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석사 신입생... 코드 구현 실력이 부족할 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2024.05.09

10

3833

안녕하세요? 올해 AI 연구실 석사 과정으로 지원하여 입학하게 된 신입생입니다.

아무래도 교수님과 사전 컨택을 한 것이 아닌 원서 지원 후 합격한 형태로 대학원에 오게 되었고, 입학 전에 학부연구생 경험이 있던 것도 아니다보니 대학원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두려움이 컸습니다

입학한 지 2개월쯤 지나 연구실 분위기는 어느정도 익숙해졌지만 지금도 논문을 읽고나서 그 논문에 나온 내용이나 실험들을 실제 코드로 구현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내용은 이해하더라도 실제 구현까지는 해본 적이 없는 상태입니다

앞으로 연구실 과제도 투입될 것이고, 듣는 수업들에서도 프로젝트를 통해 무언가 구현을 하고 검증, 결과를 내는 것을 계속 요구해오는 만큼 논문을 읽고 그 내용을 구현하는 능력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읽은 논문이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읽는 논문의 대다수는 제시한 모델이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있는지 정도만 나와있지, 구체적인 코드가 어떻게 짜여있는 지는 적혀있지 않아 실제 모델을 코드로 구현하는 능력은 어떻게 길러야할 지 답답해하던 와중, 이 커뮤니티를 발견해서 자문을 구하고자 글을 작성했습니다.

이러한 코딩 능력은 어떤 식으로 기르면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5.09

지름길은 모르겠고 정도는 압니다. 논문보고 => 이해하고 => 구현해보고 => 결과 비교해보고.. 반복..

대댓글 2개

2024.05.09

예를 들어 GoogLeNet을 소개한 논문에 대해 읽었고... 이 논문에서 GoogLeNet 네트워크가 몇개의 convolution layer를 layer로 사용했고, 그 과정에서 max pooling등을 사용했다는 설명이 나온다면... 처음부터 레이어를 하나하나 코드로 구현한 후 데이터셋을 만든 레이어의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을 다 직접 구현하는 지... 아니면 GoogLeNet을 사용한 소스 코드, 혹은 배포된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그걸 import하는 식으로 가볍게 사용해도 되는지...
이런 부분은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여쭤봐도 될까요?

2024.05.09

그런거 구현하는 거는 아무 의미 없습니다..
구글넷 알렉스넷 레즈넷이 왜 좋은 feature, representation을 얻을 수 있는지 이유를 알아내는 게 중요한 거지 그런 세세한 오퍼레이션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는 1도 중요하지 않아요 ..

2024.05.09

사실 구현은 단순한 문제입니다. 논문에 나온 수식 혹은 방법론을 코드로 그대로 옮겨 적기만 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막연하다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구현하였는지를 참고해본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특히 ai 분야라면 papers with code 같은 사이트도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5.09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4.05.09

딥러닝 프로젝트 경험 많고 알고리즘 대회 상도 타고 했었는데 박사 1년차 때까지만 손으로 했고 지금은 전부 AI 로만 합니다. 챗지피티 플러스랑 코파일럿으로요. 절대 세세한 코딩 안해요. 오류나면 로깅도 지피티가 하라는 대로 하구요. 님이 하고싶은 어지간한 꼼꼼한 작업은 전부 지피티로 할 수 있습니다. 축복받으신 거예요..

대댓글 3개

2024.05.09

답변 감사합니다! 구현보다는 동작 원리나 모델이 잘 동작하는 분석같은 쪽에 좀 더 집중하는게 좋겠군요..

2024.05.11

이런 방식도 구현을 할 줄 아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의 차이는 엄청 커요. 저도 코파일럿 쓰지만 제 아이디어가 기존 방법론들과 상이할 경우 코파일럿이 전혀 동작하지 않고, 흔히들 쓰는 attention이나 loss function, dataloader 작성 시에는 잘 작동합니다.

논문을 보고 당장 구현은 되지 않더라도 어떤 방식으로 구현하면 될 지 머리에 그려질 실력은 가지고 계셔야 할거에요. 반복적으로 구현해보고 다른 사람 코드 살펴보고 디버깅하고 실험하면서 세팅을 쉽게 하려면 코드를 어떻게 짜야 할지 계속 고민해보세요 :)

2024.05.30

선생님 저도 이번에 전기 석사 지원할 생각이라 segmentation 최신 모델을 돌려보려는데 github clone을 해서 하는게 맞는건가요?
분야도 빨리 발전하고 정형화되어 있는게 없다보니 쉽지 않네요..

2024.05.10

저도 걱정 되는 부분이였는데 많은 도움 받고 갑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