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1천명대 규모 대학원으로 10위 남짓 언저리를 하는 것도 대단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지스트가 유니스트보다 퍼포먼스가 좋다? 이건 아니라고 보고...
동체급인 포항,유니스트, 지스트 중에서는,
포항 >> 유니스트 >>>>지스트 정도가 되어야 하지 않나 개인적으로 생각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반박 및 의견 개진 환영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5개
Leon Walras*
2020.09.23
아니 해박빼고 SPK빼고 도토리 키재봐야 뭔 의미가 있냐
Niccolò Paganini*
2020.09.23
ㄴ그건 ㅇㅈ 서카포 제외하면 다 고만고만한듯..
그래도 기왕지사 줄을 세운다면 근거를 갖고 세워야 한다고 생각해서 썼네요ㅋㅋ
Adolf von Baeyer*
2020.09.23
도토리
2020.09.23
남의 나라 신문이 저거나라 대학현실도 잘 모르면서 우찌 아시아 한국 대학실태를
그리 잘 아는고
돈벌이 수단(부수판매, 광고)
2020.09.23
팩트네요
Anna Schwartz*
2020.09.23
포항 유니스트 차이보다 짜장, 지 디의 차이가 더 크다?
랭킹은 아주 지 입맛대로 들고왔구만 외국에서 ㅈ도모르는 기관이 평가한걸로
중앙일보 평가는 포항공대 1위 카이스트 2위 성균관대 3위 고려대 4위 서울다 5위인데요? 국내 신문사가 국내 사정에 맞게 평가한게 더 정확하지 않나요?
Adolf von Baeyer*
2020.09.23
ㄴ 서카포>>>>>>유디지 팩트
저런거 들고 다니는 애들 네이버 카페에도 몇 있는데 다 유니훌리임
2020.09.23
글쓴이 학부 지잡에 대학원 유니 딱 들켰죠?
유니훌리 진짜 카페에서도 몇 보이던데 왜그러는지 모르겠네
Niccolò Paganini*
2020.09.23
ㄴ중앙일보에서 서울대 카이스트 제외한지 언제인데 아직도 중평 얘기?
국내에서 카,포,유,지,디 넣는 대학평가는 한경 이공계 대학평가밖에 없구요
그리고 랭킹을 입맛대로 들고왔다는건 뭔 소리에요 ㅋㅋ
현존하는 공신력있는 랭킹 전부 다 들고왔구만 무슨 랭킹을 취사선택한것처럼 말하네?
THE, QS, ARWU, USnews, CWTS, CWUR, 네이쳐인덱스 이거 말고 다른 랭킹 아는 거 있어요?
불리한거 들고오면 다 훌리래 ㅋㅋㅋ
Niccolò Paganini*
2020.09.23
ㄴ아 방금 찾아봤는데 2018년부터 중평이 종합평가랑 이공계평가랑 따로 내기 시작했군요?
그리고 가장 최근인 2019 중앙일보 이공계 대학평가에서 (https://news.joins.com/article/23634081)
공학계열 1위 포항 2위 카이 3위 성균 4위 고려 5위 유니스트 6위 한양 7위 서울 8위 연세 9위 경희 10위 중앙
자연계열 1위 포항 2위 카이 3위 성균 4위 서울 5위 유니 6위 한양 7위 고려 8위 연세 9위 중앙 10위 서강 임.
이건 믿을만한지? ㅋ
Adolf von Baeyer*
2020.09.23
ㄴ뭐가 불리해요ㅋㅋ
이렇게 바득바득 자료긁어오는 글쓴님이 안쓰럽네
유니 간게 그렇게 자랑스러워요? 쯧쯧
Karl Weierstrass*
2020.09.23
ㄴ 조롱하는 니 인생이 더 병신같음
Adolf von Baeyer*
2020.09.23
객관적으로 유디지 거기서 거긴데 유>>디지 거리면 여기서 곱게 볼 사람이 유니 학생말고 누가 있어요 ㅋㅋ
Anna Schwartz*
2020.09.23
연구중심대학 제외했다가 2019년도에 재평가한거도 전부다 포공 1위였다
그리고 저거 랭킹 높아봤자 뭔 소용있음? 짜장이 더 높다고 지 디보다 사회적으로 잘나가나? 인제 박사 1기 사회진출할 나이 아닌가?
랭킹 높으면 유학은 잘가나? 그러면 국내외 대학 상위 15개 대학 순위에서 지스트는 70프론데 짜장은 40프로면 긁어온 랭킹이랑 ㅈ도 안맞는거같은데 어떻게된거임?
2020.09.23
중앙일보는 성균관대와 같은 재단이고
조선일보는 고려대와 같은 재단임
동아일보는 어느대학과 같은 재단인지모름
모두 자기재단 학교 홍보지
Adolf von Baeyer*
2020.09.23
Karl Weierstrass
어그로성 다분한 글에 동의하시는 거죠?ㅋㅋ
거기 쳐박혀 있으세요
Niccolò Paganini*
2020.09.23
아득바득 자료 긁어온다고 말하니까 웃기네용 ㅋㅋㅋ
그 도토리 키재기를 누가 먼저 시작했는지 전 모르겠는데
지스트가 높다니까 사실이 아니라고 알려주는거죠 ㅋㅋ
거듭 말하지만 난 지스트 까내릴 목적이 아니고 지스트가 유지디 중에서 미세하게 높다 운운하는 사람이 있어서 그에 대해 반박해주려고 자료 긁어온 거에요. ->[https://phdkim.net/board/free/8369/]
+)또 그보다 옛날인 2018년 중평에는 https://news.joins.com/article/23076601
공학계열 1위 포항 2위 카이 3위 성균 4위 한양 5위 고려 6위 유니스트 7위 서울 8위 연세 9위 경희 서강.
자연계열 1위 카이 2위 포항 3위 서울 4위 성균 5위 유니스트 6위 한양 7위 고려 8위 연세 9위 중앙 10위 서강...
Karl Weierstrass*
2020.09.23
ㄴAdolf von Baeyer
응 고마워
난 니들이 부러워할만한 곳에 있으니 여기 30년동안 처박혀 있을거야 ㅋ
Niccolò Paganini*
2020.09.23
Anna Schwartz // 포항공대가 높은 건 팩트인데 뭐를 말하고 싶으신 건가요?
전 포항공대랑 비교한 적 없는디?
그리고 해외 유학 순위는 뭐를 말하는 건지 모르겠는데 일단 들고 오셔서 그게 무슨 순위인지 알아야 이야기를 할수 있을듯ㅋㅋ 그
Adolf von Baeyer*
2020.09.23
ㄴ 아니 그니까 이 게시판에서 유니>>지스트 거리는 걸 훨씬 많이 봤는데 그게 유니훌리 아니면 뭐냐고요. 그 반대의견 나오니 자료 바로 가져오는게... 준비되어있던 것 마냥 ㅋㅋ 그래서 어그로같아 보였는데 아니라면 죄송합니다. 근데 유니다니는 건 아니신거죠?? ㅋㅋ
2020.09.23
근데 주변이 환경이..
지스트는 그래도 주변에 맛집도 있고 영화관도 있는데
유니스트는... 힘내라 유니..
Niccolò Paganini*
2020.09.23
ㄴ한 삼십분만 투자하면 바로 나오는 자료인데 뭘 준비되어 있던 것 마냥 가져온다는 거에요 ㅋㅋ
훌리건이라 하시면 뭐 직업적으로 도배하고 다니는 그런 사람 말하는 것 같은데 저는 여기서 처음 올리는 거고요.
그리고 자료 가져온 걸로 그런 말 듣는것도 웃기네요. 연구자라면 모든 판단을 데이터와 실증자료에 기반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아 그리고 저는 유니>>지스트라고 '훨씬 많이' 말하는 건 못봐서요 ㅋㅋ
Niccolò Paganini*
2020.09.23
Alexis de Tocqueville // 자대생들은 어떨지 모르겠는데 개인적으로 타대 학부출신 입장에서는 지스트나 유니스트나 주변환경은 거기서 거기로 보이더라구요.ㅋㅋ (둘다 '대학로'는 없음)
둘다 살아본적은 없으니 잘은 모르겠지만 이거야 뭐 개인 생각 차이니
Adolf von Baeyer*
2020.09.23
Karl Weierstrass
근데 님 교수되셨어요? 아니면 해외 대기업취업하셨어요? 그러면 ㅈㄴ 부러움
Karl Weierstrass*
2020.09.23
ㄴ 정출연임
학생때도 커뮤에서 키배뜨면서 논문쓰던 습관이 있었는데 졸업하고도 못버림 ㅋ
Adolf von Baeyer*
2020.09.23
ㄴ 오 부럽네요. 아까 쳐박혀 있으라한건 죄송합니다.
어그로인줄 알고 조롱했는데 병신이라 하셔서...
근데 글쓴이가 진짜 훌리인줄 알고 그랬네요. 뭐 아니라니까 ㅋ 요즘 하도 보여서 착각했네
Anna Schwartz*
2020.09.23
글쓴이 이런데에 30분이나 투자함? 존나 할짓없는 인간인가보네
2020.09.2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기 타대생 대학원생인거 지입으로 말하노,,
좋겠다야 대학원 열심히 노력해서 유니들어가서
너한테는 유니가 최선인거야? 나도 ssh ist 학부 재학중인데 굳이 낮은 학부의 타대생이 와서 우리학교 출신인척 홍보하는거 별로 기분이 좋지는 않아;
홍보는 자대생들이 열심히 할테니깐 그냥 운좋게 붙었으면 학교 명성 낮추지 말고 그냥 자기일 열심히 하면서 학교 다녀주길 바래~
Frans Eemil Sillanpää*
2020.09.23
연구는 규모 때문에 유니가 나아보일 수도 있는데 그 규모로 인해서 학부 입결은 지스트가 분명 우위이고 주변 환경도 지스트가 나은거 같던데요?
Niccolò Paganini*
2020.09.23
Frans//그럴수도요. 근데 대부분 수시로 뽑는 상황에서 '분명 우위'라고 하기 힘들고, 지스트는 수시이월시켜서 정시 빵꾸도 많이 납니다. 작년만해도 정시성적 건대급이 지스트 합격했다는 이유로 뜬금없이 유니스트도 덩달아 까였죠. ???
유가 앞이나 지가 앞이냐는 한성서인지 성한서인지 그정도 차이라고 봐요 전.
Niccolò Paganini*
2020.09.23
ㄴ그리고 규모때문에 좋아보일수있다고 말씀하셨는데
CWTS 보시면 피인용도 탑인 논문들이 지보다 유에서 유의미하게 양도 많지만 비율상으로도 높은 비율로 나온다는걸 볼수 있어요
2020.09.23
저 순위 지표의 맹점은 유니의 에너지 화학분야 몇몇 외국인 교수랑 은퇴직전 또느 타학교에서 은퇴하시고 온 분들의 퍼포먼스가 너무나도 높아서 지 디지보다 훨씬 좋게 나오는거임. 뭐 전략 성공이지. 그런데 일반 전전 이런데는 큰 차이 없음. 오히려 한양대 이런데가 양, 질 모든 면에서 유니 디지 지 다 압도함. 따라서 에너지 쪽은 유니가 진짜 좋고 나머지는 다 비슷하다 이게 맞다고봄.
2020.09.23
ㄴ 성대가 의대로 캐리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
2020.09.23
디지스트 600명이구나
Niccolò Paganini*
2020.09.23
성대의 급상승은 의대덕분이 아니라 실력입니다.
우수 대학원생을 뽑는 글로벌 닥터 펠로우십에서 가장 많이 선발되는 석박생들이 성대와 유니스트에요.
그리고 학교 캠퍼스내 IBS연구단의 숫자 또한 카이스트5, 포스텍4, 서울대3,유니스트3, 성대 2개이고,
연,고,이화,부산,지,디는 모두 1개씩에 불과합니다.
참고로 유니스트ibs는 신소재들과 생공쪽, 성대는 뇌과학과 미세재료쪽이라 둘다 에너지공, 의대와는 연관없지요.
실제로 좋아서 오르는거지, 꼼수를 사용해서 순위가 오르는게 아닙니다.
IF : 1
2020.09.23
Ibs는 학교 소속이 아니에요. 사업끝나면 원래 외국 교수 출신이면 다시 돌아가거나 합니다. Ibs랑 학교 겸직하셔서 돈 뽕뽑고 학교 입장에서는 랭킹에 도움되는 그런식입니다. 원래 자대 교수 아니면요. 유니가 그래서 랭킹대비 고르게 발전하지 못한다는 팩트 입니다. 학교 입장에서는 선택과 집중 한거죠. 다른 분야가 에너지만큼 성과 나왔으면 국내에는 이런 논의조차 할필요도 없이 우수성을 알겁니다. 랭킹보다 에너지 화학 제외 직접 랩하다 홈피들어가서 디지랑 지 유니 실적 직접 비교해 보세요. 랭킹에서 정도로 차이가 있는지.
2020.09.23
ㅋㅋㅋㅋㅋ
2020.09.23
글러벌닥터 펠로우십 유니 많은건 사실인데 그 지도교수들이 대부분 서카포로 이직함.. 이게 유니가 잘했단 소리겠지 반대로. 그리고 최소한 카포는 들어보니 돈이 많아서인지 펠로우십 관심도 없음. 내 생각에는 서카포 카르텔은 견고하고 유니가 최소한 연구적으로 집중하고 펠로우십내고 학생연구 장려하고 이건 맞는거 같다. 에너지랑 타분야 차이는 크다.
2020.09.23
유니학부 카이석사 해외박 입학 코로나 때문에 연기되서 직장 다니면서 대기중인 사람인데, 제발 이런 것 좀 안올리셨으면 좋겠습니다... 부끄러워서 유니학부인거 어디 말하지도 못하고 다니는데 UDG든 GDU든 뭐든 뭔상관입니까. 정출연 다니는 분들이나 교수님들끼리는 다 아는 이야기인데 (저도 지금 정출연 위촉연구원입니다.) 유니스트는 지금 허리가 없는 학교입니다. 연구실적 좋은 연구자들 월급이랑 연구비 두둑하게 챙겨서 밀어주고 조교수로 오는 젊은 교수들은 새끼랩처럼 들어가 있는 구조가 많죠. 그중에 실적 잘 뽑는 젊은 교수들은 SSH 혹은 그 밑에 급 대학들이라도 서울 좋아하면 다 가방싸서 나르고 (SPK 가신 분들도 여럿 봤긴 하지만 평균은 SSH 정도로 도망가는 것 같습니다만...) 나머지는 그냥 조교수가 말그대로 assisting만 하는 꼴로 있죠. 그래도 빅네임들이(i.e., 조재필 교수, 루오니 루오프 교수) 하도 논문을 잘 뽑으니까 라이덴 랭킹같은 논문 질 평가하는 지표에서는 그 비싼 연구자들이 이름값하면서 압도적으로 나오죠. 하지만 실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국 잘하는 사람은 다 도망가고 울산이 연고지거나 굳이 남아야 하는 이유가 하나씩 있는 교수들만 남죠. 그리고나면 어떻게 되나요, 이 교수들 중에 테뉴어받는 사람들이 몇이나 되겠습니까. 유니 테뉴어 안주는 걸로 유명하고 조건도 너무 빡세서 이 사람들은 도태되고 다시 같은 패턴으로 비싼 연구자 사오고 조교수 뽑아서 조교처럼 쓰겠죠? 그래서 자동으로 논문 퀄리티가 컨트롤되면서 순위가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겁니다. 갖고 오신 랭킹들의 세부지표 보시면 유니의 경우 다른건 다 낮은데 논문 피인용률이 압도적으로 높아서 다른 지표 다 캐리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확인해보시면 유니스트의 전체적 수준이 높은게 아니라 소수의 초빙 연구자들이 머리채잡고 랭킹 올리기 때문에 저런 랭킹이 나온다고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6.18
23년인데 공감가네요
Adolf von Baeyer*
2020.09.23
ㄴ 저도 이렇게 알고있습니다. 심지어 예로드신 조재필교수는 사업때문에 그만둔다는 말도 있던데
2020.09.23
비교 안하고 우리끼리만 꾸준히 잘해서 실력으로 열심히 학교 알리려하는데, 꼭 이런 사람들 때문에 초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는 유니를 다니신다면 훌리짓 그만하고 공부해서 다른 걸로 좀 홍보해주시고, 타대생이시라면 다른 대학에 신경끄시고 본인 대학 홍보나 잘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내부사정 잘 모르고 랭킹이랑 알량한 자료만 쭉 붙여놓고 대학 줄세우기하지 마시고요. 그리고 랭킹외에 하필 들고온게 현대중공업 채용자료라니요. 울산이 현대중공업이랑 한화계열 회사로 굴러가는거 아는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데 당연히 유니 높게 쳐주고 연고지역이기 때문에 이직률 낮으니까 선호하죠. 꼭 서울로 가야한다는 마인드가 아닌 애들이 보통 유니까지 고려하기 때문에 회사에서는 정말 참고하기 좋은 지표죠. 최대한 객관적인 자료인척 들고와서 랭킹 나열하고 '실제 퍼포먼스'라니 웃음밖에 안나옵니다. UDG든 GDU든간에 결국 이쪽 계열을 고려할 때 저것보다 중요한 것은 분야입니다. 각 학교마다 잘하는 분야가 크게 상이하기 때문에 그 차이가 저런 별 차이도 안나는 종합랭킹따위를 보고 평가하는 것보다 훨씬 의미있어요.
2020.09.23
William 이분 뭐지.. 고학번이라 그런가 정말 빠삭하시네요 ㄷㄷㄷ.. 그런데 왜 이렇게 유니가 뜨거운 감자인지, 왜 이런 글이 올라오는지 이해는됨. 태생부터 유니는 언론 플레이를 소위말해 오지게 해서 학교를 띄웠죠. 과기원 전환과 신생학교로서 살아남기위한 전략인거 같은데, 그로인해서 예전부터 학부 커뮤니티에서 오지게 욕먹었죠. 반면 지스트나 디지스트도 학부가 생겼지만 상대적으로 언론플레이 하지 않으니 그냥 자기 순위대로 평가 받았죠.
커뮤니티에서 갈등이 생기자 필요 이상으로 유니가 후려쳐지는 역사가 시작되었고, 유니 학생들이 스트레스 받을만 합니다. 때로는 자기 위치보다 더 낮게 후려쳐지기도 하니까요..
유니 연구 잘하고 William 이분 말씀하시는 거는 정말 다 맞는 말이네요. 소름이 돋을 지경.. 사실 THE 랭킹에서 피 인용도가 얼핏 듣기로 세계 7위??? 인가 그렇다던데 그정도는 아니잖아요 솔직히.. QS랭킹 THE랭킹 이런거 다 설문조사 너무 많이 들어가서 엉망 진창인거는 다 아는 사실이죠. 근데 이 랭킹가지고 학교가 오지게 또 언론 플레이하니까 장점도 있는데 반대급부로 재학생들이 조롱의 대상이 되는 부작용이 있는거 같아요. 재학생들이 솔직히 뭔 죄일까요.. 부심? 부리는 애들 있겠죠. 근데 그보다 스트레스 받아서 더 조용히 지내게 되는 애들이 더 많아요.
그리고 외부 상황이야 어찌 됐든 내실을 다져나가야 하는데 William 이분 말씀처럼 잘할만 하면 성대 이런대로 많이 빠져버리시니.. 소수 교수들 실적 가지고 너무 언론 플레이 이제 안했으면 합니다..
2020.09.23
지방에서 연구 잘하는 교수들은 UDG 상관없이 대부분 더 좋은 학교로 많이 이직합니다.. (심지어 P도) 이미 U나G는 개교한지 10년이 넘어가는데, 학교 분위기와 연구력은 이제 안정화되었죠. 몇 사람에 의해 학교 랭킹이 좌지우지 된다는 억측 및 물타기는 하지 않는게 좋죠. D나G에는 스타급 과학자가 없나요? 여기저기서 U 훌리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위에 학교순위나 글로벌 박사 및 휴먼테크 수상자들을 통해 드러나는 연구력은 팩트로 받아드리고 넘어가면 됩니다.
2020.09.23
ㄴ 댓글들의 논지를 전혀 파악 못하는듯.. 스타급 과학자를 자연스럽게 교수로 모시는게 아니라 IBS 단 이런거로 껴서 있는게 문제. 언제 갈지 모르는 허상 같은거. 그렇다면 진짜 많은 교수들의 피 인용도가 세계 7위 수준인가요? 댓글들에서는 랭킹의 허상을 말하는 거고, 그로 인한 언론플레이를 말하고 있는 거임. 유니의 정량적 기사량 (한 사건에 대해)이 상대적으로 많은 건 사실이고, U가 다른 지방대학에 비해 압도적으로 이직이 많은 것도 사실임. 에너지 분야는 연고대 학부생도 지원할 정도로 알고 있는데 다른 학과도 그런가요?
2020.09.23
ㄴ 언론플레이로 대학 순위가 올라가나요? ㅋㅋ IBS 연구단 1~2개 갯수 차이로 대학 순위가 바뀌나요? D,G에는 IBS로 스타과학자 모셔오지 않나요?
제 말의 요지는 랭킹의 허상 이런건 님의 생각이구요 SPK 뿐만 아니라 모든 대학이 랭킹에 주목합니다. 각 학교마다 랭킹 관련 팀도 다 있고요. 미국은 안그럴것 같나요? 학부 진학 때 부터 US 랭킹 엄청 신경씁니다.
저기 위에 기관들이 어떻게 순위를 매기는지 정보, 팩트 체크 좀 정확히 하고 오세요. 여러 기관들에서 나온 통계는 받아드리고 넘어가면 됩니다. 랭킹이 허상이라는 것은 팩트를 들고 이야기하세요.
2020.09.23
Andrea Branzi님의 말도 어느정도 일리는 있지만, 논리의 비약이 심하신데요. 팩트1 U에는 스타급 과학자들이 D나 G보다 많습니다. 있다 없다로 이분법으로 나누신다면 뭐 있기야하겠지만 소위 스타급이라고 하면 HCR을 말하는데 U가 대한민국에서 항상 최상위권인 것은 아시나요? 로드니 루오프 교수가 2분야인 것을 빼더라도 숫자 자체가 5명입니다. D,G는 제가 알기로 작년 기준 한명도 없었던 것으로 아는데요. HCR이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지만 정출연에서도 보통 스타교수라하면 그렇게 기준을 사용하니 대강 논지는 전달되리라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돌아가자면 U는 채용전략자체가 크게 상이하단말입니다. 이미 완성된 스타연구자에게 비싼돈 주고 좋은 자리를 주는 구조로 초격차 전략+낙수효과 기반으로 운영하는겁니다. 팩트2 스타급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다른 랩이 말로는 평등하다지만 결국 연구비 빵빵한 해당 교수들이 주도하는 연구를 중심으로 낙수효과를 누리는 구조입니다. '아, 겨우 HCR 5명이서 학교 랭킹을 어떻게 올리겠어?'라고 생각하면 오산인게 그 몇명이 동일분야의 U교수를 껴서 집단을 이룹니다. 결국 학교의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15%가 이러한 그룹에 속하게 됩니다. DG와 U의 가장 큰 차이점은 U는 이러한 구조를 의도적으로 만든다는 겁니다.
2020.09.23
이글이 아직까지ㅋ 그럴싸하게 쓰셨는데 랭킹을 모든대학이 전부 의식하긴하는데 통계상의 많은 허점이 있다는건 나무위키만 봐도 알수 있어요ㅋㅋㅋ 설문조사 베이스이고 정량적 지표로 연구력을 평가하는게 아니기 때문이죠. 가령 설대가 평판도로 칼텍을 누르거나 the와 달리 qs는 gist가 세계 6위? 인가 그렇던데 이게 통계적 장난질이 아니면 뭔가요ㅋㅋ 그리고 미국 us news많이 보긴하는데 분야별 랭킹을 훨씬 중요하게 봅니다.
2020.09.23
위에 말이 모호한데 Gist의 qs 논문 피인용도요ㅎ
2020.09.23
그리고 미국의 us news는 종합대학 칼리지 대학원 다 디테일하게 나름 매기고 있고, 분야별로도 평가 방법이 조금씩 다릅니다. 그리고 qs인가 세계 1위가 옥스포드인데 이것에 동의하시나요?ㅋㅋ 미국인들은 qs the이런거 신경도 안씁니다 us news만보지.
2020.09.23
말씀하신 것들 동의합니다. 그런데, 이런 전략은 다른 소위 잘나가는 미국 대학들에서도 널리 행해지고 있는 것들입니다. 스타급 과학자가 산학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한 명의 스타급 과학자를 모셔오기 위해서 아예 리서치 센터를 세워주기도 하죠. 말씀하신 그런 낙수 효과로 학교의 연구 경쟁력을 올릴 수만 있다면 당연히 해야지요. 스타급 과학자를 유치하는 것도 학교의 역량 아닌가요? 초기 신진 교수들도 잘나가나는 교수들의 연구 노하우 및 소스들을 공유하는 시스템은 카이스트(초세대 협력 연구실) 및 성대 등 소위 잘나가는 대학들에서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여기 사이트에서는 대학 줄 세우기 좋아하는 것 같은데, 제 말의 요지는 공식 기관에서 발표한 랭킹, 순위 및 정량적 결과들은 그대로 받아드리면 된다는 것입니다.
2020.09.23
잘못말했군요. The가 세계 1,2위가 옥스포드 케임브리지군요ㅋㅋ
2020.09.23
QS 에서 GIST 6위는 피인용도만이죠.. 저기 위에 데이터는 종합 평가이고..
종합적인 평가 순위는 보통 사람들이 알고 있는 명문대들로 줄세워지지 않나요?
이 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들 신경쓰지 않는다곤 하지만 속속히 체크들은 하고 있는 모습 보이죠?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대댓글 1개
2023.06.18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09.23
2020.12.31
2021.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