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보면 연구에 열의가 있는 학생이 있어요. 자기 연구 이야기할때 눈이 반짝반짝거리는 친구들이요. 그런 학생들 좋아합니다. + 성실성은 기본인 것 같아요.
2024.12.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예쁜 여학생 ♡
2024.12.11
현직 교수인데
1. 연구 잘하는 학생 2. 착실해서 귀찮은 일 만들지 않을거 같은 학생
이 좋더군요. 1,2가 합쳐지면 젤 좋긴 한데 현실적으론 하나라도 만족하는 학생조차 별로 없음...
2024.12.11
나열하자면, 똑똑한 학생, 많이 아는 학생, 일 잘 하는 학생, 연구 잘 하는 학생, 열심히 하는 학생, 모티베이션이 있는 학생 등이 있겠죠.
보면 엇비슷해 보이는 조건이 있는데 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자연과학을 하는 입장에서는 지적 호기심이 있는 학생이 가장 마음에 듭니다.
이 경우는 보통 모티베이션이 있어서 열심히 하더군요. 똑똑하고 많이 아는데 호기심이 없는 경우, 옆에서 쳐주질 않으면 열심히 하질 않아 안타까운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모티베이션이만 높아도 곤란하긴 합니다.
보통 지적 능력/지식/모티베이션이 모두 고르게 B+~A-인 학생들이 연구 진도가 잘 나가는 것 같아요. 지적 능력이 높으면 높을 수록 완벽주의 성향이 강해서 적당한 선에서 끊고 매조지하는 걸 가르치는 것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런 학생은 한국보다 정량적인 성과를 조금이라도 덜 따지는 유학을 권하는 편입니다.
2024.12.11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 학생, self-motivated 학생, 엉덩이 무거운 학생, 입만 살지 않은 학생
2024.12.11
2024.12.11
대댓글 2개
2024.12.11
2024.12.12
2024.12.11
2024.12.11
2024.12.11
2024.12.11
2024.12.11
2024.12.11
2024.12.12
2024.12.12
2024.12.12
2024.12.12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