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 타대 출신이 자대생 무시하네 ㅋ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28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42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41 -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최소한의 각오 정리해줌
1. 평일 9to21 근무
2. 주말 출근 필수
3. 일주일에 최소 2번 이상 밤 새기
4. 논문 하나 보면, 안에 있는 피규어, 수식, 수치 다 달달 외우고, 참고문헌 전부 숙독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0 - 참고 버틴 다음에 너가 지도교수되면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갚아주면 됨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3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6 - 이런 똥글 쓸 시간에 자기개발이나 하세요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4 - 그리고 특임교수 돈 안받아요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7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8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4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1
미국 석사를 꿈꾸는 학부 3학년입니다. 준비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2025.04.21

제가 사이버보안 관련학과 인서울급 중위권 대학
3학년 다니는 중입니다
최근에 학부연구생을 시작했는데
시작하자마자 연구 주제와 제가 지금까지 해온 것들이 잘 맞아서
Sci q1급 중에 상위 저널과 해외 상위 컨퍼런스에 각각 1저자/공동저자로 논문을 출판할것 같습니다(5월 이내)
제가 지금까지
국정원이 스폰서해준 교내 암호 경진 대회에서 1위 대상 타고
인공지능 관련 해커톤과 교육 경험
세계 해킹 대회에서 60위 / 672위
대규모 프로젝트(구름톤 정도 규모-구름톤을 한건 아님) 2개 정도
토이프로젝트 엄청 많음
등등 다른 스펙은 다른 학부생에 비해 많이 쌓아놓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지금 제가 학점이 2.9/4.5라서 많이 낮은 상태입니다
1학년 때 학교를 너무 바꾸고 싶어서 학고반수를 해서..
지금은 너무 반성하고 있습니다
이런 연구 경험이랑
이번에 또 한국에서 유명한 해킹 대회 또 나가고
대규모 프로젝트 한개 더 할것 같은데
제가 조금 욕심내서 미국 탑 30위 이내 cs를 석사로 갈수 있을까요?
솔직히 지금 열심히 학점 복구하고 대회준비하고 연구과제까지 하면서 이것땜에 여친이랑 헤어지고 열심히 하는 중인데
최근에 이런 꿈이 생겨서..
연구도 시작한지 얼마 안되기도 했고
뭘 준비해야할지도 모르겠어서 여기에 질문글 올려봅니다
영어는 잘하는 편입니다
컨택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토플은 언제 따야하는지 등등도 궁금하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거국에서 카이스트를 간다고? 김GPT 10 12 7882-
0 20 1667 -
1 8 4657
미박 질문입니다 김GPT 0 17 753-
0 10 336
대학원 가기전 3학년 김GPT 1 5 5681-
5 5 3709
자대 학부 연구생 김GPT 0 3 6155-
2 8 3112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292 99 84377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172 27 18657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49 32 4957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일을 잘 한다는 것.
176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30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7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3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7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3 - FYI
1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랩실 출퇴근시간
15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11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11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1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7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30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7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3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7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3 - FYI
10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9 - 랩실 출퇴근시간
15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11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11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1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7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9

미국 박사과정 평균합격률 12%, 극악의 난이도죠.
우리의 꿈을 이루는 방법은 "교육"👨🎓 뿐입니다.
2025.04.21
대댓글 1개
2025.04.21
대댓글 3개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