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If 낮은 sci에 안내려고 하는 이유 ?

2024.10.01

41

6089

안녕하세요 . 석사 새내기입니다.
랩실 선배님께 듣기로는
저희 교수님이 Q1 Q2 에 해당하는 저널에는
내려고 하시는데
그 밑으로 내려가면 차라리 국내 저널에 내라고 하신답니다.

연구자분들이 보았을때 특별한 이유가 보이실까요?
학생 입장에서는 당연히 sci 내고싶을거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1개

2024.10.01

정확한 이유는 교수님만 아시겠지만 조심스럽게 예측하면 연구 실적을 SCIE(SSCI)과 국내로 구분해서 하니깐 SCIE 평균 수준을 높게 유지하려는 것이 아닐까요? 학교 연구 인센티브도 Q2까지만 지급되서 교수님 입장에서는 Q3이하에 내는 것이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빠르게 연구과제 마무리하려고 Q3 이하에 가야 되는 것을 국내에 내라고 하시는 것 같아요. 국내 저널에 논문을 내면 학회에서 본인 위치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국내 연구용역을 수주할 때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일반인들은 영어보다 한국어로 된 내용들을 쉽게 이해하거든요. 마지막으로 분야는 공학 쪽인 것 같네요. 기초과학 분야나 사회과학 분야는 좋은 저널과 IF 꼭 매칭되지 않아서 Q3 저널도 낼 만한 곳이 있거든요.

2024.10.02

단순히 IF가 낮아서 안낸다는건 어불성설이고, 다른 이유가 있을겁니다.

대댓글 21개

2024.10.02

교수 입장에서 쪽팔려서 안 내는 거임..
단순히 IF 낮아서, 혹은 저널이 허접해서 라는 이유 맞음

2024.10.02

아닌데요

2024.10.02

내가 pi인데 적어도 나는 그럼..

2024.10.02

차라리 국내 저널에 내는 이유는, 국내 저널은 일종의 봉사라 학회일 하는 교수님들한테 좋은 인상 남겨 네트워킹에 좋기 때문

2024.10.02

PI 아니신 듯 하네요

2024.10.02

맞는뎅...

2024.10.02

아닌뎅...

2024.10.02

허접한 저널에 내겠다는 걸 말릴 수는 있지만, 저널 IF가 낮다는 이유로 안내겠다....? PI 아닌거 맞죠 ㅎㅎ

2024.10.03

저는 PI는 아니고, 정출연에도 근무했고 지금은 포닥중인데 저도 MDPI에서 아무리 게재료 면제 해주겠다고해도 수준낮은저널들에는 절대 안냅니다. 이미 정량적인 실적은 충분하고, 정성적인 실적만 중요하니까요.
나중에 임용되고나서 정량적인 실적압박때문에 급해지면 낼수도있겠지만, 그런 특수한 상황이아니면 절대 안낼듯하네요.
내서 좋을게 없고, 개인적으로 쪽팔린것도 저도 큽니다.
IF가 낮지만 분야에서 평가가 괜찮은 저널이면 당연히 내겠지만, 아무리 그런 저널도 Q3에 있는경우는 제분야에서는 없네요.
저도 국내저널이나 심지어 ETRI저널도 냈습니다만, 제 의지는 아니고 타의가 큽니다. 근데 어차피 그런저널들은 저는 CV, scholar등 어디에도 표시하지 않아서 낸지도 모르는사람들 많을거에요.

2024.10.03

*정출연근무하다가 퇴사후 해외포닥

2024.10.03

네, 헤세님 분야가 그럴 뿐이죠

2024.10.03

IF = 저널의 인지도(?) 가 아닙니다. Q1, Q2에도 쓰레기가 있고, Q3, Q4에도 전통적 저널이 있죠. IF는 단지 평가를 위한 정량지표 중 하나일 뿐이지, IF가 우수성을 대변하지 않음은 모두가 압니다. 학계 있는 사람이 이걸 모른다? 말도 안되는 소리죠.

2024.10.03

“IF가 항상 저널퀄리티를 대변하는건 아니다” 는 동의하지만 “IF와 저널퀄리티가 무관하다”는건 솔직히 우기는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저도 로보틱스에서만 연구해왓고, 비교적 최근 분야에 저명한 저널들IF가 많이 올랏지만 그전에는 ijrr tro같은 저널들은 if도낮고 jcr도 낮앗습니다. 하지만 다들 인정해줫죠. 반대로 sci robot은 그렇다쳐도 IF만 높고 로보틱스인척 하는 저널들도 꽤잇엇고요.
하지만 결국 좋은저널들은 결국 인용을 많이받고, if가 회복하기에 Q3까지간다? 이건 이해가 좀 어렵네요.
스스로 주장하시는바에 대한 예시를 한번드시면서 Q3,4저널에도 좋은저널이 잇다는걸 설명하시는게 이해가 빠를것같네여 ㅎㅎ

2024.10.03

솔직히 논문 얼마나 써보신분인지, 학계에 얼마나 계신분인지 모르지만, 본인이 IF와 무관하다는걸 다른사람에게 가르쳐주려는게 좀 웃기긴 합니다.
저도 저널/탑컨퍼를 주저자로만 그래도 13편가량 써왓고, 그중 저널은 네이처 자매지나 사어, 반대로 공동주저자지만 IF만높고 게재난이도쉬운 에너지계열 논문도 써봣어요.
Q3,4로만 임용이 되신분이면 얼마나 좋은저널에 좋은연구하샷길래 그리말씀하시는지 궁금하긴하네요.
한국임용을 도전해본사람중 IF상관없다는사람을 처음보네요 ㅎㅎ

2024.10.03

인신공격 하시는 것 보니 웃기는게 누군지 알 것 같습니다. 비난하느라 제가 하지도 않은 얘기까지 골고루 넣으셨는데 고생하셨네요. IF 가 저널의 우수성을 대변하지 않는다고 했을 뿐인데 제가 정출연 다니다 해외포닥하시는 분께 논문 실적으로 비교나 당해야 하는군요 ㅎㅎ 기가 막힙니다.

2024.10.03

포닥이시니 한마디만 더 거들게요. 저는 이룰만큼 이루었으니 제 실적 신경쓰실 일은 아니고요. 아직 갈길이 머시니 안주하지 마시고 자기 객관화 잘 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2024.10.03

If 낮은 and 허접한 저널이라고.. 문해력이 그지같네
그리고 q2 까지는 prb 같은 좋은 저널들 있어도 q3 이하에서는 좋은 저널 본 적이 없고 낼 생각도 없음
원글을 봐봐.. q3 래잖냐
나도 prb, jcp, apl 같은 저널들은 if 낮아도 자주 내고 자랑스럽게 생각 함
근데 q3 저널들은 낼 생각 없음..

2024.10.03

근데 당신 분야에 q3 중 좋은 저널이 있다면 다른 얘기긴 하지
여튼 if를 떠나 쓰레기 저널들은 굳이 안 낸다는 소리였음

2024.10.04

이룰만큼 이루신분께서 선배님의 조언이 필요한 후배한테 Q3, Q4중 낼만한 좋은저널이 어디있는지 한번 알려주시고 말씀해보세요 ㅎㅎ
분야가 다르다면서 우기지만 마시고요.

2024.10.04

엄청 극단적인 케이스긴 한데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는 Q3인데 좋은 저널이에요... 이거 말고는 저도 본 적 없네요

2024.10.04

Journal of mathematical phtsics도 수리물리에서 CMP다음가는 저널인데 Q3임.

2024.10.02

1) 낮은 저널 내면 교수에 아무 도움 안될때 승진실적에 포함 안되는 경우가 있음

2) 학교에서 낮은 저널 내지 마라고 할때. 상위 저널 비율 떨어지면 학교 등수 떨어짐

3) 1,2의 이유때문에 내기 싫은데 지도까지 하기 귀찮음 ->한글로쓰고 알아서 처리해라

대댓글 1개

2024.10.02

이게 맞는듯 합니다.

2024.10.02

if 낮은 논문에 안내려고 하는 경우:
KCI에_내라()

# 제목이랑 내용 이건줄 알았다

2024.10.02

SCI 는 대부분 Q1 Q2임

Q3만가도 SCI 가 아닌경우가많음

출판사도 듣보출판사면 양식맞추는거도 너무번거로움

대댓글 7개

2024.10.02

아닙니다. Q 나누는건 sci끼리만으로 나눕니다.

2024.10.02

아닙니다 다시 찾아보셈

2024.10.02

2024부터 ESCI인가 뭐시기가 들어온거고, 그 전까지는 SCI만 JCR 따진게 맞죠.

2024.10.02

아님... Q는 jcr이고 sci는wos임

2024.10.03

뭔 소리세요.. 작년까지 jcr을 sci만 했다니까요. 역은 성립 안하죠

2024.10.03

니가찾아봐

2024.10.05

Jcr인덱스 된 저널중에 scie아닌것들도 잇어요

2024.10.02

내생각엔 국내 논문은 논문으로 안치는 분 같고. 내용이 수준이 안되는데 굳이 영작 까지 하면서 허접한 곳에 내는 수고를 들이기 싫다는 듯함.

그리고 학생이 sci랍시고 졸업 실적채웠다고 착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듯.

2024.10.02

PI인데 내 이름 걸고 하는 건데 허접한 저널에 내면 쪽팔림..
차라리 국내 저널 내는 것은 일종의 봉사로 인식되어서 학회일 하는 교수님들한테 눈도장도 찍을 수 있는 등 국내 네트워크에 도움 됨

대댓글 2개

2024.10.03

이게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ㅋㅋ...

2024.10.03

ㅎㅎ 무슨...

2024.10.03

솔직히 q1 밑으로 내는건 에너지낭비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q2 나 q1 이나 내는데 들이는 품은 비슷해서..

대댓글 1개

2024.10.03

Q2까지는 인정받는 좋은 저널들 있음. Prb 같은 것들
근데 q3에서는 좋은 저널 못 본듯

2024.10.05

뭐가 되든 그냥 논문 실적 내는게 좋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