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탑저널 ykssh 석사 vs 무스팩 spk 석사

2025.09.16

5

1424

학부학점 등은 동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9.16

어떤 과정에서 비교인지마다 다르겠지만(기업, 국내박사 진학, 해외박사 진학 등) 학부도 아니고 석사 학교로 논문 실적과 비교될 정도로 중요하지 않아요.. 탑저널은 무슨, Q1-Q2급 주저자 한편만 있어도 논문있는 석사가 훨 낫죠... 특히, 박사 진학 때의 비교라고 한다면요.
SKP는 학부때 의미가 있는거고, 그마저도 박사 받고 교수 정도되면 논문 1-2편보다도 임팩트가 낮은 항목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9.16

그렇군요! 수준낮은 글에 소중한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9.17

사람마다 생각하는게 다르니 일반화는 어려울겁니다.
다만 희소성을 보면 당연히 탑저널 있는 석사과정이 더 낫지않을까 싶습니다. spk 석사졸업장만 갖고있는사람은 넘쳐나니까요.
저는 윗분과는 조금 다르게 spk 대학원이 주는 임팩트는 분명 아직도 학계에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적이 미비한 차이면 spk출신(학부가 아니더라도)을 선호하는 문화도 분명 있습니다. 일반화는 어렵지만 최소한 제가 몸담던 정출연의 최근 트랜드는 그랬습니다.
하지만 실적이 누가봐도 큰차이가 나면 누구든지 그사람을 뽑을겁니다.
근데 이런것들을 일반화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학교에서도 어떤 사립대는 실적보다 학벌(학부/대학원/유학)을 더 신경쓰기도 하고, 어떤학교는 실적을 더 보기도 하고요. 그렇기에 최대한 상대 경쟁자에 비해서 여러가지로 부족함이 없어보이도록 준비 잘하고 기다릴수밖에 없죠.

2025.09.17

Spk대학원이 주는 임팩트요? 요샌 개나소나 다가는데 무슨 임팩트? ㅋㅋㅋ

2025.09.17

저널을 쓰는 분야에서 석사 실적은 주변 도움이 80-90% 이상이라고 봅니다. Spkykssh (?) 석사 취업에서는 전공적합도가 가장 중요할것 같습니다. 그 외 학부 spk 는 분명 메릿이 있는거 같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