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좋은 연구실 찾는 방법? 조언 구합니다

2025.01.31

9

784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생명의학 학부 졸업 후 Research Technician으로 1년 조금 넘게 일하다가 한국에서 대학원 진학을 고민 중에 있습니다. 대학원 관련 글들을 보면 걱정이 많이 되는게 사실인데요, 한국 대학원 생활에 대해 아는게 없어 글 남깁니다.

좋은 대학원, 좋은 연구실을 찾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100프로는 없겠지만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대학교 소속이 아닌, 예를 들어 국립암센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속 대학원들은 어떤지 조금 다른 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 외에도 조언 해 주실 게 있으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1.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외에서 계속 다니시는거 추천드립니다. 한국 대학원에서 정상적인 사람 만나는 것도 힘들고 연구비 환경도 요즘 너무 안 좋아져서요. 나이 많은 여학생들 있는 랩만 피해도 지뢰 랩은 피할 수 있긴합니다.
Kist 본원 말하시는 거면 젊은 PI들은 정말 열심히 하긴합니다. 그래도 학계에 남는게 목표면 네트워킹, 지도 교수가 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학교가시는게 맞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1.31

조언 감사합니다. 저도 해외에 계속 있고 싶은 생각도 있는데, 장학금을 받으며 석박을 하는게 어려울 것 같아서요ㅠㅠ 예전에는 교수님들 평가라고 해야하나요, 의견들을 볼 수 있었는데 요즘은 어떻게 의견을 구하는지 아실까요?

2025.01.31

PI들이 어떤 연구를 했었는지 쭈욱 찾아보면 그나마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1.31

조언 감사합니다. 자대면 교수님의 인품, 팀원들의 성향, 연구실 분위기 등 파악하기 상대적으로 쉬울 것 같은데 저는 아무래도 해외에서 들어갈 생각 중인지라 교수님 연구나 논문들 말고는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2025.02.01

최근 논문들 매우 잘 살펴봐야 하고요.
홈피 있으면 대학원생이 1저자나 공동1저자이고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주로 봐야 하고요.
인원수 대비 논문 수도 잘 봐야 합니다.
이것들만 잘 해도 왠만큼 걸러지고요.
나머지는 메일 보내고 실제로 가서 봐야죠.

대댓글 1개

2025.02.01

조언 감사합니다. 혹시 하나만 더 여쭤도 괜찮을까요? 관심 있는 분야가 있는데 그 분야에서 저명한 교수님이나 랩은 서칭을 어떻게 하는지 감이 안 잡혀서요. 괜찮으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쩨쩨한 리처드 파인만*

2025.02.01

저명한교수님은 해당분야 탑티어 저널이나 학회지 알아보시고그거쓰셨는지 추적하거나 하시면되고 잘모르겠으면 학교이름이랑 젊은교수면 얼추 잘함..

2025.02.02

좋은 랩을 고르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일단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 분야를 정한 후, 그 분야에서 평판이 좋은 랩을 리스트업 한 후, 그 랩들 중에서 본인의 다른 기준 (사람, 환경, 출세 등등) 에 맞춰서 고르는게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2.03

좋은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일단 제가 하고 싶은 분야는 어느정도 정해진 것 같은데요, 이 분야에서 평판이 좋은 랩을 리스트업 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좋은 논문 출간 여부를 알아봐야 하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