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분야에서 석사 컨택 고민중인데 어느 분야가 추후에 살리기 좋을거라 생각하시는지나, 산업 전망•수요가 괜찮을지 추천하실만한 분야에 대해 아시는 바가 있다면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제 흥미가 가장 중요한 건 아는데 전망없는 거에 시간, 돈 투자하고 싶진 않아서 환경 쪽 잘 아시는 분 의견 부탁드려요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10.29
1. 폐기물 에너지화(열분해) - 폐기물 에너지화 자체는 환경공학 치고는 나름 잘 선방하고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고등기술연구원, 에너지연 등 재단법인 연구소나 정출연에서도 꾸준히 연구하는 분야라고 알고 있고요. 여담으로 폐기물 에너지화에는 혐기소화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바이오 에너지) 부분도 포함되고, 정부에서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관련해서 올해부터 뭔가 밀어붙이는 추세 같습니다. 확실히 전통적인 오염물의 처리 보다는 에너지화, 업사이클링 등의 분야가 환경공학에서 최근 메인스트림 같네요.
2. CCUS - 아주 유망하고 좋은 분야이나 정말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화공과에 목 따이는 분야 같습니다. 올해 노벨상 받은 주제인 MOF나, Chemical-based CCUS 쪽 연구 분야가 원채 핫해서 환경공학에서 CCUS 연구는 좋긴 한대 주류가 될지..? 라는 생각이 들어요.
굳이 환경공학에서 보자면, 조류를 활용한 생물학적 CCUS나, 전기화학적 CCUS, 대기 환경에서 하는 CCUS(제가 수질 전공이라 잘 모르겠습니다..) 정도가 되겠네요.
대댓글 5개
2025.10.29
3. 자원환경에너지(석유 채굴 및 환경안전 쪽) - 이쪽은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 신재생/친환경 필두로 석유 화학쪽 파이가 줄어드는 것 같으면서도.. 트럼프가 기후변화 거짓이다 주장하면서 석유 화학 그대로 가자 마인드인거 보면.. 환경안전은 꼭 필요한 포지션이지만, 학부 수준에서도 가능하지 않나? 싶습니다. 사실 상세 연구 분야를 몰라서 제가 잘못 판단한 것일 수도 있어요.
4. LCA, 환경영향평가 - 마이너하지만, 국밥이라고 생각합니다. ESG 경영을 필두로 LCA, 영향평가도 조금씩 폼이 올라오는 거 같아요. 그런데 학계 쪽에서는 이게 주류 연구 보다는 일종의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개념이 강한 것 같습니다. 경제성 평가처럼요. 하는 분들이 많지는 않으나, 빈틈을 잘 노려볼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5. 환경+IOT쪽 - 핫하다 못해 태양 중심부처럼 뜨거운 분야죠. 속된 말로 오만 곳에 다 가져다 쓰죠. 수질, 대기, 폐기물 등등.. 연구 과제 제안서를 보면 대부분 AI를 접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향후 몇년간 핫한 분야라고 봅니다.
어디까지나 사견이니 참고 정도만 하시길요
2025.10.29
너무 자세한 댓글 감사합니다.. ㅠㅠ 현직자시거나 석박 연구자분이신 거 같은데 작성해주신 댓글 참고해서 논문 읽고 랩 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학부 공부를 분야를 좁혀서 열심히했으면 고민 안했을텐데 연구생 경험도 없고 학부 때 워낙 얕고 넓게 배워서 제가 관심이있으면서도 역량 안에 해낼 수 있는 분야에 대해 좁히는 게 어렵네요.. 제 궁극적인 목표는 연구가 아니라 석사 후 일본기업 취업인데요.. 미래지향적인 측면으로 봤을 때 다음분야 중에서 전망이 좋거나 취업할 때 (기업 채용입장으로도) 추후 살리기 가장 괜찮은(범용적일 수 있는) 분야가 개인적으로 어떤 쪽이라 생각하는지 의견을 여쭤봐도 될까요? 개인적으로는 1. 열분해, 환경디자인(설계), 폐기물, 자원화 쪽 (교토대 혹은 홋카이도대) 2. 생애주기 분석 연구, 경제성분석, GHG, 온실가스 (도쿄대 교토대 등), 3. 광물, 에너지부터 자원순환, 폐기물 및 환경복원까지 자원-환경 시스템(규슈대) 4. 폐기물+ai 쪽 연구실
이렇게가 가장 흥미나 추후에 살릴 수 있는 면에서 고려중인데 관련해서 의견 여쭤볼 수 있을까요?
2025.10.29
1. 석사 후 취업 2. 일본
두 가지를 고려하자면 저도 정말 모르는 부분이긴 합니다 ㅎㅎ.. 다만, 일본 환경성에서 발표하는 환경 산업 규모를 살펴보면 폐기물 처리 분야가 상당 부분을 차지해요. 물론 GHG, 기후변화 쪽은 글로벌하게 주류 분야니 천외천으로 놔두고요 ㅋㅋ
그렇게 고려해봤을 때, 폐기물 분야가 가장 GOAT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관련 분야로 어떤 대학이 유명한지, 어떤 교수님이 대가신지는 잘 찾아봐야겠죠. 한가지 예시로 도쿄과학대학에서 폐기물 쪽으로 연구하시는 교수님 구글 스칼라 홈페이지 공유 드려요. 대충 훑어보시면 폐기물 쪽으로 이런 연구 하시구나 감은 잡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링크까지 달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폐기물쪽은 교토대랑 홋카이도대 랩실만 보고있었는데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혹시 일본 폐기물 분야의 권위자이거나 저명하신 교수님들을 알고 계실까요? 한국이면 저희 자대이신 두세분정도가 학계에선 유명하신데 일본 폐기물학회의 교수님들의 권위는 잘 모르겠어서 이쪽도 혹시 아실까요..? 너무 많은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10.29
아 대댓글 쓰고 다시 읽어보니 아마 일본쪽에서 활동하신 건 아니신 거 같네요..! 제가 리서치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 의견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2025.10.29
대댓글 5개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