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대 대학원을 가려는데 성적이 좀 떨어집니다 다른 학우들은 석사로 지원하는데 석박으로 지원하면 좀 유리할까요 ㅠㅠ 현직 교수님 입장에서 이야기 들어보고 싶습니다
대댓글 3개
2025.02.26
합격때문에 석박으로 가는 것은 아닙니다!
2025.02.26
석박이면 어필하기좋죠. 연구실 입장에서는 석사는 투자니까요. 근데 중간에 전환도 되서 박사한다는 의지를 잘 보여주면 좋겠네요.
2025.02.26
답글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말씀드려보겠습니다 ㅎㅎ
2025.02.26
축하드립니다, 본인이 선정될수 있었던 강점은 무엇인지 알 수있을까요?
대댓글 2개
2025.02.26
하이브레인에 적힌내용보면 복불복이라는데, 저는 아니라고생각합니다. 신진 중견 한우물 매년 심사하는데 일단 연구계획서 잘 못쓰면 무조건 끝이고요, 당연히 실적 빠지면 안된다고 생각하는게 맘편합니다. 계획서는 novelty contiribution이 가장 중요한거 같고 연구실적은 이를 진짜로 달성할 수 있느냐죠.
2025.02.26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말씀주신 부분에 공감도 되고 보완사항이 명확해지니 후련해지네요, 다시한번 축하드리고 감사합니다.
2025.02.26
혹시 분야가 뭔가요
대댓글 3개
2025.02.27
전화기쪽이에요
2025.02.27
교수가 전화기라고 할정도면 진짜 개구라구나 생각이 듭니다~ ㅋㅋㅋㅋㅋ 이딴글쓰기전에 논문이라도 하나 더 읽어라
2025.02.27
ㅋㅋ 분야 과만 적어도 이번 중견 된사람 찾으면 바로 특정할수있는데 생각좀
2025.02.27
힝 신진 떨어졌어요. 실적은 우수하나 ~~ 어쩌고로 심사평이 적히는데 제가 뭔가 너무 두루뭉술하게 썼나봅니다. 근데 또 이전에 중견이나 신진 붙으신분들 참고해서 & 너무 specific하게 쓰지 말라는 얘기도 많아서 일부러 두루뭉술하게 썼는데 밸런스를 못맞췄나봐요 ㅋㅋㅋ
대댓글 1개
2025.02.27
제가 신진, 중견, 한우물 등등 연구재단 과제들 평가를 18년도부터 쭉해봤는데요, 말씀하신 내용이 맞추기가 사실 어렵다고 느꼈습니다. 너무 상세하면 되어있는 걸로 지원한거 아니냐? 큰 그림이 없다 이런 평가를 내릴 수 밖에 없던 것 같네요. 특히, 전문 평가 분야가 완전히 일치하면 세부적인 것에 대한 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지만, 현재 연구재단 평가 구조 상 그런 경우는 크지 않습니다. 제가 말하는 세부분야 일치는 해당 학과의 세부 전공일 지라도 해당 분야가 약간만 벗어나도 현재 트랜드나 기술 수준을 아주 명확하게 알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 너무 브로드하게 나열하게 되면 해당 연구에 대한 대략적인 방법론이나 달성 가능성에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부분 조율하기가 어렵죠. 해당 내용을 파악하고 계신 걸 보니 곧 되실 듯합니다. 제가 이때까지 평가한 경험으로는 그런 감을 못잡고 쓴 계획서가 태반이었습니다. 건승하세요.
2025.02.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너무 축하드립니다. 비추 누른 부들부들하는 교수들 웃기네요. 비추 누를 시간에 좀 명상을 하시던, 아니면 책이라도 읽으세요ㅎ
대댓글 1개
2025.02.27
감사합니다. 다들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2025.02.28
축하드립니다. 저희 분야는 아직 주변에 됐다는 분을 못 봤네요 ㅜㅜ 그래도 커멘트가 긍정적이라 잘 다듬어서 5월 노려야겠네요!
2025.02.26
대댓글 3개
2025.02.26
2025.02.26
2025.02.26
2025.02.26
대댓글 2개
2025.02.26
2025.02.26
2025.02.26
대댓글 3개
2025.02.27
2025.02.27
2025.02.27
2025.02.27
대댓글 1개
2025.02.27
2025.02.27
대댓글 1개
2025.02.27
2025.02.28
대댓글 1개
2025.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