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SKP에 못 들어가면 자대를 가는게 맞을까요

2024.08.02

21

3972

부/경 지거국 전자에 재학 중인 4학년입니다.
현재 상황으로 실적도 별로 없고(교내 캡스톤 작은 상 하나 정도...) 학점도 3.9/4.3 정도로 높지 않습니다.
지원하고자 하는 분야는 무선통신쪽이며 타 대학의 연구실(ist,yk) 두 곳에 컨택해 면담을 잡았습니다.

제 고민은 소위 말하는 SKP가 아니라면 ist, yk, ssh와 자대를 비교했을 때 박사 과정을 유학 갈 생각이 있다면 자대에서 석사를 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인가 하는 고민이 있습니다.

제가 노력한 것에 비해 인기 많고 좋은 랩을 바라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다만 대학원을 결정하는 데 있어 주변에 여쭈어볼 곳이 너무 없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ps. 재정적인 문제는 크게 없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4.08.02

유학이 아니더라도 부경이면 자대 진학이 낫다고 봅니다. skp야 조금이나마 얻을 것이 있을지 모르겠으나, 그 외 말씀하신 대학의 경우 이름, 연구환경, 동료 등에서 부경에 비해 딱히 더 나을 것이 없습니다. 왜 타대를 고민하고 있는지 적어주시지 않아 이유는 잘 모르겠으나, 그 이유가 없다면 고민해보셔야 할 것 같네요.

대댓글 2개

2024.08.03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타 대학에 진학을 희망하고자 함은 막연하게 연구 수준이 높은 학교일 수록 석사 과정을 진행하는데 좋을 것이라 생각한 것에 있고
고민이 든 이유는 한 교수님께서 이것에 대해 "SKP가 아니면 너가 나열한 대학원에 진학했을 때 연구를 제대로 하지 못 할 가능성이 높고 단순히 학벌 세탁의 용도로 치부될 수 있다"고 말씀해주셔서 입니다.

답변해주신 내용 잘 곱씹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8.03

대학 평가에 있어서, 랭킹 != 학부입결 != 연구수준 입니다. 학부입결을 기준으로 막연하게 연구수준 높은 대학이라고 생각하시는 듯 합니다.

2024.08.02

자대 인기랩에 가세요. 외국인 없는곳으로

대댓글 1개

2024.08.03

답변 감사합니다.

2024.08.02

유학이 목적이면 어디든지 실적쌓을수있고/교수가 해외네트워킹 잇는곳으로 가는게 유리합니다.
일반화는 아니지만, 보통 해외포닥 1-2년정도로는 PI조차 네트워킹이 강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자대든 spk든 지도교수가 미국박사학위받고 포닥도 미국에서 했고, 또 임용된지 얼마안된경우가 네트워킹이 가장 남아있는경우가 많습니다.
혹은 지도교수가 미국에 있는 사람들과 공동연구를한 최근 실적이 있거나, 지도교수가 해외학회에서 체어 등으로 커미티로 많이 참여하는경우가 네트워킹이 있기 좋습니다.
실적이야 최근실적보시면 대충 석사과정생도 논문쓸수있는지 감이 오실듯하고요. 해외나오면 spk 석사라고 대수인건 전혀없습니다.

대댓글 2개

2024.08.03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잘 생각해보겠습니다.

2024.08.03

자대 vs yk 를 비교하는게 아니라
이분말대로 교수님 보고 가야합니다

무조건 자대간다고 실적 더 쌓을 수 있고
그거는 편리할 뿐이지 yk 가도 본인이 적극적으로 열심히 한다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리고 최근에 임용된 교수가 아니라면, 부/경에 있는 교수보다 yk 교수에 이름 있는 사람이 있을 가능성이
훨씬 높죠.... 물론 yk 에 잘나가는 연구실에 들어가기가 어려울 수 있는게 문제

2024.08.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같은 학교 출신에 해외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자대 인기랩에 가셔서 논문 1편 내시고 해외탑스쿨 노려보셔요.

2024.08.02

유학 가려면 자대석사를 해외 네트워킹 + 실적 잘나오는 자대교수님 연구실에서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자대에서 미리 학연생하면서 논문실적 내고 유학준비하세요. SKP여도 유학은 자대석사가 맞습니다. 타대 석사 잘 안받아주고 2년만에 바로 실적내기 어렵습니다

2024.08.02

후배님이네용 저라면 ist, ky 갈 것 같습니다. 주변 인적 환경도 무시못하기때문에요

2024.08.02

부경 대학원 연구실들이 얼마나 좋은지 몰라서 말씀은 못드리는데, 연구실들 비교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ykist 방학에 인턴 한 번 해보고 비교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8.02

저는 건동홍에 있었는데, ist 인턴하면서 이점이 확실히 있는 것 같아 ist 진학 결정했습니다.

2024.08.02

수없이 나온 이야기인데 박사 유학 생각하는 경우에는 주저자 논문 실적이 석사 학교 이름값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타대 석사는 2년 안에 주저자 논문 못 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부 때부터 자대 랩 들어가서 프로젝트 달려서 석사하면서 마무리해야 합니다

2024.08.02

제 지인은 spk 에 못들어가니, ist yk 순으로 고려하더군요

2024.08.03

어딜가셔도 좋습니다. YK나 IST가 객관적인 레벨이 더 낫다고는하나, 자대 프리미엄을 무시할순 없고요. 낯선 환경에서 각자도생을 했을때 성공할거란 보장도 없고요, 반면 상대적으로 덜 학구적인 부/경에서 페이스를 잃을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죠. 여기 물어보시면 학벌만 따지니 크게 의미있는 답을 듣긴 어려우실거에요

2024.08.03

보통 이런 비교는 자대 인기 대형랩과 IST 소규모 비인기랩 사이에서 갈등하는 경우에 많이 하죠.
YK나 IST가 대형 인기랩이고, 본인과 잘 맞는다면 타대로 가는게 좋고, 반대로 자대가 대형 인기랩이라면 자대 진학이 좋겠죠.
그런데, 높은 확률로 지거국과 IST 둘 다 대형랩이라면 IST의 연구시설이 훨씬 좋습니다.
그래서 본인이 연구실에 대해 충분히 알아보셨다면 좋은 연구실을 골라 가는게 좋고, 정보가 많지 않은 경우는 IST가 좀 더 확률이 높다고 봅니다.

2024.08.03

부경이면 충분히 좋은 학교임 지방 살리기 정책으로 수혜도 있는건 ㄹㅇ 팩트고
skp를 무조건 가야하는게 아니라면 아무래도 좋을듯

2024.08.03

재정적인 문제없으면 미국가세요

2024.08.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유학가시려면 한국 학교 네임밸류 고려말고 무조건 좋은 논문 쓸 수 있는 학교로 가세요. 해외에서 한국학교 네임밸류 잘 모릅니다. 좋은 논문이 훨씬 가치 있어요

2024.08.05

석사 후 유학까지,.... 좋은 계획이시군요.
SK에 가면 가장 좋습니다.
차선으로 YK가는 것도 좋습니다.
자교 선택은 안좋은 생각입니다.
이들 학교의 명성과 동문, 그리고 영향력을 고려하시면 판단하시기 수월합니다.
본인 상황에 따라,
국내에서 석사 마치고 유학으로 박사 가셔도 되고
귝내에서 석사 마치고 유학으로 석사+박사 가셔도 됩니다.
어차피 기간은 차이가 없을테니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