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런 고민은 진지한 관계가 된 다음에나 시작하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6 - 보통 동양인 남자는 다른 인종에게 인기가 정말 없습니다. 이성으로 볼 확률은 희박하니 (우리가 흑인 여자 보는것과 비슷하려나요) 괜히 상처주지 마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6 - 걍 이미 김박사넷에서 연애상담하는 행위자체가 이성으로써 Red flag임다.....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9 - 외국인들과 많이 연애해본 입장에서 인종이 문제가 아니라 그냥 한국에서 유학 나가는 남자 얼굴 평균이 문제임 ㅋㅋㅋ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0 - 음.. T20 밑이더라도 충분히 괜찮은 수준이라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히 경쟁이 심하다고 꿈꾸지 말라는 거면 공감이 안가네요.
대학원이 과거보다 경쟁이 심해졌다한들 여전히 T20에 한해 많은 한국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습니다. 고우해커스에만 열명 넘고 그 모두가 수석차석도 아니요 spk만 있지도 않죠. 저는 학점 3초반으로 T10, 20 받았는걸요. 그 누구에게든 꿈꿔서도 안될 높은 목표는 아닙니다.
만약 T50이라도 좋은 곳이라고 얘기하고 싶은거면 이해가갑니다. T50은 대부분 이미 서울대 카이스트보다 수준이 낫고, 종종 각 나라 최상위 학교 뿐 아니라 심지어 미국의 최상위 학부도 박사학위하러오니까요. 그렇다고 “이렇게 뛰어난 애들이 있으니 너에게 그 위는 언감생심이다“라는 식으로 말하면 안되죠.
기본적으로 한국사회는 철저히 랭킹위주의 생각을 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남들따라서 T10이니 T20을 읊는 학생이 많을 뿐입니다. 그렇다고 그 목표를 바라고 물어봐서도 안되나요?
CS T10 T20 질문은 그만 했으면 좋겠습니다.
9 - 외국인도 시켜라 행정일 다 짬맞고 개인 연구도 못하는데 랩실 외국인들 장학금 신청은 첫 번째로 제출하더라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23 - 무줙건 전자
전자는 ㅈㄴ 꿀빨고 박사땀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8 - 우리 연구실은 개 ㅂㅅ이라서 연구실 과제계획서,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 전부 학생한테 떠넘김 학생은 그걸로 인건비 받는것도 아니고 통장 가져가서 달에 60받음(교수는 한달 60받으면 충분하지 않냐고함)
심지어 교수 개인과제도 학생한테 떠넘기고 지가 창업한 기업 과제까지 다 떠넘김 ㅋㅋㅋㅋ 그래놓고 선심쓰듯이 하는말이 너 이런경험 어디가서 해보겠냐 ㅇㅈㄹ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10 - 그럼 교수가 과제 보고서를 어케 씀ㅋㅋ 니가 교수라 생걱해봐라 시간이 있나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6 - 무조건 후자
석박통합은 학생 입장에서 장점이 없는 제도임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7 - 단백질 폴딩 문제 많큼 오랫동안 안풀리고 + 돈 될 만한 문제가 고체물리 쪽에 있음?
AI가 돈먹는 하마인데 단백질 폴딩 문제만큼 학술적이고 산업적으로 동시에 의미 있는 문제가 없으면 시작하기 힘들듯
고체물리가 다음 AI가 정복할 영역같음
6 - 선긋는 정상적인 어른이라 님이 좋아할 가치가 있는 사람인거죠. 그거 사제지간인데, 헤벌쭉 하고 받아주는 천지분간 못하는 인간이면 님이 눈알을 빼서 씻고 다시 넣고 봐야되여. 좋아할 가치가 없는 종자임.
맘껏 좋아하세여. 어릴 땐 그래두 되여~ 어른이 알아서 단도리 해야 함.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9 - 영어는 잘 할 수록 좋습니다.
학생이 준비를 하지 않고 본 토익이 900을 못 넘으면 영어 실력이 박사 진학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할 것 같습니다.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7
석사 진학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의 중요도
2020.10.12

안녕하세요
이제 3-2학기 재학 중인 국숭세단 공대생입니다
적성에 맞는 전공과 진로를 알아보니 석사 과정이 필수적 이여서 최근에 이르러서 대학원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것 저것 알아본 결과 현재 아래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고 있으나 중요도를 제가 선정하기 어려워 도움을 요청 드립니다
1. 대학 간판
2. 연구실 분위기
3. 연구 주제
4. 교수 및 사수
현재 이 4가지를 중요시 생각하고 있는데 1) 중요도 순서 , 2) 추가로 고려해야할 점 두 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국숭세단 공대생으로서 3.9/4.5 정도 학점인데 어느 대학까지 지원 가능할까요
1)서포카 2)연고 3)서성한중
3)라인까지 지원 가능할까요?
기타 스펙으로는 영국교환학생1학기 / 토익 870 / 아이엘츠 평균 6.5 있습니다.
현재 학부연구생 생활 하고있습니다.
석린이에게 많은 관심과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석사 학벌의 중요성에 대한 고민 김GPT 0 20 8434-
1 16 10686
석사취업 시 학부성적 중요한가요? 김GPT 1 7 11578-
2 8 6878
석사 취업시 중요순위 김GPT 2 12 7726
석사 진학 세부연구분야 김GPT 0 3 5524
학부가 많이 중요할까요? 김GPT 2 15 5251
석사 연구주제 김GPT 1 5 5965-
0 8 5158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명예의전당 221 23 58560-
416 68 47584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290 95 8337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27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38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9 - 돈은 벌고싶고 책임은 지기 싫은 지도교수님
12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석박통합은 누가만든건지...
37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1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3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연구실 숙식 꿀팁 알려주세요, [옷 관련]
13 - 경북대 와 디지스트
8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5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18 - 일본 대학원 진학 질문
19 - 안녕하세요. 포항공대 하계 인턴 관련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17 - 징징글) 제가 지금 있는 연구실에서 졸업을 하는게 제 인생에 도움이 될지 고민입니다.
11 - 고체물리가 다음 AI가 정복할 영역같음
21 - 인아 라인에서 대학원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20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2 - 교수님이 절 싫어하시는 것 같아요
12 - 미국 박사 진학 희망자, 현재 랩 교수님께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까요?
15 -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23 - 적성 및 spk 진학 가능성 고민입니다.
15 - ㅈ소 신입사원의 고민
15 - 연구경험 없이 ai 대학원 진학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27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38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9 - 돈은 벌고싶고 책임은 지기 싫은 지도교수님
12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석박통합은 누가만든건지...
37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1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3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연구실 숙식 꿀팁 알려주세요, [옷 관련]
13 - 경북대 와 디지스트
8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5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18 - 일본 대학원 진학 질문
19 - 안녕하세요. 포항공대 하계 인턴 관련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17 - 징징글) 제가 지금 있는 연구실에서 졸업을 하는게 제 인생에 도움이 될지 고민입니다.
11 - 고체물리가 다음 AI가 정복할 영역같음
21 - 인아 라인에서 대학원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20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2 - 교수님이 절 싫어하시는 것 같아요
12 - 미국 박사 진학 희망자, 현재 랩 교수님께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까요?
15 -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23 - 적성 및 spk 진학 가능성 고민입니다.
15 - ㅈ소 신입사원의 고민
15 - 연구경험 없이 ai 대학원 진학
13
2020.10.12
2020.10.12
20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