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논문컨설팅이나 과외는 무조건 불법일까요?

2025.04.16

14

2962

안녕하세요

본론부터 말하면
논문 컨설팅을 받거나 작성을 도와주는 과외를 받는 것 자체도 혹시 불법일까 궁금해서 여기에 여쭤봅니다!

이번에 석사입학한 신입생입니다! 이제 들어온지는 갓 한달 반 넘었는데요

대필을 원하는게아니라 논문주제나 방향을 제시해주시고 찾아간게 잘못되면 잡아주는 느낌으로만 이용하고 논문도 제가 직접 쓸예정입니다!
하나하나 기초적인것도 질문하고(ex.논문 읽는법부터) 어느 부분 부터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 문장하나하나 쓰는법을 여쭤봐도 괜찮은 분이 있었으면 좋겠어서요...
실험도 제가다니는 대학원에서 제가 직접해가고 데이터도 직접뽑아서 쓸건데도 이런 과외도 문제가 되나요?

아무래도 교수님한테 사소한거까지 여쭤볼 순 없고 바로 위 사수분은 개인공부 보고 시간에 제가 이틀밤새서 해가도 아예 이해를 못한수준인데 한두시간 대충해서 가져온다고 예의없다고 한숨을 계속 쉬시고 질문하는것도 달가워하지 않는거같아 피해를 끼치는거같습니다 ㅠㅠ

제가 학부성적도 많이 부족하다고 입학전 미리 말씀드렸는데 연구에 관심이있으면 배워가면된다고 교수님이 괜찮다고 받아주셔서 들어온거라 제가 다른분들이 보기에 좀 모자라고 수준이 낮아보이는건 이해하고 있습니다.

아직 과제나 잡무같은건 주어지면 머리를 쓰는 일이 아니다보니 피해안가게 하고있지만 그래도 언젠간 피해를 끼치거나 문제가 될까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4.16

대필도 윤리적이지 않은 것 뿐이지 불법은 아닙니다.

2025.04.16

연구윤리에 어긋남. 이런 생각하는 것 자체가 대학원에 맞지 않는 사람인것 같으니 빨리 다른 일을 찾아보세요

2025.04.16

논문 에디팅 서비스 보내면 해주는 게 그런 겁니다. 영문 교정해주고 형식 맞춰주고 전반적인 스토리나 논리 조언해주고 등등. 타겟 저널 추천도 해주고요. 제가 연구실에 있을 때는 영문 논문 제출 전에 무조건 에디팅 서비스 보내서 교정 받고 submission 했었습니다. 대신 써 준 스크립트를 직접 받아서 제출하는 것만 아니면 문제 될 일은 없겠죠.

2025.04.16

신입인데 왜 벌써 논문 쓸 생각을 하는지
기초 공부하고, 논문 많이 읽은 후에 주제 잡으세요

2025.04.16

잔머리 굴리지 말고 그냥 논문을 많이 읽으세요.

2025.04.16

애초에 그런 서비스를 통해 높은 수준의 지도를 받을수 있는지가 의문이에요. 차라리 챗지피티한테 물어보는게 나을꺼같은데요..

2025.04.16

솔직히 말하면 스스로 공부 하는 법을 못 익힌 것 같습니다. 지금 대학원 생활이 이를 익힐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스스로 공부 하는 능력을 키워 보세요. 대학원 까지와서 과외 받을 서비스 찾는 것은 말이 안됩니다.

2025.04.16

불법은 아니에요ㅋㅋ

2025.04.16

등록금내고 교수님께 배우는 시간이 그정도인데, 과외비는 얼마 내려고요? 시간당 20정도 하면 저도 대학원생 가르치는 과외나 하고 살래요ㅋㅋㅋㅋ 대학원 온 목적이 사람마다는 다르겠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이해라는 수준이 있는건데.. 글쓴님은 취업알아보는게 주변 사람 세상 사람 모두를 위한 길인듯...

2025.04.16

이거는 뭐 부모님이 이미 있는데, 돈주고 다른 부모님 고용하는 꼴이내요.
일단 지금 있는 연구실에서 교수님이랑 연구실 동료들이랑 잘 연구할 생각해야죠;;;;;

2025.04.16

이틀 밤새우셨는데도 이해가 어려우셨다면, 그건 잘못된 공부 방식이었거나 이틀이라는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저도 공부를 많이 한 편은 아니지만, 처음 논문 읽을 때 한 줄 이해하는 데 일주일 걸린 적도 있습니다. 처음 접하는 분야에서는 용어나 기술 자체를 익히는 데 시간이 많이 필요하더라고요.

이틀은 생각보다 긴 시간이 아닙니다. 시간을 더 들이시고, 논문에서 언급된 기술 자체뿐만 아니라 그 기술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 그 원리까지 같이 공부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가능하다면 해당 기술의 원문 자료까지 찾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논문을 많이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어떻게 써야 하는지’ 감이 잡히기 시작합니다. 물론 방향을 잡는 정도로 가이드를 받는 건 괜찮지만, 너무 의존하진 마세요. 논문 쓰기는 생각보다 훨씬 어렵고 고된 작업이라, 처음부터 과외에 익숙해지면 스스로 쓰는 능력을 키우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대댓글 2개

2025.04.16

많이 쓴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논문 4편 써본 입장에서 말씀 드리는겁니다!

2025.04.16

위에 다른분들 말씀도 틀린말이없어 반성도 많이하고 있던 차에 너무 따뜻한 조언을 해주셔서 꼭 감사인사를 드리고 싶어 댓글드립니다.

하나하나 읽어보니 말씀해주신대로 아예 잘못된방법으로 공부하거나 읽은것도 있고 부족한 머리에 주변에 잘하는분들이 금방읽으셔서 그런 방식을 따라하려한게 오만했던거같습니다.

제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어도 부족해서 지적듣고 욕먹는게 당연한건데 정신력이 약한지 매번 너무 힘들더라구요

남들은 안물어보는 기본적인걸 질문한다고 생각하실까봐 간단한 조언조차 부탁드리는게 큰 민폐인거같고...그래서 어떻게든 빠르게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방법을 찾으려했나봅니다.

저한테 맞춰서 정리해주신대로 최대한 스스로 공부해보고 시간을 더 많이 투자하고도 문제가 생긴다면 윗분들 말대로 적성에 안맞는 것이니 랩에 피해없는 선에서 그만 둘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시간내서 긴 글 써주셔서 너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감사드립니다.

2025.04.17

통계 방법론 따로 예전에 박사과정생에게 배운적 있습니다. 서울대 과사 같은데 이야기하면 게시판 같은데 올려주고 연락이 옵니다. 넉넉하게 주면 많이 연락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