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서 졸업 논문 괜찮게 썼다고 하시면서 수정 좀 (좀이 아니더군요 ㅎㅎ)해서 교내 연구소 학술지에 올려보자고 하셨습니다.
논문 써보는 경험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해서 감사합니다 하고 열심히 쓰는중인데 객관적인 시점에서 봤을때도 좋은 경험인지 궁금해서 여쭤보려 왔습니다
학술지 역사가 얼마되지 않아 아직 kci 미등재 학술지인데 만약 정말 잘 풀려서 억셉이 되고 cv publication에 한줄 넣을 수 있게 된다면 만약 다른 교수님께서 보셨을 때 그래도 논문은 써본적 있구나~ 정도의 인식은 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김박사넷같은 커뮤니티보면 학부생때부터 kci 심지어 sci에 게시하는 분들이 많다보니.... 객관적인 인식이 궁금하네요 ㅎ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5.03.18
인턴 학부생 기준 - 열심히 해서 한줄 넣었구나 석사 기준 - one of publications 박사 기준 - 큰 의미 없음
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2025.03.18
다만 님에게 논문 제출을 제안한 교수님 랩에 가고 싶다면 입학 보증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5.03.18
다행히 열심히 했구나 정도는 인정받을 수 있나보네요 ㅠㅜㅜ
아쉽게도 원하는 분야가 논문 분야랑 조금 다른지라…. 열정 정도로 만족하겠습니다!!
2025.03.18
sci는 안되는지 여쭤보세요.
대댓글 1개
2025.03.18
제가 봐도 sci는 커녕 kci도 힘들어보입니다 ㅋㅋㅋㅋ
애초에 저널 투고 생각해서 만든 것도 아니구요
다만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2025.03.18
교수한테 할당량 부여되어서 뭐든 쓸거리가 필요한 상황으로 보이고, 대학원 이후 취업과 관련한 실적으로서는 의미 없다고 봅니다. 다른 교수가 봤을 때는 미미하더라도 연구적으로 뭔가 건드려본거라 학부생 중에선 좋게 보일 수 있다고 보고, 연구분야가 다르더라도 '교수말 잘 들어서 이런 일도 했나보네' 하고 플러스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3.19
그 정도만 되어도 충분합니다!!!
마저 열심히 쓰러 가겠습니다.
2025.03.19
현직 교수입니다. 교수님 말씀 들으세요. 어디에 싣느냐도 중요하지만 본인이 한 연구를 애착을 가지고 홍보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될겁니디. 그게 아니라면 어디에 내더라도 큰 의미없습니다. 웬만한 저널에 내더라도 본인이 열정이 없으면 교수가 써줬구나 할겁니다. 너무 따지지 마세요. 다 도움이 되고 그정도가 합당하니 제안하는 것일 겁니다. 없는것 보다야 백배 낫죠.
대댓글 3개
2025.03.19
추가로 작은일도 열심히 하는 사람이 성공합니다. 회사에 가도 마찬가지에요. 재고 따지면 다 보입니다. 불합리한 일은 따지되 주어진 기회는 늘 최선을 다하는게 중요합니다. 어디가든 마찬가지에요.
2025.03.19
당연히 재지않고 교수님께서 제안하시자마자 기쁘게 받아서 쓰고 있는중입니다 ㅎㅎㅎㅎㅎ
다만 cv에 썼을 때 뭔가 해보려고 발버둥치긴 했구나 정도는 알아주시는지 궁금했습니다 ㅠㅠㅠ
2025.03.19
훈계노
2025.03.19
저는 현재 박사 과정중이고, 석사 학위논문을 kci 등재했습니다. 석사 후 박사 사이 1.5년 공백 있었는데요, 석사때 지도교수님 추천서 없이(학과장님이 써주심) 아무 인맥도 연고도 없는 학교로 박시과정을 지원했죠. 지금 임용 9개월차밖에 안된 교수님의 1호 박사과정 제자로 알콩달콩 짝짝꿍하며 재미있게 지내고 있습니다. 물론 운이 좋아서겠지만 kci 등재 실적은 박사 면접때도 좋게 봐주신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해도... 아무 인맥도 없는 학교 출신인 잡군 석사가 박사과정 하겠다고 원서내면... 학생모집하고 싶어서 쩔쩔매는 학교도 아닌데... "이X낀 뭐야?"하고 최우선 탈락시킬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ㅋㅋ
분.명.히 도움 될거에요. 열심히 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5.03.23
넵 열심히 하겠습니다!!!
2025.03.22
결과의 수준이 SCI급은 안되고~~ 교내 연구소에서 출간하는 논문은 보통 한글로 작성하고 투고하면 대부분 게재되고 게재하면 원고료라고 몇십만원 정도 줄거라서 그래서 경험삼아 써보자고 한게 아닌가 싶어요.
2025.03.22
이 자체는 아무도 신경안쓰는 수준일건데 그냥 경험이죠. 논문이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교내 연구소 발간 논문도 나름 심사라는걸 해서 리비전을 하기 때문에 그런 절차를 배워보란 의미일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3.23
에이 당연히 Sci는커녕 kci급에 비빌 수 있다고 생각한 적도 없습니다 ㅋㅋㅋㅋㅋ 애초에 처음 제안하셨을 때도 저는 “이걸 왜…..?” 라는 느낌이었구요 ㅋㅋㅋㅋ
정말 단순하게 논문 취급은 받을 수 있나? 정도가 궁금해서 글을 썼어요 ㅋㅋㅋㅋ
2025.03.24
저도 졸업논문 투고했고 그걸로 학회도 가봤는데, 모두 반응이 undergraduate student로는 impressive하다라는 반응이었어요. 그리고 논문의 글을 쓰는게 생각보다 훠어ㅓ어어얼씬 어려운 일이라서, 한번이라도 써보는게 도움이 될 것 같아요.
2025.03.18
대댓글 2개
2025.03.18
2025.03.18
2025.03.18
대댓글 1개
2025.03.18
2025.03.18
대댓글 1개
2025.03.19
2025.03.19
대댓글 3개
2025.03.19
2025.03.19
2025.03.19
2025.03.19
대댓글 1개
2025.03.23
2025.03.22
2025.03.22
대댓글 1개
2025.03.23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