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sci급 논문 난이도가 궁금합니다

2024.10.31

12

6660

안녕하세요
3-2학기 다니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현재 저는 학부연구생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가려는 대학원의 석사 졸업요건 중 sci급 논문 한 편 게재가 있습니다
당연히 1저자여야 하구요

sci급 논문을 써야한다는 점 때문에 여기 대학원으로 진학을 할 지가 고민이 됩니다
바보같은 고민일까요?

sci급 논문에 대해서 좀 찾아보니, sci 라고 해도 난이도가 천차만별인것 같긴 합니다만... 학부생 입장으론 감이 잘 안오네요...
석사 2년동안 sci 논문 쓰는게 어느 정도의 난이도인건지가 궁금합니다
흔한 편인가요?

분야는 생체재료, 생체공학 쪽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10.31

선배들한테 물어보셔요.
과마다 편차큼

2024.10.31

학부연구생 진행하고 있는데 실험 주제하고 잘맞아서 벌써 3편째 작성했어요! 1저자, 2저자, 3저자 이렇게...
실험 결과만 잘나오면 괜찮은거같아요.
실험 결과가 풍부하니까 쓸 말은 많더라구요

대댓글 2개

2024.11.02

1저자 아니면 잘 안쳐줌

2024.11.03

그래서 학부생때 2저자 3저자 쓰셨나욤

2024.11.01

저널의 난도를 따지기 보다 그 한 편을 얼마나 가치있게 쓰느냐에 무게를 두셔야 합니다. 연구를 왜 시작했고 그 연구가 어떤 가치를 지니며, 어떻게 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켰는가가 중요합니다.
제대로 써보신다면 처음에는 1편 쓰는데만도 3개월 이상 걸립니다. 물론 실험 제외하고 순수 작성에만요. 이 3개월도 제대로 인디케이션을 줄 수 있는 선배가 있다는 가정입니다. 참고로 저는 공학계열 입니다. 컴퓨터쪽 아닙니다.

2024.11.01

분야마다 목표 저널마다 천차만별입니다. 바이오라면, 그리고 별 다른 조건 없이 단순히 sci 1저자 1편이라면, 난이도는 하 입니다. 연구를 하기만 한다면 누구나 달성 가능한 수준입니다.

2024.11.01

연구라고 불릴만한 물건이면 sci정도는 그냥 됩니다. Q1 혹은 더 상위로 올라가면 그때부턴 엄청 빡세지는거죠

2024.11.01

당연히 가능합니다.
너무 지레 겁 먹고 계신 것 같습니다.
SCI로 분류되는 저널 중에 낮은 난이도도 많으니 겁먹지 마세요

2024.11.01

SCI 만 충족하는거라면 매우 쉽습니다.
거기서 좋은걸 내는것이 어려울뿐...
석사는 Q2급만 내도 그래도 열심히 했다고 봅니다.

2024.11.02

생체재료, 생체공학 분야라면 한편보다 더 쓰실수도 있습니다. 일찍부터 학부연구생을 하시니 랩생활 열심히 하시면 여러편 내셔서 좋은 실적 내실수 있을거에요.

2024.11.02

분야에 따라 다르지요

2024.11.03

석사 졸업 요건에 sci 1편이 있는 곳이 많지 않은데 ;;

성대일려나요

sci 급 논문 발표는 앞선 댓글들과 같이 천차만별이라 한문장으로 이야기하긴 어렵구요.

지도 교수님 스타일에 따라 달린 것 같습니다.
좋은 논문만 바라시는 교수님들도 대다수여서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