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현실적으로 지거국 공대 전화기에서 한과에 보통 서카포 대학원 몇명정도나 가나요?

2024.07.11

9

1965

궁금합니다... 감이나 잡아보려구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7.11

당연하게도 자대생 진학생 숫자, 학과 규모 등에 따라 상당히 다르겠죠?

IF : 1

2024.07.11

제가 지거국 전자과 과탑이었는데, 저 때는 0명이었습니다만 저희과는 40명 정도 중에 매년 한명정도씩 갔던것 같아요. 전 카이스트 교수님 한분께서 오라고 하시긴 했었는데, 제가 카이는 지원시기가 다른걸 몰랐어서 놓쳤고, 그냥 다른 교수님보고 yk로 갔습니다. 후회는 없습니다 :)

대댓글 1개

2024.07.11

주제와 조금 다른 질문인데, 지방에서 서울쪽으로 가시면 금전적인 부담은 없으셨나요?

2024.07.11

수요공급으로 생각해보세요. 서카포자대생의 인력공급이 그 과 연구실의 인력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만큼 자리가 난다고 봐야하고, 추가 공급은 전국에서 옵니다. 그래서 인기랩은 컨택이 힘들고, 비인기랩은 타대생 비율이 상당히 높지요.

저는 타대생 많은 비인기랩 출신이었는데 거기서도 한 대학에서 복수로 인원을 뽑는경우는 없었어요. 어쩌다보니 몇년 터울로 같은대학 출신이 있기는 했지만 그것도 다 서울 소재 대학들이었고요.

2024.07.11

K는 부산, 경북, 충남 학생들은 매년 1~2명 씩 봤고, 그 외는 거의 못봤습니다.

2024.07.11

저희 랩실 포함 저희학과에는 지거국출신 거의 못봤네요

2024.07.11

서울대의 경우는 컨택만 되도 합격해서 지거국인 학생 수가 적진 않은것같네요
카이스트는 학교별 티오가 있어서 자대생+연고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커서 지거국 비중이 위학교에 비해서는 많이 적습니다.
포스텍은 컨택영향도 어느정도있고 지방권 학생들을어느정도 선호해서 지거국 비중이 꽤 크더라구여

2024.07.11

지거국 전자과인데 5~6명 정도는 가는 것 같습니다

2024.07.11

카이스트 석사 93년도 입학 때는 무려 20명에 걍북대에서 왔었죠. 정원이 500이니 4프로 정도. 아마 그 때가 최고였지 싶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