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암세포 연구를 하고 싶어요

2025.10.09

4

317

아직 대학 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조언을 받고자 하는데 주변에는 이 쪽으로 관련한 사람이 없어서 정보를 찾아보다가 김박사넷을 알게 되어서 진심어린 조언을 듣고자 글을 남겨요.

저는 생명과학과를 전공 후에 대학원을 가서 유전자나 바이러스 세포 등을 연구하고 싶어요

특히 암세포를 연구하고 싶다는 마음이 가장 커요.

여기서 제가 궁금한 것은 의대를 진학하지 않으면 업계에서 불이익이 있는지입니다.

또한 바이오 관련 전공은 학부부터 시작하여 대학원도 별로 추천하지 않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는거 같더라구요.

바이오 산업이 국내에서는 투자가 안좋아서.. 임상 실험만 하는 교수님 밑에서는 연구를 제대로 배울 수 없다... 등

많은 이유가 있더라구요. 이에 대해서도 조금 더 자세하게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10.09

의대를 진학하지 않는게 무슨 불이익이에요? 의사는 연구 못해요. 의대 교수들은 병원에 돈 벌어다줘야 함.

바이오 기업 어쩌고 하는 이야기는 삼성이든 sk든 연구개발을 안하기 때문. 신약을 만들지 못하고 공정만 해서 그런거

대댓글 1개

2025.10.09

아 그렇군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약회사 같은 경우 어차피 약사가 팀장이라는 말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질병 연구와 관련해서도 의사 면허 여부에 따라서 뭔가 차등이 발생하는지 궁금했어요

2025.10.09

제가 관심있는 분야가 의학 기초 연구에 있다고 볼 수 있을 거 같은데 그렇다면 기업이 아닌 병원에서 연구를 진행하게 될 텐데 이 부분에서 있어서도 현직자분들이 계시면 조언을 듣고 싶어요.

2025.10.09

병원 연구원은 계약직이어서 불안정하고 4대 보험이 안된다는 말도 많더라구요 ㅠㅠ

이또한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