는건 아닌데 일단 무조건 안됀다는 사람이 많은거같아요 ㅋㅋㅋㅋ
일단 장기적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하고 설계를 잘하셔야되요. 분야가 데싸면 박사진학시 연구실적이랑 추천서가 가장 중요할건데 (인더스트리 경력은 플러스, 요즘은 긍정적으로 많이 봐요) 그걸 최고로 뽑아낼수있는 석사를 가시는게 가장 중요해요. 탑티어 논문은 머스트고요. 미국 석사는 생각해보셨나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0 - 헉.. 아직 본인과 경쟁자들이 객관화 안되신것같네요.. 경쟁자들은 MIT, stanford, caltech, … 미국 최우수 대학 관련학과 출신 + 연구경험 다수. 그중 못뽑힌 사람들이 석사까지 관련학과에서 하고 다시 지원. 해외 탑 대학 괴물같은 지원자들 (skp, 칭화대, 동경대, IIT, 취리히공대…) 과 경쟁해야합니다.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0 - 낙관적으로 말씀하신 교수님들이 악질이시네요 ㅋㅋㅋㅋㅋ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0 - 기본적인 예절을 못배워서 그래요. 심지어 건물 복도에서 다른 연구원 공간이 가까운데도 쩌렁쩌렁하게 전화하는 애들도 많습니다. 점점 에티켓이 없어지는 나라가 되가고 있어요.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8 - 그사람이 밉상이라 거슬리는거죠. 뭔가 득되는 사람이었음 안거슬렸을거임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28 - 자기가 연구하고싶어서 대학원 간거 아닌가? 연구가 적성 안맞는다고 느끼면 그만두고 취업하면 되는데 취업해서 하기싫은일하면서 돈버는 학부졸업들은 호구인가? 연구를 하는데 왜 성과가 안나오지? 평소에 게임하다가 미팅직전에 벼락치기로 밤새고 열심히 한다고 착각하는건가? 게임을 접으면되잖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4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7 - 뭔놈이 의대가놓고 여기 들어와서 대학원생 비하하고있냐 ㅋㅋㅋ 자격지심 있음? 남 비하하는 사람들은 자존감 낮은거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6 - 의사들의 사회학적 이해 수준과 차별적 언사, 천룡인 마인드는 잘 알고 있었으나 글쓴이가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네.
한 20년 전에 과고 나와서 지금 이공계 교수인데 솔직히 나보다 공부 못했던 애들이 맨날 저러고 앉아 있으니 같잖고 참 자존감 낮다 싶음. 정신 좀 차려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7 - 돈 쫒아 의대 갔으면 그냥 열심히 자격증 따고 돈벌면 됩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3 - ????퀄시험을 끝낸지 4개월이나 지났는데 컨택한 후로 처음하는 1:1회의였다고요?
교수님이 님이 무슨 연구를 하는지 모른다고요???
그거 님이 잘못하고 있는거임. 교수님이 물어볼때까지 그냥 가만히 있지말고 계속 주제 관련해서 미팅 잡으려고 노력하세요.
학생들이 이렇게 소극적이어서 자꾸 문제 생기는거임.
주제 얘기할 때는 자료 철저히 만들어서 교수님이 짧은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그리고 저런 얘기가 나온다는건 님이 하는 연구를 왜 꼭 그렇게 해야하는지, 기존 것과 비교해서 뭐가 다른지, 그렇게 하면 왜 더 좋은지 등을 설득하라는 얘기예요. '나 이거 한다'가 아니라 '나 이거 이러한 이유로 한다'를 명확히 밝히라는 뜻이예요. 님의 연구가 네이처급 좋은 주제라 할지라도 교수님을 납득시키지 못하면 안 돼요.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4 - 사실 작성자분이 A인게 (혹은 A가 정답이라 생각하는게) 좀 투명하게 보여서 다들 B라고 한결 더 단호하게 말하는거 같기도 하네요ㅎㅎ
실 작업량 (소요한 시간) 보다 얼마나 대체불가능한 기여를 했는지 를 생각해보시면 좀 더 받아들이기 쉬우실지도 모르겠습니다.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1
[KENTECH] eM3 전자현미경 분석 연구실 대학원생, 연구원 모집
2024.08.07
Electron Microscopy for Energy Materials via Environment Manipulation (eM3) 연구실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현미경기반 소재 분석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원자 수준에서 다양한 에너지, 나노, 양자 및 반도체 소재의 물리적 성질, 전기화학 반응과 구조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더 좋은 소재를 원자단위에서 설계하는 연구를 하고있습니다. 창의적 연구 활동으로 연구 경력을 심화하고자 하는 박사후연구원과 높은 수준의 대학원 교육을 받아 세계적인 연구자로 성장하고자 하는 대학원생을 모집합니다.
연락처 오상호 교수 shoh@kentech.ac.kr
홈페이지 https://labaemn.wixsite.com/kentech-tem
구글 스칼러 https://scholar.google.com/scholar?hl=ko&as_sdt=0%2C5&q=Sang+Ho+Oh&oq=
오상호 교수님 이력
-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부교수 (2009년-2015년)
-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정교수 (2016년-2021년)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정교수 (2022년-)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공용장비센터 센터장 (2022년-)
NSC 주저자/교신저자 논문 총 15편. 공저자 13편
- Science 1편 주저자, 1편 교신저자
- Science Advances 2편 교신저자
- Nature Materials 1편 교신저자
- Nature Nanotechnology 1편 교신저자
- Nature Chemistry 1편 (출판 중) 교신저자
- Nature Communications 7편 교신저자
- Matter 1편 교신저자
산업체 과제 총 48.5억 수주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0억 과제 수행
- 삼성전자 6억 과제 수행 후 2억과제 2024년 7월 착수
- 삼성디스플레이 7억 과제 수행 후 2억 과제 2024년 7월 착수
- 삼성종합기술원 2억 과제 수행 후 1억 과제 2024년 5월 착수
- 삼성전기 5억 과제 수행 후, 현재 과제 기획 중
- SK-Hynix 1.5억 과제 수행
- POSCO 2억 과제 수행
- 현재 삼성계열사 과제 총 3개 수행 중
졸업생 현황
- 재료연구원 책임연구원
- 현대자동차 책임연구원
- SK-Hynix 책임연구원
-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3인
- 삼성전기 선임연구원
- 독일 KIT 연구소 그룹리더
- 옥스포드 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 MIT 박사과정
- 미국 UC-Irvine 박사후 연구원
- KENTECH 박사후 연구원 등
장비
- 세계 최고 성능 전자현미경 (구면수차보정 주사투과전자현미경; 2023년 세계 3번째로 구축)
대우 조건
- 등록금 전액 지원
- 인턴 130만원/월
- 석사과정 130만원/월 + 30만원/월 주거비
- 박사과정 195만원/월 + 30만원/월 주거비
- 석박통합은 3학기부터 박사과정 대우
- 포닥과정 300만원/월
- 200만원 상당 개인 노트북
- 삼성과의 공동연구 기회
유니스트 에너지 합격해써용 김GPT 9 7 9448
한국에너지공과대학 대학원 김GPT 6 9 5482-
44 29 6809 -
7 9 2353
에너지공대 어떻게 될까?? 김GPT 2 9 3781
대학원대통령과학장학금 김GPT 4 18 6280
한양대 애너지공학과 김GPT 2 4 5095
핵에너지 전망 김GPT 4 9 637
한국에너지공대 전문연 김GPT 3 6 2963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25 76 188644-
125 19 19456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41 31 48458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3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90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40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4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6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1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25 - 노력이란 무엇일까?
19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11 - 석사 논문은 대부분 이런가요? 저만 그런건가요?
8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16 - 아픈거도 죄입니까? 인간이 밉습니다
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1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20 - 공대 조기졸업 3.5/4.0 vs. 4년 3.8/4.0
1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37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9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32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19 - 다들 컨택 후 확답 몇 개씩 받아두시나요?
11 - 광명상가 타대 vs 자대 고민입니다.
11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9 - 낮은 학점 대학원 진학 문의 드리고 싶습니다
9 -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19 - 학부연구생 양다리
11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