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야매로 조사해본 ‘현재 대학원생 몇%만이 교수가될까?‘

2025.02.16

9

929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기반
https://hrstpolicy.re.kr/kistep/upload/file/202306179_1305100000.pdf

1. 현재 의학계열제외 한국 이공계 교수 총원은 2.1만명

저출산으로 향후 대학 절반(195개) 폐교 확정수순이라 하니까(언론사보도)

교수총원은 1만명이 되겠지.

2. ‘매년’ 국내 이공계 박사졸업생 1만명, 해외유학 통계는 모르겠으나 5천명정도 잡으면 1.5만명

3. (65살까지 채우고 은퇴하는) 정교수 총원이 1만명인데, 매년 쏟아지는 박사졸업생이 1.5만명임

단순 산식으로 박사졸업생에 20년 곱하면 30만명

-> 1:30의 경쟁률인거.

물론 박사 모두가 교수를 지망하는건 아니고, 교수 지망하는 비율을 1/3이라 가정해도(해외에서 일하면서 국내교수자리 노리는 사람도 많으니)

‘진지하게 교수를 목표로 하는 박사 10만명중에 1만명‘만이 목표를 이룬다는거임

대학원와서 30중반에 사회나가는 리스크 감수하면서 얻을 리턴이 10%의 확률이라면 고민해볼 필요가 있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2.16

한국 국적의 미국박사 "전체" 1년 졸업생이 2020년대들어 800~1000명선
여기서 이공계는 보수적으로 잡아서 70%라고 해도 max 700명
가장 유학많이 나가는 미국에서 1년 졸업이 700명이라고 봤을때
해외 5천명은 불가능

2025.02.16

15년자료긴하지만, 다음과같아요. "카이스트 졸업생들의 근무처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산업체 근무자가 3,300여명으로 대상자의 45%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국내․외 대학 2,300여명(31%), 정부 ․ 출연연구기관 ․ 공공기관 1,600여명(21%), 외국(외국인) 200여명(3%) 순이었다."
spk박사학위자들은 대충 30%는 교수직에 있다는말일수도있다는거죠. 그게 바로간거든 다른직장다니다가 간거든지 간에요. 이건 최신자료가 없는게 아쉽네요.
사실 이 자료를 잘 보면 재밌는거 정말 많네요. 흥미로운건 공학분야 취업률을보면 학사기준 66퍼, 석/박사기준 88퍼로 한국이 대학원을 많이진학하는 이유도 뭔가 통계적으로 유추가되네요. 또한 여성박사학위자의 경우 분명히 누가봐도 명확하게 신임교수등에 메리트가 명확함에도, 생각보다 이공계 전체 박사진학자의 남녀비율과 여성 교수취업자의 남녀비율이 큰차이가없네요. 이것에 대한 정확한 이유가 궁금하긴합니다. 여성들이 메리트가있음에도 교수직을 덜 선호할런지...

대댓글 3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16

저기서 정교수 총원은 인구소멸 대학 소멸로 신속히 줄어들 전망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