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좋은거죠. 그런데 합격한다는 보장은 없죠. 열심히 준비하면 얻는게 많을것 같내요. 특히 남들 앞애서 자기pr도 해보고 혹여나 다른 교수가 줌으로 만나자고 하면 그때 도움이 될거고. 그냥 1차 시험에 합격했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좋을듯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30 - 미국 박사 진학은 대학 이름 큰 상관 없구요. 그냥 1,2학년때 학부 인턴 한번 해보시면 아 내가 유학 가겠구나 못가겠구나 느끼실 겁니다.
그리고 목적과 수단을 잘 생각하세요. MIT가 목적이 되는것이 아니라, 연구가 너무 좋고 하고 싶은 연구가 있어서 그에 따른 수단으로 MIT를 가는 겁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7 - 예전엔 포 > 카 > 서 였는데 서울대 가서도 미국 유학 잘 갔습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6 - 인터뷰 제의면 매우 긍정적이네요. 면접 준비 집중하시면 될거같아요.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4 - 이정도면 그린라이트인거 다 알면서 ㅋㅋ 물어본건데?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4 - 컨택은 원래 하나씩...
하나 떨어지거나 답 없으면 다른곳 연락하는게 보통입니다.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5 - 참 전통파 또박이들 많네 ㅋㅋㅋㅋ 이러니 고인물 소리 듣지 ㅋㅋㅋㅋ 심사 기간이 짧은게 문제임? 아니면 돈을 많이 내는게 문제임? 다 틀렸음. 핵심은 연구자들에게 양적 실적을 요구하는 세상의 분위기와 그리고 이를 편승한 연구자들이 문제인것임. 누구는 좋은 저널 안내고 싶겠음? 근데 연구 1년차에 논문 실적을 요구하는 나라에서 뭘 바람 ㅋㅋㅋㅋ 그리고 저널 퀄이 낮은게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네? 무슨 양질의 데이터만 중여한것임? 난 아니라고 봄. 연구과정에서 나온 모든 데이터를 모든 사람이 공유할수 있게 하는게 가장 중요한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저런 저널들도 자기 역할이 있는것임 ㅋㅋㅋ 거짓 데이터를 거지고 만든게 아니면 저런 저널도 휼륭하다고 봄. 이미 자리잡고 사자리 걷어차기 하는 놈팡이들 말에 속지말고 꾸준히 논문 적고 정보 공유하는데 집중하삼. 애초에 저렇게 저널 퀄을 논하는 애들때문에 저런 저널이 나타나서 문제 된 것임.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15 - 자기도 못 믿을 유니크한 데이터를 이쁘게 가공해서 만들어진 sci 논문 보다 투박해도 가공 없이 사실적으로 게시한 저런 논문이 다른 사람들에게 더 활용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편임. 의미없는 인생도 없고 의미없는 논문도 없음. 그냥 열심히 하시길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17 - 정신병원 내일 가셔서 당장 약 처방 받으시고 쉬세요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14 - 공저자하시는게.. 사람일이란게 그런겁니다...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12 - 뭐 억울할 수도 있고 조심스레 말은 꺼내볼수 있지만...
결국 논문의 주인은 교수님입니다. 애초에 프로젝트 기반으로 시작한 논문이고, 선배 -> 님 순으로 담당학생이 바뀌면서 논문이 적힌거잖아요?
결국 그 프로젝트 책임자인 교수 판단입니다.
교수가 개인적으로 선배를 편애할 수도 있지만, 교수가 볼 때 선배가 프로젝트 초반에 기여한, 길을 튼게 크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교수도 바보가 아니라서 앵간하면 그럴만하니까 공1 제안을 하는겁니다. 대놓고 저렇게 밀어주면 불만이 생긴다는걸 모르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첫번째 이름이면 단독저자랑 큰 차이 없습니다. 나중에 교수 임용 지원하실때 한 10편정도 1저자 실적이 있다고 가정하면 거기에 공동1저자 첫번째 이름이면, 그게 공동1이든 단독1이든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거에요. 선배랑 사이도 고려해서(다음에 선배 논문에 님 이름이 또 잘 들어갈 수도 있잖아요?) 그냥 따르는걸 추천합니다.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20 - 컨택메일 난사하는거 전혀 문제 없구요
학생이 여러군데 간 보다가 하나 골라가는건 교수님들도 이미 잘 압니다. 자기들도 이미 그래왔는데요 뭘
다만 다른곳 전혀 안썻다는 거짓말이나, 간다고 했다가 다른곳 가는등의 통수만 안치면 됩니다.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2 - 아니 이력서는 그렇게 넣는게 맞습니다 코페르니쿠스님...좀 사회생활 안 해본 티좀 내지 맙시다 진짜;;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5
저는 파트타임 호구입니다.
2024.08.29

벌써 8년째 교수님 갑질에 호구생활하는 을입니다.
SCI논문을 퍼스트어서 3개(다른것까지 합치면 7개요) 나 썼는데 학회 발표 경험이 적다면서 박사학위를 못주시겠다네요;;;
심지어 나는 파트타임인데 풀타임 졸업기준을 요구하면서
(풀타임은 장학재단 지원을 받아서 학교기준보다 논문수가 늘어난거임) 지원은 해주기는 커녕 제가 따온 과제 지원금으로 자기랑 다른 학생들 외국학회가고 저는 제 실험 저혼자 알아서 다하고 회사에 보고했네요;;
과제라도 따와야 졸업을 하지 않겠냐고해서 온갖눈치 다보면서 죽을똥살똥 따온건데 말이죠;; 그거 갖다준거 공돈 아니거든요;; 제 노동력과 피땀눈물이거든요;;
형평성에 맞게 풀타임 학생들만큼 논문쓰라는데(형평성 따지시면서 지원 못받고 퍼주기만 해야되는 저는요?! 이게 진짜 형평성에 어긋나는거 아닌가요?) 물어볼데는 없고 혼자서 헤매고 있는데 그래서는 졸업못한다고 뭐라하셔서 결국 회사 그만두고 1년반째 알아서 논문 써서 갖다바쳤더니 이제는 학회 발표수로 걸고넘어지시네요;;
진정한 갑과 을의 관계란 이런건지..
들인 노력이 있어서 쉽게 포기도 못하겠고
갈때마다 말바뀌고 진짜 파트에게 부당대우 오지게하는데
한마디도 못하고 감사합니다 교수님 인사드리며 나오는
제 자신이 너무 호구같고 초라해서 눈물만 나더라구요..
지원도 못받으면서 회사도 그만두고 애낳고 애키우면서 오기로 악으로 버텼는데 학회 지원도 안해주시면서 (풀타임은 다해주심) 풀타임한테 주는 지원 100분의 1도 못받고 교수님께 생활이 힘들다고 한마디 했더니 자기는 알바아니라고 기준이나 채우라네요;;;
교수님이 말바꾸면서 새로운 기준 제시할 때마다
꾸역 꾸역 다 해내니 결국 호구가 됐나봐요...
저는 진정한 을이자 호구인가요..
그래서 이렇게 계속 억울한일을 당해야하나요..
-
94 9 10696 -
74 14 15460
교수 특 김GPT 97 28 24781-
55 24 13372 -
20 6 5777
교수님과의 관계, 연구에 영향 김GPT 9 18 4469-
4 3 3738
P분위기 펙트 김GPT 37 25 3974-
45 11 11840
대학원 자퇴 2년 후 명예의전당 86 4 9510-
417 75 57648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92 12 6116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 재수해본사람이 남기는 면접후기
20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26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36 -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36 - SCI해외저널이 아니고 KCI를 강화시켜야됨(문과 한정)
23 - 김박사넷 상태 왜이렇게 됨?
24 - AI시대에서 가장 불쌍한건 과학고/영재고 애들 아닌가
26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33 - MDPI로 첫논문 내지마 엥간해선
15 -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36 - 연구, 벤처 = 스캠 인가?
5 - 대학원 진학 조건이 궁금합니다 ㅠㅠㅠ
5 - 연구실에 돌릴 간식 추천드려요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교수가 박사에게 하는 기대치
14 - 가짜들의 시대를 박살내러 왔다 (“내가 천재라고? 틀렸다. ‘천재’는 나를 설명하지 못한다.”)
8 -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4 - 박산데 교수님이 빨리 졸업시키려고 해요
9 -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9 - KCI 2편으로 정출연 또는 5급공무원 취업가능할까요?
8 - 내년 2월에 졸업 후 미국으로 포닥 가는데 새로운 연구를 시작할지, 좀 쉴지 고민됩니다.
8 - 박사 유학 허파에 바람만 든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12 -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16 - 하위지거국 자연대생인데
11 -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10 - 컨택 후 인턴 6달 후 탈락
8 - 천재 K 데뷔했습니다.
24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대학원 재수해본사람이 남기는 면접후기
20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26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36 -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36 - SCI해외저널이 아니고 KCI를 강화시켜야됨(문과 한정)
23 - 김박사넷 상태 왜이렇게 됨?
24 - AI시대에서 가장 불쌍한건 과학고/영재고 애들 아닌가
26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33 - MDPI로 첫논문 내지마 엥간해선
15 -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36 - 연구, 벤처 = 스캠 인가?
5 - 대학원 진학 조건이 궁금합니다 ㅠㅠㅠ
5 - 연구실에 돌릴 간식 추천드려요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2 -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31 - 가짜들의 시대를 박살내러 왔다 (“내가 천재라고? 틀렸다. ‘천재’는 나를 설명하지 못한다.”)
8 -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4 - 박산데 교수님이 빨리 졸업시키려고 해요
9 -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9 - KCI 2편으로 정출연 또는 5급공무원 취업가능할까요?
8 - 내년 2월에 졸업 후 미국으로 포닥 가는데 새로운 연구를 시작할지, 좀 쉴지 고민됩니다.
8 - 박사 유학 허파에 바람만 든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12 -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16 - 하위지거국 자연대생인데
11 -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10 - 천재 K 데뷔했습니다.
24

2024.08.29
대댓글 1개
2024.08.29
2024.08.30
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